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곡성 농부 이재관
수년 전 전라도닷컴이 마련한 ‘아름다운 전라도말 자랑대회’에서 그이를 처음 보았다. ‘영판오진상’을 받은 이재관씨.
“모다 일흔 넘으신 어르신들 열대여섯 명이 사는 마을에 들어가갖고 열심히 산 것이 좋아 보였는가 전국 각지 사람들이 우리 동네로 막 따라 들와불었어라. 곡성 인구 증가에 큰 역할을 했다고 도지사가 상을 준다고 허드니 종우떼기 한나를 주드만.”
‘이것을 어따 쓰까’ 궁리 끝에 그이는 그 상장을 코팅해서 표가 나게 지게에 붙이고 다니노라 했다. 그이가 좌중에 내어놓은 맺음말이 뭉클하였다. “시방 농촌 인구가 삼백만으로 쫄아불었어라. 많헌 사람들이 촌에 와서 노인들 지혜 없어져뿔기 전에 받아갖고 살 만헌 시상으로 맹글어가문 좋겄는디….”
사라져가는 도서관과 같은 마을 어르신 한 분 한 분의 지혜를 받자오며 살아가고 있는 이재관(56·전남 곡성군 겸면 괴정리)씨. “이 좋은 것을 나 혼자 누리기 아까워서” 그이는 인터넷 세상에 ‘이야기가 있는 산골-귀농사랑방’을 열고 ‘참죽나무’라는 이름으로 마중물을 부어가며 ‘귀농 뽐뿌질’을 계속하고 있다.
▲ 곡성 농부 이재관 씨
“내가 부당한 것에는 놈보다 빨리 부닥쳐요”
아내 김귀숙(55)씨와 아홉 마지기 논농사에 500여 평 밭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는 농부 이재관은 농사꾼의 7남매 가운데 다섯째로 태어났다. 직업훈련원을 나와 열아홉 살에 울산 현대엔진의 선반 노동자가 됐다. 철야와 특근을 밥먹듯이 하면서 한 달에 500시간을 일하기도 했다.
1987년 현대그룹엔 처음으로 노동조합이 만들어졌고 골수 노조원 이재관에게는 투쟁의 삶이 시작됐다. 1989년 그가 다니던 회사는 현대중공업에 합병됐고 1990년 ‘골리앗투쟁’ 당시 그는 현대중공업 노조 첫 편집실장으로 ‘참붓언론’과 ‘민주항해’를 통해 현장의 동료들에게 분노와 눈물과 위안과 투지를 전했고, 투쟁속보를 제작 배포했다. 그런 이유로 구속되어 1년 옥살이를 했다.
“내가 부당한 것에는 놈보다 빨리 부닥쳐요.” 가진 것 없는 이 남자는 도무지 굽힘이 없었다. 감옥 안에서도 재소자들의 권익을 위한 싸움을 계속했다. “그 안에서도 계속 싸우고 왈왈 짖는 거예요.”
‘왈왈이’로 불렸던 수감생활의 생생한 증언을 한 권의 책에 담은 《왈왈이들의 합창》(보리)으로 제7회 전태일문학상을 받기도 했다. 노보 만들면서 시작한 그림을 생활화한 것이 줄곧 이어져 최근에는 《농부 이재관의 그림일기》(고인돌)를 묶어냈다.
▲ <농부 이재관의 그림일기>에 등장하는 이웃들
마흔 살 되던 해 그이가 농사를 짓고자 삶의 자리를 옮긴 곳은 전북 부안. 운명처럼 또 싸워야 할 일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2002년 부안은 방사능폐기물처리장 유치반대로 도시 전체가 거대한 반핵농성장이었다.
“거리거리 벼랑박에 반핵평화의 상징인 노랑 뺑끼칠을 하고 다녔어요.” 200여 군데 담장에 반핵 구호와 그림을 그려넣는 작업을 했다. 아이들 등교 거부를 시작하고 민들레학교를 꾸려서 힘을 보태기도 했다. 그곳에서 그이는 민들레학교 선생, ‘벼랑박에 기림(그림) 기리는(그리는) 사람’으로 통했다.
