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 본문 제14장 해설-보아도 보지못하는것 같다.
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 搏之不得, 名曰微.此三者, 不可致
시지불견, 명왈이. 청지불문, 명왈희. 박지불득, 명왈미.차삼자, 불가치
詰. 故混而爲一. 其上不 , 其下不昧,繩繩兮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
힐. 고혼이위일. 기상불교,기하불매, 승승혜불가명, 복귀어무물. 시위무
狀之狀, 無物之象. 是謂恍惚.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其後.執古之道, 以御
상지상, 무물지상. 시위황홀.영지불견기수, 수지불견기후.집고지도, 이어
今之有. 能知古始, 是謂道紀.
지유. 능지고시, 시위도기.
* 本文 第十四章= 보아도 보지 못하는걸 갖다 밝음이 상했다 함이요 들을려 해도 듣지못하는걸 갖다 일흔 먹은 노인처럼 귀먹음이라 한다(*희미하다한다) 움켜쥘려 해도 얻지 못하는 걸 갖다 미미해서 빠져나간 것 이라 한다 이세가지를 왜 그런지를 제대로 밝힐 수가 없다 그런 까닭에 혼미한데 썪여 그 하나가 되어 그 위도 밝지 아니하고 그 밑도 어둡지 아니함이라서 줄줄이 메인 것 같아야 (*줄줄이 연 달은 것 같아서) 이름을 어떻게 명목 지어 붙일수 없어 다시 원래 물사 없었던 곳으로 되돌리니 이를 일러 얼굴 없는(*비어진) 간판상 이라 하고 물사 없는 형상이라 함이라 이를 일러 홀연한 것 이라 하고 맞이해도 그머리를 볼수 없고 쫓을려 해도 그 뒷꼬리를 볼 수 없어 옛의 길을 지니어 지금의 존재를 몰고간다(*떠받들고 간다) 할 것이다 * 옛의 시작됨을 잘아는게 이 길의 기강이 된다 할 것이다
* 보아라 해도 보지 못하는 것을 갖다가선 눈이 멀었다 말하는 것이고, 들으라 해도 듣지 못하는 것을 귀가 먹었다하는 것이고, 쥐켜줘도 얻지 못하는 것을 우매하다한다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자신이 알지 못한다면 그 값어치의 진귀함을 느끼지 못한다는 뜻] . 이 세 가지는 그렇게 나무랄 것만 못된다 할 것이라 이래 그러므로 혼미하여도 하나가 된다하니, 그 위로는 밝지 못하고 그 아래로는 어둡지 않고 면면이 이어짐인 지어- 그렇게 명분 지을수 없다 하나니, 사물 없는 현상에 복귀 한다하는 것이라 이를 일러서 얼굴 없는 얼굴상이라 하나니, 사물 없는 형상 이를 일러서 황홀한 경계라 하고 그 머리 드러내지 않는 것을 맞이하고 그 뒷전 드러내지 않는 것을 쫓는다 하니 옛 의 길을 지니고선 지금에 존재를 몰아간다면 잘 옛 의 시작을 안다하는 것이니 이를 일러서 길의 기강이라 하는 것이다 했다
蘇註소주
視之而見者色也 所以見色者不可見也 聽之而聞者聲也 所以聞聲者不可聞
시지이견자색야 소이견색자불가견야 청지이문자성야 소이문성자불가문
也 搏之而得者觸也 所鎰觸者不可得也 此三者 雖智者莫能詰也 要必混
야 박지이득자촉야 소이득촉자불가득야 차삼자 수지자막능힐야 요필혼
而歸於一而可爾所謂一者性也 三者性之用也 人始有性而已 及其與物 然
이귀어일이가이소위일자성야 삼자성지용야 인시유성이이 급기여물구연
後分裂四出 爲視爲聽爲觸 日用而不知反其本 非復混而爲一 則日遠矣 若
후분열사출 위시위청위촉 일용이불지반기본 비복혼이위일 즉일원의 약
推廣之 則佛氏所謂 六入皆然矣 首楞嚴有云 反流全一 六用不行 此之謂
추광지 즉불씨소위 육입개연의 수능엄유운 반류전일 육용불행 차지위
也 物之有形者皆麗於陰陽 故上 下昧不可逃也 道雖在上而不 雖在下
야 물지유형자개여어음양 고상교하매불가도야 도수재상이불교 수재하
而不昧 不可以形數推也 繩繩運而不絶也 人見其運而不絶 則以爲有物矣
이불매 불가이형수추야 승승운이불절야 인견기운이불절 즉이위유물의
不知其卒歸於無也 狀其著也 象其微也 無狀之狀 無象之象 皆非無也 有
불지기졸귀어무야 상기저야 상기미야 무상지상 무상지상 개비무야 유
無不可名 故謂之惚恍 道無所不在 故無前後可見 古者物之所從生也 有者
무불가명 고위지홀황 도무소부재 고무전후가견 고자물지소종생야 유자
物之今 則無者物之古也 執其所從生 則進退疾徐在我矣
물지금 즉무자물지고야 집기소종생 즉진퇴질서재아의 .
