<선관책진禪關策進>
1-23,제조사법어절요諸祖師法語節要,
*1-1반야화상시중般若和尙示衆,
형제들이여! 3년 5년 공부를 하다가 입처入處가 없으면 종전의 화두를 내버리니, 이것은 길을 가다가 종도에 폐하는 것과 같은 것을 알지 못함이라, 전래로 지어온 허다한 공부가 가히 아깝구나! 뜻이 있는 자면 이 회중에 나무도 좋고 물도 좋고 승당이 명정한데, 맹세코 3년만 문을 나서지 말라, 결정코 수용할 날이 있을 것이다, 어떤 무리는 공부하다가 겨우 심지心地가 맑아져 약간의 경계가 현전하면 문득 게송을 읊으며 스스로 큰일을 마친 사람이라 자처하고 혀뿌리나 즐겨 놀리다가 일생을 그르치고 마니, 세치 혀뿌리의 기운이 다하면 장차 무엇을 가져 보 림<保任> 하려는가? 불자야! 생사를 벗어나고자 하거든 공부는 모름지기 참되어야 하고 깨침 또한 실다워야 한다, 혹 화두가 면밀하여 간단이 없어 몸이 있는 줄을 알지 못하면, 이것은 인人은 없어졌으나 법法이 아직 없어지지 않음이라 하는 것이니, 여기에 이르러 몸을 잊고 있다가 문득 다시 몸을 생각하게 되면, 마치 꿈속 만길 절벽에서 미끄러져 떨어질 때에 다만 살려고만 발버둥을 치다가는, 마침내 실성하는 것을 보는 것이니, 이 경지에 이르거든 오직 화두만을 단단히 들고 가라, <兄弟家 三年五年 做工夫 無箇入處 將從前話頭抛却 不知行到中途而廢 可惜前來許多心機 有志之士看 衆中 柴乾水便 僧堂溫煖 發願三年不出門 決定有箇受用 有等 纔做工夫 心地淸淨 但見境物現前 便成四句 將謂是大了當人 口快舌便 誤了一生 三寸氣消 將何保任 或話頭綿密 無有間斷 不知有身 謂之人忘法未忘 有到此忘其本身 忽然記得 如在夢中跌下萬仞洪崖 只顧救命 遂成風癲 到此 須是緊提話頭>
*해설
반야화상般若和尙은 남악선사의 23세손이고, 영운지정靈雲持定 선사로부터 법을 받았다, 이 법문도 대중에게 하는 시중 법문이다. 3년만 두문불출하고 화두 참선을 해보라는 간절한 법문이다. 꿈에 만길 절벽에서 미끄러져 떨어질 때에 오직 살려고 발버둥 치듯이 오직 화두 하나에 집중 몰입하여 보라는 말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