2년 반 넘은 싸움 끝에 결국 군민들이 이겼다. 4년간 살았던 부안을 떠난 것은 새만금이 막히면서였다. ‘광우병 촛불집회’ 때는 온 가족이 상경, 아스팔트 위에서 무박3일을 보내기도 했다.
“사람은 자기 있는 그 자리에서 얼마나 옳은 것을 지키기 위해 싸우느냐에 따라 자기 삶의 질을 스스로 높일 수 있다”는 것이 그이의 신념이다.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세상 사는 법이 그러하다. 안정된 직장을 청춘의 종착역으로 삼지 않고 스스로 먹을거리를 생산하고 스스로 집 짓고 스스로 꾸려가는 삶을 찾아가기를 바라는 부모인지라, 세 아이들이 ‘학교 밖’에서 배우고 스스로 자라는 걸 응원하고 지지하며 지켜보고 있다.
“그 많던 똥장군님들이 어디로 갔을까”
‘올콩은 감꽃 필 때 심고, 메주콩은 감꽃 질 때 심는다’는 오래된 말을 아름답다고 가슴에 새긴 그이는 ‘모든 것의 시작은 철을 아는 것, 철을 거스르지 않는 것’이라 믿는다. 뜻이 같은 이들이 모여 귀농인모임 ‘철’을 만든 것은 ‘철든 삶’을 살자는 뜻이었다. 그런 마음을 담아 작사 작곡한 노래가 ‘철없다’.
<어른들은 정말 철없다 아이들이 무얼 보고 배울까 사람들은 참 철없다…>
그이가 꿈꾸는 농업은 ‘자기 똥을 3년 못 먹으면 죽는다’는 말을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시절의 순환농업. “그 많던 똥장군님들이 모두 어디로 갔는지 안타깝다”는 그이는 생태뒷간 지어놓고 똥 살리고 땅 살리는 거룩한 일을 하려고 아침마다 상쾌한 걸음으로 뒷간에 간다.
▲ 이재관 씨 집의 생태 뒷간(좌) 농약도 비료도 치지 않은 마늘밭의 기름진 흙(우)
멧돼지가 고구마를 다 먹어서 고구마를 세 번 다시 심었을 적엔 ‘산돈님은 각성하라’고 플래카드를 걸어놓아 이웃들을 웃게 한 그이. 자연을 착취와 수탈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폭리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라 생각하기에 소농 제철농사를 고집한다. 농약도 제초제도 비료도 치지 않고 비닐도 덮지 않고 갈아엎지도 않고 오로지 간섭하지 않음으로 흙을 살리려 한다.
“태평농법이라기보다 방치농법이다. 땅에 간섭하지 않고 거름 주며 정성을 들이다 보니 땅이 달라졌다. 지렁이 굼벵이가 마음 놓고 살고 풀과 작물이 공생하는 생명의 땅이 됐다.”
사람들은 “힘들지 않아? 편리한 기계를 두고 왜?”라고 묻는다. “농자재 값이 안 들고 기계 가진 사람의 일정에 나를 맞추지 않아도 된다. 땅은 간섭하는 일을 줄이고 믿고 있으면 꼭 보답한다.” 그이가 만져보라고 권하는 마늘밭의 흙은 검고 기름지고 폭신폭신 보드라왔다. 자랑할 만하였다.
집 마당은 ‘나무 정거장’ 그이는 ‘공작왕’ ‘수작왕’
그이의 집 마당은 ‘나무 정거장’이다. 공사한다고 자르고 벌목하는 데서 데려다 잘 키워 여기저기에 나눠준다. “늘 나누어 주고도 남아 자리를 지키고 있는 나무들이 170여 종이다. 300종까지 심어서 작은 식물원을 만들고 싶다.” 가장 키가 큰 느티나무는 마을에서 땔감으로 베어 가라는 것을 옮겨 심은 것.
