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 재13장 본문해설
寵辱若驚, 貴大患若身. 何謂寵辱若驚.寵爲下, 得之若驚, 失之若驚, 是謂
총욕약경, 귀대환약신. 하위총욕약경.총위하, 득지약경, 실지약경, 시위
寵辱若驚,何謂貴大患若身.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及吾無身, 吾有何
총욕약경,하위귀대환약신. 오소이유대환자, 위오유신.급오무신, 오유하
患.故貴以身爲天下者, 若可寄天下, 愛以身爲天下者, 可以託天下.
환.고귀이신위천하자, 약가기천하, 애이신위천하자, 가이탁천하.
* 本文 第十三章= 총애함과 욕됨을 두려운 듯이 여기고 큰 근심 귀하게 여김을 자신의 몸처럼 한다는 뜻은 뭘 말하는 것인가? 총애함과 욕됨을 두려운 듯이 여긴다는 것은 총애함은 아래를 위하는 것인데 얻어도 두려운 듯이 여기고 잃어도 두려운 듯이 여긴다 이를 일러 총애함과 욕됨을 두려운 듯 이 여긴다는 것이요 뭘 갖다 큰 근심 귀하게 여기길 몸처럼 한다 함인가? 내가 큰 근심 가진 것을 내 몸처럼 여긴다면 내 몸이 없어진다 면 내 뭘 근심할 것인가? 몸을 귀하게 여김으로써 천하를 위하는 자는 천하를 자기에게 의지케 하고 (*끌어 붙들어주던), 제 몸을 아낌으로써 천하를 위하려는 자는 천하에(*다른 이에게) 빌붙어 살려한다(*제 몸을 천하에 의탁하려한다), (*진 선과 위선의 갈름도 되고 또 뒤에 나오는 문장형태를 본다면 그 아님도 된다)
* 총애와 욕됨을 입는 것을 놀라킴을 입는 것 같이 여긴다하고, 큰 근심을 귀하게 여김을 몸같이 여긴다 함이나니, 무엇을 갖다가선 총애함과 욕됨 놀라키는 것으로 여기는가 한다면 총애함으로 아래를 위하려 든다면 얻는 자도 뜻밖에 황감하게 은총을 받는지라 놀라워 여기고, 잃는 자도 여지 것 하사 받던 은총을 잃어버리는 것이라 이래 놀라워 여기리니 이를 갖다가선 총애 함괘 욕됨이 놀라키는 것이라 여김이요,
무엇을 갖다가선 큰 근심 귀하게 여기길 몸같이 한다하는가 하면, 내 큰 근심을 가졌다하는 것으로써 내 몸 있음을 위하여 내 몸 없는데 까지 미치는 지라 내게 무슨 근심을 가지게 될 것인가 이래 그러므로 몸의 귀함으로써 천하를 위하려 드는 자는 바르게 천하가 의지하려들 것이요 몸을 애낌 으로써 천하를 위하려 드는 자는 그렇게 천하가 의탁하려 들 것이기 때문이라, 이를 그렇게 말한다 할 것이다
蘇註소주
古之達人驚寵如驚辱知寵之爲辱先也 貴身如貴大患知身之爲患本也 是以
고지달인경총여경욕지총지위욕선야 귀신여귀대환지신지위환본야 시이
遺寵而辱 不及忘身而患不至所謂寵辱 非兩物也 辱生於寵而世不悟以寵爲
유총이욕 불급망신이환불지소위총욕 비양물야 욕생어총이세불오이총위
上 而以辱爲下者皆是也 若知辱生於寵 則 寵固爲下矣 故古之達人 得寵
상 이이욕위하자개시야 약지욕생어총 즉 총고위하의 고고지달인 득총
若驚失寵若驚未嘗安寵而驚辱也 所謂若驚者 非實驚也 若驚而已貴之爲言
약경실총약경미상안총이경욕야 소위약경자 비실경야 약경이이귀지위언
難也 有身大患之本 而世之士難於履大患 不難有其身 故聖人因其難於履
난야 유신대환지본 이세지사난어이대환 불난유기신 고성인인기난어이
患 而敎之以難於有身 知有身之爲難 而大患去矣 性之於人生不能加 死不
환 이교지이난어유신 지유신지위난 이대환거의 성지어인생불능가 사불
能損其大可以充塞天地 其精可李水火入金石 凡物莫能患也 然天下常患
능손기대가이충새천지 기정가이도수화입금석 범물막능환야 연천하상환
亡失本性 而惟身之爲 見愛身之情篤 而物始能患之矣 生死疾病之變攻之
망실본성 이유신지위 견애신지정독 이물시능환지의 생사질병지변공지
於內 寵辱得失之交 之於外 未有一物而非患也 夫惟達人 知性之無壞 而
어내 총욕득실지교영지어외 미유일물이비환야 부유달인 지성지무회 이
身之非實忽然忘身 而天下之患盡去然後可以涉世而無累矣 人之所以驚於
신지비실홀연망신 이천하지환진거연후가이섭세이무루의 인지소이경어
權利溺於富貴犯難而不悔者 將以厚其身耳 今也祿之以天下 而重以身任之
권이익어부귀범난이불회자 장이후기신이 금야록지이천하 이중이신임지
則其忘身也 至矣如此 而以天下與之 雖天下之大不能患之矣.
