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도 이 부분은 그린우드에게 필요한 인터뷰 아닐까 싶다. 필자는 투톱의 위치에서 반드시 스위칭 플레이를 할 줄아는 선수가 있어야 다음 시즌 지금의 공격수를 가지고 리그 우승과 챔스 우승을 염두에 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올시즌만이 아니라 솔감독 부임이후 공격수들에게 가장 부족한 부분은 스위칭 플레이다. 상대를 압박하는 위치에서 공을 가지고 있든 아니든, 상대 후방을 압박해서 상대의 라인을 내리는 역할을 해줘야 한다.
그린우드에게는 이러한 형태의 축구가 뭔지 생소할지 모른다. 실제 맨유 경기에서 공격수는 늘 뛰는 위치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는다. 래쉬포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위칭해서 드리블한 경우가 거의 없다. 늘상 루크쇼와 함께 위치를 공유한다.
올시즌의 전술은 그럼에도 위협적인 루트이기도 가능한 전술이지만 누군가는 중앙에서 상대의 라인을 내리는 형태의 스위칭 플레이가 제대로 필요하지 않을까 필자는 살포시 예상해 본다.
어쩌면 솔감독이 원하는 형태의 공격루트는 스위칭 플레이로 귀결될 지 모를일이다. 현 상황에서 그러한 전술 구사가 어렵기 때문에 카바니 영입에 공을 들였을지 모를 일.
경기를 보다보면 솔감독은 골리와 같은 선상으로 수비라인을 내려서 빌드업 하는 형태의 전술을 자주 구사한다. 상당히 위험한 전술임에도 이 빌드업을 자주 시도하는 이유는 뭘까?
상대가 압박을 하러 내려오면 후방의 공간이 크게 뚫린다. 그런데 쇄도하는 선수가 거의 없다. 투톱체제라면 팀 전원이 라인을 내릴 때, 누군가는 상대 라인을 허물고 전진하는 공격수가 필요하다. 그런데 그런 선수가 없다.
아마도 골리와 같은 선상의 빌드업의 목적인 상대의 후방을 일시에 허무는 라인브레이킹 유형의 9번을 쓰기 위한 전술이 아닐까 싶다.
[ 투볼란치와 투 미들 전술 구성 변화 - 전문적인 박투박 미드필더의 추가 영입 가능성 높음. ]
현재 투볼란치를 쓰는 솔감독의 전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앞서 말한 것처럼 투톱체제의 확립이다. 현재의 구성으로는 투톱의 연계에 다음 시즌 플랜 A의 한축으로 전술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투볼란치와 투 미들의 전술 구성의 차이는 간단하다.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가장 매끄러운 형태로 투볼란치를 선호하는 까닭에 4인 체제의 중앙 빌드업(수비형 미들 두명과 중앙 수비수 두명이 빌드업하는 형태)보다 스리백을 기반으로 세명의 스토퍼는 상대 압박에 탈압박으로 대응하고, 투 볼란치에 선 선수는 빌드업에 참여해 수비수와 볼을 주고 받는 형태로 대응하고 있다.
점유율을 위한 빌드업은 아니지만 이 빌드업에서 프레드-맥토미니가 담당하는 역할은 2선으로의 볼 전개인데, 생각보다 쉽게 전개되지 않는다.
매번 매경기 보면서 투볼란치를 보는 프레드와 맥토미니의 경기를 보면서 느끼는 건 볼전개를 하는데 고전하는 건 아니지만 공격의 흐름이 다소 보이는 형태의 투볼란치 조합이라는 거다. 공격을 만드는 형태의 전술이 필요한데, 현 스쿼드에서 최고의 조합이긴 하지만 볼 배급이 쉽지 않은 이유는 공격 전술에서 투볼란치가 패스 루트를 정하는데 가장 용이한 공격수의 라인 브레이킹 전술의 부재다.
필자가 말하는 라인 브레이킹의 전술은 킥앤 러쉬의 전술이 아니다. 걍 필요할 때 상대를 후방을 지긋이 눌러주는 형태의 라인 브레이킹을 말하는 거다.