* 소씨는 주석하대. 보려해서 보는 건 빛인데 빛깔을 변별해 보려는 자는 그렇게 볼 수 없다는 것이다 (* 유추컨대= 마치 의류 매장엘 갖는데 옷들이 너무들 좋아 그게 그건 것 같고 그게 그건 것 같아 어느게 좋은지 고를수 없다는 것이니 그렇다면 빛을 보는 능력이 상실된거나 진배없다는 것이다) 들으려해서 듣는 것은 음향인데 음향을 들을려해서 그렇게 잘듣지 못하는 것은 보는 것의 유추때와 마찬가지로 음률이 황홀하게 흐르면 어느 음질이 좋은지를 변별할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이래서 귀의 능력이 상실된 것처럼 보인다는 뜻이다) 혹여 소리가 가늘어서 희미해서 듣지 못한다고 도 풀수 있다 이것은 청각의 장애를 뜻한다. 움켜쥐어서 얻으려는 것은 부닷겨 오는 物事인데 그걸 제대로 얻을 수가 없다하는 것은 (*흡사 생각없이 맞닥뜨린 많은 물 고기떼를 맨손으로 잡으려 드는 것 같아 물 속에 들어 첨벙되기만 했지 갈피를 잡지 못하게 하는 물고기를 쫓아 다니느라고 힘만 들었지 한 마리도 못 잡는 거와 같다 는 뜻이다) 이상의 세가지는 비록 지혜있는 자라 해도 어떻게 해볼수 없게끔 한다는 것이니 요컨데 반드시 서로를 분간할 수 없는 하나에 돌아 가야지만 바르어 진다할것이니 (*서로 혼둔속에 하나로 귀결짓는 모습이 그렇다는 것이다) 그 하나란 것은 성품을 말하는 것이다 이세가지는 성품이 운영하는 모습이니 사람이 처음엔 성품만 존재하였을 따름이나 그 물사와 서로 더불어 얽혀든 연후에야 그렇게 사분 오열되 나옴이 있는 것이다 보고 듣고 부닷기고를 날로 써먹으면서도 그 근본으로 돌아 올줄 모른다 거듭 혼미함으로 빠져 하나가 되지 않으면 날로 멀어지리라 만일 널리 그 뜻을 유추해 볼제엔 석존이 말하는 이른바 六入(*여섯가지 들음)에 모두 들어가는 것이라 할 것이니 불경중의 하나인 수능엄경에 있어 이르길 흐름이 되돌아와서 온전하게 하나가 된다하니 여섯가지 실천치 못 할 것이라는 게 바로 이를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사물이 형체가 있는 것은 모두가 음양에 걸린다 그런까닭에 위는 밝고 아래는 어둠이라 하는데서 그렇게 도망가지 못하게 되있는 것이다 길이 비록 위에 있어 밝지 않고 밑에 있어 어둡지 않음을 형용이나 셈으론 그렇게 미루어 볼수 없는 것이라서 줄줄히 연달은 것 처럼해 운영해 끊어지지 아니한다 할 것이다 사람이 그운세 돌아감이 끊겨 지는걸 보면 존재하는 사물들이 그 마침내 없음에 돌아감을 모르리라 (*채워진 것들이 마침내 비움을 모른다는 뜻도 통함) 간판이란 그 감각에 띄는 것이다 형상이란 미세한 것으로 부터다 간판없는 간판 형상 없는 형상 모두가 존재하나 뭐라고 이름지어 붙일게 적당치 않은지라 그러므로 홀황이라 말해보는 것이다 길이 존재치 아니함이 없는지라 그러므로 전후를 가히 볼 수 없는 것이다 옛적에 물질이 쫓아 생긴 바의 연유가 있을 것이나 있는 것의 물사는 지금이요 없는 것의 물질은 옛이라 (*찬것의 물사는 지금이요 비운 것의 물사는 옛이란 뜻도 통함) 그 쫓아 생긴 바를 잡았다면 (*생명시발 태동의 방법을 알아 그 전권을 지녔다면) 나가고 물러감과 급하고 천천히 함을 자유자재로 함이 내게 있다 할 것이다.
