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최근 국가산업단지로 선정된 유성구 교촌동 일원 530만㎡(약 160만평)를 ‘첨단 신도시’로 조성한다. ‘굴뚝’으로 대표되는 산단이 아닌, 나노·반도체와 우주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한 고밀도 산업·연구 중심의 신도시이다. 2030년엔 도시 모습을 갖출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시는 이 같은 내용의 국가산단(첨단 신도시) 조성 계획안을 22일 내놨다. 첨단 신도시는 △산업용지 △공원·상업시설 △연구시설 △주거·복합 용지 등 4개 권역으로 구분해 직장(기업 클러스터)과 주거가 연결되는 ‘자족형 신도시’로 정비한다는 구상이다첨단 신도시로 조성될 대전 국가산업단지 구상도. 대전시 제공 산업용지와 연구시설 용지엔 나노·반도체 국립연구원 설립을 비롯, 세계적 기술 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국내 최고 수준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테스트 베드를 구축해 미국 실리콘밸리처럼 양질의 일자리와 인재가 모이는 경제 생태계를 만든다.
1990년대 대전 둔산권이 행정·금융·교육 중심 신도시로 조성됐다면, 첨단 신도시가 들어서는 서남부권은 산업·연구 중심의 신도시를 표방한다. 기존의 산단 밀집 지역이라는 틀을 깨 신도심을 설계하는 것이다.
서남부권 첨단 신도시는 160만평으로 둔산권(둔산동·월평동)과 맞먹고 서울 여의도 면적보다는 2배 크다. 기업 클러스터 구축은 물론, 뛰어난 정주 여건으로 확장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도안신도시와 밀접해 있고, 2027년 준공될 서남부종합스포츠타운,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 목원대가 인근에 있어 산·학·연 인프라가 풍부하다. 국가산단 개발로 인한 생산유발효과는 6조2000억원, 취업유발효과는 3만5000명으로 분석된다.
시는 올해부터 2030년간 본격 사업 시행에 돌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대전 국가산단을 반도체특화단지로 선정하면 예비타당성면제로 사업기간은 2년 정도 줄어들 수 있다. 최종문 대전시 산업입지과장은 “서남부권 국가산단을 주거 등이 포함된 신도시로 조성해 지역 경제 성장의 전초기지로 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