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누군가가 비밀리에 남겨 놓은 보물을 발견하는 것만큼 흥분되는 일은 없다. 특히, 보물을 남겨둔 사람이 전세계 보물이란 보물은 다 약탈했던 유명한 해적이라면 말이다. 보물에 대한 사람들의 동경은 문학작품에도 반영되어, 그 유명한 <보물섬-Treasure lsland>과 뒤마의 장편소설 <몽테크리스토백작- Le Comte de Monte-Cristo>에서도 보물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소재가 되었다. 특히, 보물이 숨겨진 곳을 알려주는 보물지도 등은 대부분 우연한 기회에 주인공의 손에 들어 오게 된다는 특징도 있다.
예전에, 한 어부가 쭈꾸미의 통발을 올리다가 쭈꾸미 한 마리가 신기하게 보이는 접시를 발로 감싸고 있는 것을 목격한 적이 있다. 접시를 자세히 보니 아무래도 요즘 물건 같지는 않았다고 한다. 빛깔이며 생김새가 고려청자 같다는 생각이 든 그는 군청에 이를 신고하고 감정을 받았는데, 진품 고려청자였다고 한다. 쭈꾸미가 가져다 준 고려청자의 발견으로 이 지역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었고, 마침내 고려청자 2만 여점과 함께 850여년 전 침몰한 배(shipwreck)를 발견하게 되었다.
[예문] They found a $5 million treasure of gold and silver coins from a shipwreck.
그들은 그 침몰선에서 5백만 달러에 달하는 금화와 은화를 발견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배의 상태로 볼 때 선박의 총 길이는 지금까지 확인된 고려선박 중 규모가 가장 큰 20m 가량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또한 이 배에 최소 6천에서 최대 3만 점 가량으로 추산되는 고려청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지금까지는 이 중 1만 9000여 점을 수습했다고 한다. 그야말로 역사적으로 가치를 가진 귀중한 보물선(treasure ship)이 발견된 것이다
바닷가에서 수영하는 꿈과 누군가에게 하얀 뭔가를 받는 꿈을 꾸었다는 쭈꾸미잡이 어부는, 주꾸미 한 마리가 이런 보물선을 낚을지는 꿈에도 몰랐다며 기뻐했다. 후에 이 어부는 보물선을 발견한 공로로 2천 여만원의 포상금을 받게 되었다.
도자기는 영어로 porcelain이라고 한다. 흔히 차이나(china)라고 하는 것은 중국에서 만든 고급 도자기를 의미하므로, 더 광범위한 도자기를 의미할 때는 porcelain을 사용한다. 골동품 도자기의 경우에는 antique porcelain이라고 한다. 참고로, 영국에도 도자기로 만든 주전자가 있는데, 이를 Spode라고 부른다.
[예문 1] Teacups are often made of porcelain.
찻잔들은 흔히 자기로 만들어진다.
[예문 2] They sold a valuable art collection and a collection of porcelain at the auction.
그들은 경매에서 값나가는 예술 수집품과 도자기 수집품을 팔았다.
ㆍ침몰선 - shipwreck
ㆍ보물선 - treasure ship
ㆍ도자기 - porcelain
ㆍ골동품 도자기 - antique porcel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