如註여주
視者無有也 故視之不見 雖不見也 然能玄能黃不可名之以無色也 曰夷而
시자무유야 고시지불견 수불견야 연능현능황불가명지이무색야 왈이이
已 聽者無有也 故聽之不聞 雖不聞也 然能宮能商不可名之以無聲也 曰希
이 청자무유야 고청지불문 수불문야 연능궁능상불가명지이무성야 왈희
而已 搏者無有也 故搏之不得 雖不得也 然能陰能陽能柔能剛能短能長能
이이 박자무유야 고박지부득 수부득야 연능음능양능유능강능단능장능
圓能方能生能死能暑能凉能浮能沈能出能沒能甘能苦能 能香 不可名之以
원능방능생능사능서능양능부능침능출능몰능감능고능전능향 불가명지이
無形也 曰微而已 凡物求之而不得者 或可以致詰而得之 此三者終不可致
무형야 왈미이이 범물구지이불득자 혹가이치힐이득지 차삼자종불가치
詰者也 不可以致詰 則 聰明 離形去智 而吾得之矣 則視也聽也 搏也混
힐자야 불가이치힐 즉휴총명 이형거지 이오득지의 즉시야청야 박야혼
而爲一矣 視以目 聽以耳 搏以心混而爲一 則耳如目 目如耳 心如耳目矣
이위일의 시이목 청이이 박이심혼이위일 즉이여목 목여이 심여이목의
夫失道者 上見光而下爲土 吾得之也 其上非光也 故不 其下非土也 故不
부실도자 상견광이하위토 오득지야 기상비광야 고불교기하비토야 고불
昧 繩繩兮 調直而有信 雖有信也 而不可名 故復歸於無物而已 雖無物也
매 승승혜 조직이유신 수유신야 이불가명 고복귀어무물이이 수무물야
是謂無狀之狀 無物之象而未嘗無物也 是謂惚恍 惚則不 不 則疑於無
시위무상지상 무물지상이미상무물야 시위홀황 홀즉불교 불교즉의어무
物也 而非無物也 恍則不昧 不昧則疑於有物也 而非有物也 其始無前 故
물야 이비무물야 황즉불매 불매즉의어유물야 이비유물야 기시무전 고
迎之而不見其首其卒無尾 故隨之而不見其後 無前無後 則不古不今矣 雖
영지이불견기수기졸무미 고수지이불견기후 무전무후 즉불고불금의 수
不古不今 而未嘗無古今也 則長於上古而不爲老者 吾得之以日用矣 故曰
불고불금 이미상무고금야 즉장어상고이불위노자 오득지이일용의 고왈
執古之道以御今之有 所謂古者 非異於今也 以知古之所自始也 所謂今者
집고지도이어금지유 소위고자 비리어금야 이지고지소자시야 소위금자
非異於古也 以知今之所從來也 誠知古之所自始 則知今之所從來矣 始無
비리어고야 이지금지소종래야 성지고지소자시 즉지금지소종래의 시무
所自來無所從 所謂無端之紀也 紀者道紀也 道不可執也 得此則可執之以
소자래무소종 소위무단지기야 기자도기야 도불가집야 득차즉가집지이
爲德矣 執德之謂紀.
위덕의 집덕지위기.