즉기망신야 지의여차 이이천하여지 수천하지대불능환지의.
* 소씨는 주석하대 옛날 통달한 사람은 총애함을 받는걸 두려워하길 욕됨을 받는 것처럼 두려워 여겼으니 (* 譯者 拙解= 인심과 세사가 상황 따라 졸지에 변하길 잘하니 언제 또 뒤바뀔지 모르기 때문이다 총애함을 받을수록 과시하지 않고 좌불안석 전전긍긍해 행동거지 처신을 더욱 조심한다는 뜻이다 ) 총애함이 욕됨보다 앞선 것을 안다 할 것이다 (*역자 졸해= 총애함을 받음이 다하면 욕됨이 이를 건 기정사실이다 그러므로 다하지 않겠끔 은은한 처신을 하여 충성만 하였지 지나친 아부를 하여 많은 점수를 딸려 하지 않는다는 것임) 몸을 귀하게 여김을 큰 근심을 귀하게 여기는 것같이 한다함은 몸이 근심의 근본인줄 알기 때문이다 (*譯者 拙解= 언제 상황이 돌변할지 모른다 귀한 몸이 一落 千丈(일락천장)하여 누명을 쓰고 참수 당한다면 이- 몸가진게 큰 근심 덩어리가 아닌가? 몸이 없다면 무슨 누명을 쓸 근심을 하며 죽을 근심을 하겠는가? 이런 뜻도 통함) 이래서 총애함을 포기해서 욕됨이 미치지 않게 한다는것이요 자신이란걸 잊어서 근심이 이르지 않게 한다는 것이다 (*이른 바 총애와 욕됨의 성향이 서로 별개의 성향을가진건 아니다) 욕됨이 총애를 받음에서 생기는걸 세상사람은 깨닷 질 잘못한다 총애함을 윗됨을 삼고 욕됨으로 밑을 삼는다는게 다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렇듯 욕됨이 총애함에서 남을 알면 총애함이 실로 아래를 위하는 게 될 것이라 그러므로 옛의 통달한 사람은 총애함을 받아도 두려워하고 총애함을 잃어도 두려워하고 일찍이 총애함을 편안히 여기고 욕됨을 두려움으로 여기 지않는다 한다 이른바 두려워하는 듯 하다는 것은 두려워함과 같다는 것이나 실로 두려워 하는 건 아니다 두려워하는 것 같을 따름인 것이다 귀함됨이어렵다 말하는 것은 몸이란 게 큰 근심의 근본을 가진 게 되기 때문이다 세상의 (*뜻있는)선비 큰 근심 밟는걸 어려워하지 그 몸 존재하는걸 어려워 여기지 않는다 그런 까닭에 성인이 근심 밟음을 어려움으로 여김으로 인하여 가르치데 몸가짐을 어려워 여기라는 것이다 몸 가진 걸 어려워 여길 줄 알아서 큰 근심을 던다 성품이 사람에게서 살아있다고 해서 잘 덧보태기 함도 없고 그렇다고 죽는다해서 잘 덜어내지도 않는다 그 큰 것은 천지를 가득 메우고 그(*精)정신한 것은 물불을 밟게 하고 금석을 뚫게 한다 대저 물질이란 걸 그렇게 잘 근심할게 없는데 그렇게 천하 늘상 근심함은 근본 성품을 잃어버릴까 에서니 오직 몸을 위하는걸 몸 아끼듯 독실함을 보아서 물질을 대하여 그 됨됨이를 시종일관 근심할 것이라 나고 죽음과 질병은 안으로부터 쳐 나오는 것이요 총애와 욕됨 잃고 얻음의 사귐은 밖에서부터 움켜 들어오는 것이니 한가지라도 근심 아닌 게 없다 대저 그렇게 통달한사람은 성품의 헐어짐을 잊어서 몸을 채우려 들지 않나니 홀연히 몸을 잊어서 천하의 근심을 다 버린다 그런 후라야 바르게 세상을 건네는데 얽매임이 없다 할 것이다 사람이 권익을 쫓고 (*權利에 매달리고) 부귀에 빠져 어려움을 범하여도 뉘우치지 않는 것은 장차 그 몸을 두텁게 함에 있을 뿐이니 이제 록을 천하로써 삼아서 몸의 맡음(*所任)을 소중히 여기면 그 몸을 잊은 게 지극한 경계에 도달했다 할 것이니 이와 같이해서 천하로써 같이 어울리면 비록 천하 크다 하더라도 그렇게 근심할 것 못되리라
呂註여주