“한 번은 마을길 넓히는 공사를 하는데 잡목이 없어지고 나니까 백 살은 될 것 같은 아름드리 소나무 한 그루가 나타났다. 너무 아까워서 경계선을 나무 앞으로 살짝 옮겨 버렸다. 나중에 보니 그렇게 살아남은 나무를 땅 주인이 팔았다고 하더라.”
다행히 가까이 곡성 ‘기차마을’로 옮겨 간 나무는 시방 그곳에서 푸르르게 서 있다.
무엇이든 손으로 만드는 ‘수작남(手作男)’ 이재관 씨. 아내와 흙벽돌 2000장을 일일이 손으로 찍어내고 열여덟 명이 힘을 보태 함께 지었다고 그 이름들을 모두 적어 작은 현판을 세워 둔 집이며, 식탁과 소반 작은 필통 등등 이 모든 것을 사지 않고 손수 만들었다. 바지 하나쯤이냐 재봉틀로 들들들 수월하게 만들어낸다.
“농촌에 오면 그 다음날부터 스스로 할 수 있는 게 무궁무진하다는 걸 깨닫게 된다. 아파트에 갇혀서 못도 제대로 못 박고 고장나면 서비스 기사를 전화로 불렀던 사람들이 남에게 기대기 여의치 않은 촌살이에서는 스스로 만능이 될 수밖에 없다. 뭔가를 투닥투닥 만들고 고치게 된다. 내 안의 엄청난 공작 능력이 막 뛰쳐나온다.”
▲ 무엇이든 손으로 만드는 ‘수작남(手作男)’남 이재관 씨. 골칫덩어리 칡덩쿨도 그의 손을 거치면
근사한 바구니로 변신한다.
자식인 양 그이를 아끼는 마을 어르신들이 자주 하는 칭찬이 있다. “음마, 자네 솔찬히 손재주가 좋네이.”
‘공작왕’ 이재관은 무엇이든 손수 만들어 썼던 예전의 농부들을 본받고 싶어서 동네 홍길 아재를 선생님으로 모셔다가 쭈시(수수)빗지락도 만들고, 소춘 아재네 베어낸 대추나무를 얻어다 재봉틀 의자도 만들고, 도마도 만들고, 도장도 판다. 예전에 어른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돈을 주고 사는 것보다 내 손으로 만드는 것이 익숙한 ‘일상생활예술의 달인’이 돼 가고 있는 것이다.
‘적정기술’로 스스로 자립하는 삶
그이는 ‘배워서 남 주자’는 신념을 실천하고자 ‘항꾸네협동조합’을 꾸리고 2013년 마을기업에 선정되면서 ‘적정기술’을 생활화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다짜고짜 공방’을 만들고 마을까페 ‘농담’을 지었다. 부족한 비용은 몸으로 때웠다. ‘항꾸네협동조합’의 적정기술을 이용한 난로·화덕 만들기 프로그램은 화천에서 제주까지 온 나라를 순회하며 2014년부터 현재까지 매해 200명의 교육생을 내고 있다.
“도시에서 밥벌이를 하려 하면 전문지식을 갖추고 다양한 분야의 자격증을 얻고 기술을 습득해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해서 직장에 들어간다. 시골살이도 준비가 필요하다. 시골 출신인 나도 가장 가까이 있었던 풀과 나무조차 잘 몰랐다. 책을 사서 곁에 두고 한 2년쯤 파고 들어보니 나무 속살을 알게 됐다. 감나무를 보면 빨래방망이를 만들고, 질긴 꾸지뽕나무로는 도끼자루를 만들게 됐다. 우리 아버지들이 그랬듯이 적재적소에 쓰는 법을 익히고 있는 것이다.”
대기업 물건에 의존하지 않고 생활기술(적정기술, 중간기술, 작은기술)로 스스로 자립하는 삶으로 항꾸네 나아가는 걸음을 멈추지 않는다.
*항꾸네: ‘함께’의 방언(경남, 전남)
▲ 이재관 씨가 직접 꾸린 마을까페 '농담' 간판(좌), 이재관 씨는 대기업 물건에 의존하지 않고 생활기술로
스스로 자립하는 삶을 추구한다.