브라질에서 탄생한 투 볼란치라는 개념은 기본적으로 4-2-4 포메이션을 바탕으로 4명의 공격수가 상대의 라인을 깨는 형태의 공격을 할 때, 볼을 어느 방향으로 배급할지 결정하는 미드필더를 의미한다.
포루투갈 어로 배가 회전하거나 전진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타라는 의미로 볼란치라는 용어를 쓴다. 그런데 현 맨유는 상대의 라인을 깨는 선수가 브라질처럼 4명은 고사하고 딱 한명이다.
아마도 투볼란치로 선 선수들이 선수 말년의 스콜스처럼 후방에서 단번에 전방으로 지르는 패스의 형태를 언젠가는 솔감독이 전략적으로 구사할 것이다. 현재는 요원한 일이라서 시도를 안하는 것으로 보인다.
투볼란치 형태에서 수비형 미드필더의 압박도 중요하지만 공격 전개를 얼마나 매끄럽게 할 수 있느냐의 여부가 솔감독의 축구에선 더 중요하다. 맥토미니-프레드는 최고의 조합이지만 안타깝게도 박투박 형태의 개싸움을 해줄 미드필더의 역할에선 다소 벗어나 있다.
따라서 상당히 안적인 수비와 공격의 배분으로 경기를 진행하는 프레드-맥토미니 조합이 아닌 상대를 압박하는 개싸움을 해줄 미드필더의 역할을 통해 수비형 미드필더에게 많은 자유도를 부여해줄 선수 한명을 영입할 가능성이 크다. 후반에 전술 변화에 용이한 수비형 미드필더의 영입을 서두르는 이유는 이 때문이 아닐까 싶다.
상당히 안정적인 수비와 공격의 배분으로 효율적인 빌드업 형태는 볼을 많이 주고 받지만 현 스쿼드에서 투볼란치는 전형적으로 상대를 압박하는 축구가 아닌 상대의 맥을 끊는 역할과 패스에 치중되어 있다.
아마도 이 부분에 대한 상대적인 다른 전술의 구사가 어렵기에 원래의 의미에 해당하는 정통 수비형 미드필더 내지는 박투박 미드필더의 영입을 서두르는 이유일 것이다. 실제 맨유는 상대를 압박하는 형태의 거친 축구가 아니라 안정적인 패스를 바탕으로 경기를 진행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다른 퀄리티에 해당하는 선수 영입으로 플랜 B전술이 다음 시즌에는 반드시 필요하다.
맨유의 축구가 언제부터 얌전한 축구를 구사했는지는 까마득하지만 아마도 이 패턴을 단번에 바꿀 영입을 반드시 할 것으로 보인다.
[ 솔감독의 스리백 사용 여부와 스리백 전술 구성 ]
스리백의 핵심은 루크쇼-브루노 라인과 카바니- 그린우드 투톱
이미 전술 상의 효험을 본 포메이션이라 솔감독의 의중에 있을 법하지만 의외로 이 전술은 공미플레이 메이커가 공격수처럼 움직여야 상대가 빌드업 압박을 못하게 막을 수 있다.
그리고 투톱은 와이드하게 벌리는 형태가 아닌 침투와 패스 형태로 자주 상대 오프사이드를 공략해야 이 전술은 성공할 수 있다.
아래 화면을 보자.
투톱의 공간활용(빌드업과 침투 사이에 위치하는 공격수의 전진.)
비슷하지만 다른 투톱의 활용성을 보기로 하자.
그래서 필자는 스리백을 쓰든 포백을 쓰든 현재의 원톱 체제가 아닌 투톱체제로 전환해야 2021 시즌에 상대를 깊숙이 압박하고 브루노를 공미와 쓰리톱의 어딘가에 놓고 쓸 수 있는 형태의 하이브리드 쓰리톱 전환도 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이다.
제로톱 전술과 투톱, 그리고 스위칭 플레이를 하는데 있어 원톱이 아닌 투톱의 중요성은 다음 시즌에 솔감독이 어떤 전술로 임하느냐에 달려 있지만 필자는 현상황에서는 원톱보다는 투톱이 다음 시즌에 다득점에 유리한 고지를 점령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스리톱을 쓴다면 자주 쓸만한 포메이션으로는 3-4-1-2 포메이션일 텐데, 현 스쿼드 기준으로 볼 때, 투톱 밑에 위치하는 공미는 제로톱 형태로 상대 후방을 압박해줘야 맨유의 팀 전술에서 빌드업을 자유롭게 구사하기 쉽지 않을까 싶다.
