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불린(磨而不磷)갈아도 얇아지지 않는다磨 : 갈 마而 : 말 이를 이不 : 아닐 불磷 : 얇아질 린출전 : 논어(論語) 양화(陽貨)기대승(奇大升)이 오래된 벼루를 노래한
‘고연가(古硯歌)’의 한 대목이다.
(剛材儘挺一元秀, 虛中欲涵萬物變. 德全自可試磨涅, 容靜未必從輾轉).
굳은 재질 천지의 빼어난 기운 다 뽑았고,
속은 비어 만물 변화 모두 받아들인다네.
온전한 덕은 갈고 물들임 시험해볼 수 있고,
고요한 그 모습은 구르고 옮김 아예 없다
단단한 벼루 돌에 천지의 빼어난
기운이 단단하게 뭉쳐 있다.
하지만 속이 텅 비었으므로
무엇이든 다 받아들일 수가 있다.
이것이 온전한 덕의 모습이다.연지(硯池)에 맑은 물을 붓고 먹을 갈면
어느새 진한 먹물로 변하는 놀라운 변화가 일어난다.
그러면서도 벼루는 묵직하게 놓인 채 움직이지 않는다.그는 벼루를 보면서
자꾸 인간의 덕성을 겹쳐 읽는다.
굳고 단단한 심지를 지녔으되
허심탄회하여 사물을 포용한다.
그 덕은 온전하여 어떤 일을 맡겨도 해낼 수가 있고,
그 모습은 고요하여 상황에 따라 흔들리지 않는다.벼루가 없으면 글씨를 쓸 수가 없고,
이 사람이 아니고는 그 일을 해낼 사람이 없다.
나는 벼루 같은 사람인가?
단단하고 텅 비었나? 온전하고 묵직한가?3구의 ‘마날(磨涅)’은 갈고 물들인다는 의미인데,
‘논어'의 ‘양화(陽貨)’에서 끌어왔다.
중모(中牟) 땅을 다스리던 필힐(佛肸)이
공자를 청하자 공자가 가려 했다.
제자 자로(子路)가 말렸다.
“선생님! 옳지 않은 짓을 한 사람에게는
군자가 가지 않는다고 하셨잖습니까?
왜 만나시려고요?”
(不曰堅乎. 磨而不磷. 不曰白乎. 涅而不緇)?그릇이 못 되는데 왜 굳이 만나려 하시냐는
자로의 돌직구에 스승이 대답했다.
“갈아도 얇아지지 않으니, 단단하다 하지 않겠느냐?
물들여도 검어지지 않는다면 희다고 할 수 있겠지
대답의 뜻은 이렇다.
“내가 단단하고 결백하다면 그가 나를 어찌 갈고
어이 물들일 수 있겠느냐?
염려하지 말아라.
제자는 ‘길이 아니면 가지를 말라’는 뜻으로 묻고,
스승은 ‘내가 단단하면 끄떡없다’는 의미로 대답했다.대답이 어째 조금 옹색한 느낌이지만,
말에는 자신감이 넘친다.
공자는 과연 필힐을 찾아가 만났을까?
그를 만나 변화시킬 수 있었을까?
-옮긴 글-
출처: 바람에 띄운 그리움 원문보기 글쓴이: 학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