순 노인들만 남은 마을의 자타공인 머슴
부당한 것에는 부당하다고 맞섰던 싸움꾼에서 이제 농사꾼이 된 그이의 그림일기에는 마을 아짐 아재들이 자주 등장한다. 순 노인들만 남은 촌마을에 하늘에서 떨어진 복덩이처럼 등장한 ‘젊은이’ 이재관은 이 마을의 자타공인 머슴이다. “오매오매, 이 사람은 못헌 것이 없당께. 뭐이든 낫낫하게 영 잘해. 노인들 심바람(심부름)꾼이여.”
마을의 ‘만물박사’답게 보일러 수도 경운기 세탁기 테레비 고장수리는 기본. 명아주를 키워 지팡이를 만들어 허리 굽은 소춘 아짐과 후동 아짐한테 깜짝 선물을 하는가 하면, 중고 카니발 밴으로 아짐 아재 할 것 없이 ‘당신들 자시고 싶은’ 메뉴를 골라 드시라고 ‘마을 외식’도 나간다. 12만km를 뛰고 그이를 만난 중고 카니발 밴은 33만8700km를 달리고 폐차장으로 가기까지 차 한 대 없던 초곡리 마을 어르신들의 발 노릇을 했었다.
2011년엔 겸면 귀농인모임과 곡성사랑회에서 예산을 내주어 곡성 17개 마을에 한 20일 가까이 벽화를 그리러 다녔다. 초곡마을 들머리엔 말뚝박기 하는 아이들을 그렸다. 맨 노인들만 사는 동네에 그림이나마 아이들 웃음소리 들으시라고.
▲ 이재관 씨가 마을 들머리 벽에 그린 말뚝박기 하는 아이들
하루는 어느 마을에 벽화를 그리던 그에게 ‘설탕 두 수꾸락(숟가락)’을 더 넣은 특별 믹스커피를 내준 아짐이 특별부탁을 하였다. “여그 대문 옆이다가 꽃 조까 이삐게 기래줏씨요.” 그이는 그날 ‘세상에서 젤 이삔 꽃’을 그렸다. 평생 농사지으며 살아온, 그래서 세월이 오롯이 새겨진 아짐 손이며 굽은 허리며 얼굴이 젤 이삔 꽃이었다.
할매들의 조글조글한 얼굴에서, 밭고랑에 엎드린 등허리에서, 마른 고목껍질 같은 손에서 그이는 자주 그리운 엄니를 만난다. 호미 끝이 동글동글해지도록 호미날을 닳아치고 자신의 몸뚱아리를 닳아친 어매들과 들일 하고 돌아온 어느 날, 그는 그림일기에 호미 한 자루를 그리고 ‘작고도 큰 일꾼, 울 엄니 닮은 호미’라고 썼다. 이 세상에 안 계신 엄니 대신 마을 엄니들 곁을 지키는 농부 이재관.
“내가 사람들하고 잘 붙어요. 부자사람 힘쎈 사람은 빼고요, 하하.”
이제 비로소 와야 할 그곳에서 꼭 곁에 두고 싶었던 것들을 곁에 두고 산다. 자연과 더불어 오래된 지혜를 가진 이웃들 곁에서 ‘오래된 미래’를 향해 걷는다. 버릴 것은 버리고 비울 것은 비우고 가는 이의 하루하루가 더할 나위 없이 충만하다.
ㅡ남인희-
출처 : 인문 360 '인문유랑'
첫댓글 땅 디디고
눈에 담고
마음에도 담고
곡성 기차도 타보고 싶도록 글이 ~~
ㅎ, 제작년 우리시 여름시인학교를 곡성에서 했어요. 1박2일하면서 기차도 탔구요.
올해는 괴산에서 여름시인학교가 열려요. 같이 가도 좋아요.^^*
아~~~~ 행복하였겠어요. 글과 사진속으로 끌리듯이~~
제 자신의 껍질을 부숴뜨리는 시간인 것 같아요^^
잔잔하지만 매우 인상적인 인터뷰 글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