올시즌 가장 괄목할만한 찬스 창출의 비약적 상승은 맨유가 실점후 역전하는 패턴을 가장 많이 창출해 내는데 기여한 선수가 있다. 브루노일까? 아니다.
필자는 루크 쇼라고 생각한다.
일단 이 질문부터 먼저 해보자. 상대 파이널 써드 중앙 부근으로의 패스 빈도가 가장 많았던 선수는 누구일까? 브루노? 아니다. 필자가 알기로는 루크쇼다.
아래 화면을 보자.
해당 캡쳐는 여기서...
올시즌 수치상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상대에게 가장 위협적인 크로스를 올린 선수로 루크쇼를 들 수 있는데, 2021 시즌 50개의 기회창출 대부분이 헤딩을 통해 득점이 가능한 위치로 대부분 공격을 주도하고 있다. 팀 내에서뿐만 아니고 전세계 풀백 중에서 단연 톱이 아닐까 싶다.
그에 대한 통계는 아직 필자가 구하지 못했다. 다음 칼럼에서 인용해 보기로 한다.
[ 2021 시즌의 솔감독의 공미 플메의 활용 법 ]
지금처럼 포그바와 브루노의 활용법으로 가는 것이 최선이나 반더비크의 활용은 현재까지는 미미하다. 어저면 반더비크의 역할은 다음 시즌에 꽤 한계에 많이 부딪힐 것이다.
반더비크가 현재의 스쿼드에서 제약을 받는 이유는 몇가지로 나눠 볼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그가 상대 후방에까지 와서 압박과 공격전개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경기 양상을 보면 출전할 때마다 볼을 스스로 잡아서 공격을 전개하는 부분이 상당히 부족하다.
포그바-브루노와 다른 유형의 공격형 미드필더로 쓸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볼을 자주 만지지 못하는 상황에서 그의 역할은 상당히 미미할 수 밖에 없다.
이 부분은 아약스에서는 장점이 될 지 몰라도 현 맨유의 위치에서는 큰 약점이 되고 있다. 어쩌면 지금 웨스트 햄에서 한창 폼이 좋은 린가드처럼 그는 볼을 달고 치고 가야 한다. 그런데 그 부분에 문제가 있다면 앞으로도 계속 스쿼드에서 중용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반더비크를 제대로 활용해야 한다면 상대 미드필더 내에서 박투박으로 개싸움을 해줄 선수가 필요하다.
아쉽지만 프레드는 공격형 미드필더의 성질을 가진 수비형 미드필더에 가깝고, 맥토미니는 수비형 미드필더이나 상대의 역습을 막는 수비형 미드필더이지 전방에서 개싸움을 하는 미드필더가 아니다.
따라서 현재 정통 9번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린가드가 다시 복귀된다면 솔감독이 린가드를 몇번 써볼 기회가 생긴다면 린가드의 폼은 현 웨스트 햄 시절의 퍼포먼스를 그대로 보여줄 가능성이 크다.
어저면 반더비크의 업그레이드 된 버전의 축구를 구사할 지 모른다.
글을 마치며.
일단은 솔감독의 전술 옵션 변화를 선수의 폼과 성향을 기초로 현 스쿼드 내에서 어떻게 다음 시즌을 운용할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제 생각에는 다음 시즌 솔감독은 투톱 체제 형태의 전술을 염두에 두고 있는 듯 합니다. 케인이 영입될 수 있다면 좋겠는데, 그 다음 순위로는 산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먼저 영입될 선수가 누가 될지는 모르겠고, 현재 링크가 진하게 유지되고 있는 아람바리는 현 맨유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수비형 미드필더의 요건에 해당하는 선수가 맞지 싶습니다.
이상은 간단하게 써본 다음 시즌의 솔감독의 전술변화에 대한 예상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