寵者畜於人者也 下道也寵而有其寵則辱矣 吾之所以有辱者 以吾有驚未得
총자축어인자야 하도야총이유기총즉욕의 오지소이유욕자 이오유경미득
之 則驚得之 旣得之 則驚失之 若吾無驚吾有何辱則寵之有辱者 亦若是而
지 즉경득지 기득지 즉경실지 약오무경오유하욕즉총지유욕자 역약시이
已 貴者畜人者也 上道也 貴而有其貴則有患矣 吾之所以有大患者 爲吾有
이 귀자축인자야 상도야 귀이유기귀즉유환의 오지소이유대환자 위오유
身 故吉亦我所患 凶亦我所患 若吾無身 吾有何患 則貴之有大患者 亦若
신 고길역아소환 흉역아소환 약오무신 오유하환 즉귀지유대환자 역약
是而已 言身則知驚之爲心 言驚則知身之爲累也 無心則無驚 無驚則無辱
시이이 언신즉지경지위심 언경즉지신지위루야 무심즉무경 무경즉무욕
無身則無累無累則無患 昔者舜以匹夫而友天子 則可謂寵矣 而若固有之
무신즉무루무루즉무환 석자순이필부이우천자 즉가위총의 이약고유지
則何辱之 有魏魏乎有天下 可謂貴矣 而不與有焉 則何大患之有 故貴以身
즉하욕지 유위위호유천하 가위귀의 이불여유언 즉하대환지유 고귀이신
爲天下 若可寄天下 寵而招辱 則賤其身矣 非可以寄天下者也 愛以身爲天
위천하 약가기천하 총이초욕 즉천기신의 비가이기천하자야 애이신위천
下 若可託天下 貴而罹患 則危其身矣 非可以託天下者也 若夫寵而不有其
하 약가탁천하 귀이이환 즉위기신의 비가이탁천하자야 약부총이불유기
寵 貴而不有其貴 而不有其貴如舜者 乃眞可以寄託天下者也 .
총 귀이불유기귀 이불유기귀여순자 내진가이기탁천하자야 .
* 여씨는 새겨 풀 대. 총애라는 것은 남에게 양육 받는 것이라 아랫된 길이다 총애한다해서 그 총애함을 받음이 있으면 욕되리라 (*남에게 양육 받는다는 건 그렇게 내놓고 자랑할 것 못된다는 것이다 왜냐? 요즈음의 애완동물처럼 노리개에 불과한 것임으로 남의 희롱 놀이감에 지나지 아니하니 속이 있는자 욕됨으로 여긴다 할 것이다 물론
그것도 영리목적의 하나의 수단은 될 수 있다 세상 처신이 수단과 목적이 다는 아닌 것이니 그 사람을 평가할 제 어떻게 살았느냐의 과정을 중시하는 수가 많아 후세에 남기게 되는 것이다 ) 생각하길 내게 욕됨이 있다는 것은 내가 두려워하는 게 있다는 것이니 얻지 못했을적엔 얻기를 두려워하고 이미 얻어선 잃을 까를 두려워한다 만일 내가 두려워할게 없다면 무엇이 욕됨이 있을건가? 곧 총애 받음에서 욕됨이 있다는 것은 또한 이같을 따름이다 귀한자는 남을 길르는 자니 윗 된 길이다 귀해서 그 귀함이 차면 근심할게 찬것이리라 내가 큰 근심을 가졌다는 것은 내 자신을 위하는 몸을 가졌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길해도 또한 내게 근심이 되고 흉해도 역시 내게 근심이 된다 만약상 내몸이 없다면 내 무슨 근심을 할 것인가? 곧 귀함은 큰 근심을 가졌다는 게 역시 이 같을 따름이라 몸을 말하면 마음이 내달림을 알 것이고 내달림을 말하면 몸이 얽매이게 됨을 알 것이다 마음 쓸게 없으면 두려움이 없고 두려울 게 없으면 욕됨이 없고 몸이 없으면 얽메임이 없고 얽메임이 없으면 근심이 없다 옛적에 순임금이 필부일 적에 천자를 벗하였다면 곧 총애함을 받았다 할 것이라 만일 진실한 면을 가졌다면 무슨 욕됨을 두었다 할 것인가? 고상하게 (*품위를 지켜)천하를 두었으니 그렇게 귀함이라 할 것이리라 또(*而) 더불어 두지 않았다 한들 무슨 큰 근심을 뒀다 할 것인가? 