* 여씨는 주석하대. 길이 존재가 없음이라 그러므로 볼려고 해도 보지 못한다 함인 것이다 비록 보진 못한다 하더라도 그렇게 검음이 무르익고 누름이 무르익어 이름을 뭘로 던지 찍어다 붙일게 마땅찮음으로 빛깔이 없다 함인 것이라 말씀컨대 밝음이 평이해졌다 할 따름인 것이다 들을려하나 존재가 없음이라 그런 까닭에 들을려해도 듣지 못한다 함인 것이다 비록 듣질 못하긴하나 그렇게 다섯가지 소리(* 궁상각치우==도레미파솔......) 가 무르익어선 뭐라고 이름을 지어다 붙일게 아닌지라 그래서 소리 없음이라 함인 것이니 말씀컨대 희미하다 할 따름인 것이다 움켜쥐려는 게 존재 가 없음이라 (*뭘 어느 한가지를 딱부러지게 지목하여 그것만 잡을려는 건 아니란 뜻) 그런 까닭에 잡을려도 얻지 못함이라 비록 얻진 못했으나 그렇게 陰陽(음양) 즉 양글름과 음글름이 무르익고 剛柔(강유=굳세고 부드러움)가 무르익고 長短(장단=길고 짧음)이 무르익고 圓方(원방=둥글고 모남)이 무르익고 生死(생사=죽고 삶)가 무르익고 暑凉(서량=더위와 추위)이 무르익고 浮沈(부침=뜨고 잠김)이 무르익고 出沒(출몰=나오고 넘어가고)이 무르익고 甘苦(감고=달고 씨거움)가 무르익고 香(전향=누리내나고 향기남)이 무르익는 등 諸樣相 兩比 多比 象(제양상 양비 다비)이 무르익어서 그렇게 뭘이름을 찍이다 붙일게 적당치 않은지라 그래서 형체 없음이라 함인 것이니 말씀컨대 미미할 따름이라 함인 것이다 대저 물질을 구하려다 얻지 못하는 자 그 이치를 따져 얻을수 있을 것이나 이세가지는 종당에 가서도 그렇게 시시콜콜 따져 물을 계제에 있는 것이 아닌 것이다 그렇게 사리나 무슨이치로 분별할게 아니면 총명이 무너진것이요 형용할 재간이 흩어진것이요 슬기로움을 버리었음인 것이다 내가 만약상 얻을수만 있다면 보고 듣고 움켜쥐어서 혼돈스러움과 하나가 될 것이라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마음으로써 포획하여서 혼돈스러움과 하나가 되면 귀가 눈같고 눈이 귀같고 마음이 귀눈 같으리라 대저 길을 잃는다는 것은 위론 빛을 보고 밑으론 흙이됨을 내 얻은 것이라 그 위로는 빛될게 아닌지라 그러므로 밝지 못하고 그 밑으론 흙될게 아닌지라 그러므로 어둡지 않아 줄줄이 연달은듯하여 주욱- 뻗은듯해서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비록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해도 꼭 그것이라고 그렇게 이름을 지울수 없음이라 그래서 다시 원래 物事(물사) 없는곳으로 되돌아 갈 따름이라 함인 것이다 되돌아가면 비록 물사는 없더리도 뭔가 달리 지목지어 지는게 있을것이니 이를 일러 얼굴없는 간판상 물사 없는 형상이라 함인 것이니 일찍이 물사가 없다곤 확증할수 없는것이므로 또한 이를 흐리멍텅 홀황이라 함인 것이다 홀황하다는건 밝지못하다는 것이요 확증할수 없으면 물사없음에서를 의심을 냄이라 즉 물사가 없지 아니함인 것이다 또 홀황한즉 어둡지 아니함이라 어둡지 않으면 물사의 존재를 의심 냄이라 물사의 존재가 아니라 할것인 것이다 그 처음할 앞이 없는지라 그런 까닭에 맞이한다 해도 그 머리를 볼수없고 그 마치도록 꼬리를 못 보는지라 그런 까닭에 그 자취를 쫓으려해도 그후미를 못본다 함인 것이다 전후가 없으면 時性向(시성향)의 古今(고금)인들 있겠는가? 비록 고금이 없다고 들 하지만 일찍이 옛 지금이(*어제오늘)이 없지 않은지라 곧 윗 옛에 어른하여서 늙음 되지아니함을 내 얻어서 날로 사용함이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옛의 길을 지녀서 지금의 존재를 몰아간다 함인 것이다 이른바 옛이란 것은 지금과 다를게 없음이니 옛의 저절로 시작된 바를 알음임이요 지금이란 것이 또한 옛과 다를 게 없는 지라 지금의 쫓아 온바를 알음임이다 진실로 옛의 저절로 시작된 것을 알면 지금의 쫓아온 내력을 알수 있으리라 처음에 저절로란게 없었음 옴을 쫓을게 없다 이른바 끝없는 기강이니 기강이란 것은 길(*道)의 벼리(*별바=그물코의 주된밧줄로 그것을 끌어당기면 다른 연계된 그물코들이 모두달려온다 한다) 인 것이다 길을 그렇게 잡지 못할것이라도 이러함을 얻으면 그렇게 잡아지녀서 덕을 삼았다 하리로다 덕을 지닌걸 벼리라하는 것이다
朴註박주
夷平也 希止也 微妙也 詰猶辨也 不可致詰言無迹可辨也 三者皆無迹可辨
이평야 희지야 미묘야 힐유변야 불가치힐언무적가변야 삼자개무적가변
故曰混而爲一此形容道體之微妙 非視聽控搏所及也 明之至昧暗之極 불
고왈혼이위일차형용도체지미묘 비시청공박소급야 교명지지매암지극 불
不昧 言上不至淸下不至濁也 繩繩猶綿綿也 亦若存若亡之意道體本虛
교불매 언상불지청하불지탁야 승승유면면야 역약존약망지의도체본허
今曰視曰聽曰搏曰爲一曰不 曰不昧曰繩繩皆近於有物 故曰歸於無物無狀
금왈시왈청왈박왈위일왈불교왈불매왈승승개근어유물 고왈귀어무물무상
之狀 無象之象猶所謂形而上者惚 者 不定之意 若存若亡 故曰惚 迎之
지상 무상지상유소위형이상자홀황자 불정지의 약존약망 고왈홀황영지
而不見其首無始也 隨之而不見其後無終也 道在天地之先 故曰古執古之道
이불견기수무시야 수지이불견기후무종야 도재천지지선 고왈고집고지도
以御今之有 以無 御有 爾制物也 知道之所自生 故謂之道紀 紀綱紀也
이어금지유 이무 어유 이도제물야 지도지소자생 고위지도기 기강기야
* 박씨는 주석하대. 夷(이)란 平易(평이)하다는 뜻으로 틔지않게 문드러져서 傷(상)했다는 뜻이다 希(희= 드믐이란)란 止(지=미진하다)=소리가 미세해서 멈춘 것 같다는 뜻이다 微(미)란 (묘=작다는 뜻임)이다 詰(힐)이란 분별함과 같음이니 그렇게 분별함에 이를수 없다함은 자취가 없어 분별을 바르게 못한다는 뜻이다 本文(본문)의 세가지가 모두 자취가 없어 그렇게 분별할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혼둔하게 하나가 됨에 이 형용하는 길의 몸 미묘하여 視聽 控搏(시청 공박=보고 들음 당기고 찾아 붙잡음=움켜쥠) 으로 미칠바가 아니란 것이다 (교)란 밝음의 극한경계요 (매)란 어둠의 극한경계다 밝지도 않고 어둡지도 않다 함은 위로는 지극한 밝음도 아니고 아래로도 지극한 흐림도 아니란 뜻이다 繩繩(승승)이란 면면히 이어짐과 같은 뜻이다 또 존재하는 듯 하기도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다는 뜻은 길의 몸이 본대 비었다는 뜻이다
* 지금이라 말하고 봄이라 말하고 들음이라 말하고 움켜쥠이라 말하고 하나가됨이라 말하고 밝지 않음이라 말하고 어둡지 않음이라 말하고 줄줄히 이어짐이라 말함등은 物事(물사)가 있다는 성향에 가까운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物事(물사)가 없음에 되돌아가 얼굴없는 얼굴상 형상 없는 형상상은 形而上(형이상=형용의 윗됨)을 뜻함과 같음이요 홀황이란 것은 확정짓지 못하는 뜻으로 존재하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듯 하기도 하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말씀컨대 홀황해서 맞이할려 해도 그머리를 보지 못한다함은 시작 없음을 말함이요 쫓으려해도 그 뒤를 보지 못한다함은 마침이 없음을 뜻함이다 길이 란게 하늘땅보다 먼저 앞서 존재하는 것이므로 말씀컨대 예전 옛의 길을 지니어서 지금의 존재를 떠받들어 몰아간다 함임이며 없음으로 있음을 몰아 받들고 길로써 物事(물사)를 제도함인지라 이렇다면 길의 생김을 아는 것이라 길의 생긴걸 앎으로 일러 길의 벼리라 함인 것이니 벼리란 紀綱(기강)이 되는걸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