그러므로 귀한 몸으로 천하를 위하는 것을 갖다 천하를 바른데 의지하게 한다는 것이고 총애함을 받아서 욕됨을 불렀다하면 그 몸을 갖고 천하에 의지하려 듦이리라(*관점의 다양성 시각차이 =나쁘게 보는 것이 좋게보는 것으로 될 수도 있고 좋게 보는 것이 나쁘게보일수도 있다는 것이니 입장의 전도나 여러 다양성을 일으킬수 있다) 천하를 끌어 붙들고자 아니하는 자는 제몸을 아껴서 천하를 위하려 드는 것이니 이를 갖다 천하에 의탁하려 든다 할 것이다 귀하여서 근심을 만나면 그몸이 위태하리나 그렇게 천하에 의탁하려 들지 않는 자이다 만약상 총애함을 받는데도 그 총애함을 두지 않았다 여기고 귀하여도 귀함을 두지 않았다 여김은 순임금 같은 이가 참으로 해당하는 자로써 천하에 의탁하였다 할 것이다 (*그러니까 이래저래 논리전개에 유리한대로 적용한다는 것이니 이것을 公理 사상이라 할 것이다)
朴註박주
若驚驚懼之意 寵則當喜不以爲喜 而以爲驚懼 辱則當 不以爲恥而以爲驚
약경경구지의 총즉당희불이위희 이이위경구 욕즉당치불이위치이이위경
懼皆謙遜畏謹之 至不有其身也 貴猶言重也 人但知重其身而 不知以大患
구개겸손외근지 지불유기신야 귀유언중야 인단지중기신이 불지이대환
爲重若能以大患爲重其慮患也 深矣 辱爲下省文也 此上或脫寵爲上三字或
위중약능이대환위중기려환야 심의 욕위하성문야 차상혹탈총위상삼자혹
當有若驚二字 而無辱爲下字 皆未可知也 得之謂寵失之謂辱無身不有其身
당유약경이자 이무욕위하자 개미가지야 득지위총실지위욕무신불유기신
也 言人所以有患者 皆爲自私其身我無自私之心 則患無由至矣 故以貴吾
야 언인소이유환자 개위자사기신아무자사지심 즉환무유지의 고이귀오
身之心貴天下之人 則人皆戴我而可以寄於天下矣 以愛吾身之心愛天下之
신지심귀천하지인 즉인개대아이가이기어천하의 이애오신지심애천하지
人 則人皆慕我而可以託於天下矣 可寄可託則 不但無患而已 此皆不私其
인 즉인개모아이가이탁어천하의 가기가탁즉 불단무환이이 차개불사기
身之效也 .
신지효야 .
* 박씨는 주석하대. 두려운 듯 함이란 두려워한다는 뜻이다 총애하면 마땅히 기뻐해야 할 것이나 기뻐하지 않고 두려워 한다함과 욕됨을 마땅히 부끄러워해야 할 판인데 부끄러워하지 않고 두려워한다는 뜻은 모두가 겸손함을 보여서 삼가 두려워한다는 뜻이니 자신을 내세우지 않음의 지극한 경계이다 귀함은 오히려 소중함을 말함이다 사람은 단지 그자신의 소중함을 알아서 큰 근심의 소중함을 모른다 만약상 그렇게 큰 근심을 소중하게 여김은 그 근심을 생각하는 게 깊음이리라 욕됨 아래 문장을 살펴 볼진대 이 글자 위에 혹 寵爲上(총위상) 세 글자가 벗어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들고 혹 마땅히 若驚(약경) 두 글자를 두었어 야 할 것인데 없고, 辱 爲下(욕위하) 글자를 다알지 못함이다 얻음은 총애를 가르키고 잃음은 욕됨을 가리킴이다 無身(무신) 이란 몸을 가졌지 않았다는 뜻이고 사람이 근심을 가졌다는 것은 다 사사로움이 그 몸으로 부터라 할것이니 자신이 사사로운 마음이 없다면 근심이 말미암아 이를게 없으리라 그러므로 자신의 몸을 귀하게 여기는 마음으로 천하 사람을 귀하게 여기면 사람들이 다 나를 이어 받들어서 그렇게 천하가 내게 의지하려 들것이리라 제 몸을 아끼는 마음으로 천하 사람들을 아끼면 천하 사람이 다 나를 흠모해서 그렇게 천하에 의탁하려 들수 있으리라 그렇게 끌어 잡아 붙들어주고 그렇게 흠모함을 받아 의탁할수 있다면 모두가 그러함이 없지 않을까 를 근심할 따름이리라 이런 것이 모두 그몸이 사사롭지 않은 본받음이 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