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금융SI가 힘이드는것은 사실입니다. 이것은 이업종에 종사 하려면
이점은 각오를 해야 합니다. 업무는 재미있는(2년차 이상 금융 프로그래머는 대부분 이렇게 생각합니다) 대신 근무시간이 무척 장시간입니다. 월요일 부터 토요일까지 9시 출근 11시퇴근 입니다. 빨간날(10시 출근 11시퇴근) 당연히 나가고 심지어 일요일까지 일합니다. 그리고 365일을 긴장 속에서 살아갑니다. 예를 들어 계좌 이체를 하는데 전산오류가 나면 어떻게 하겟습니까? 정말 죽음 입니다 ..긴장의 정도는 항상 날까롭죠.. 잘못된 이자계산... 생각하기도 싫군요...^^;
이런류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다보니 ... 좀 힘이듭니다...
하지만 재미는 있습니다. 업무를 이해하고 그것을 시스템으로 맵핑하는것이요 은행/증권사/보험 직원보다 더 업무를 잘 이해 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0.금융전산실의 비젼
은행 전산실 직원인 주변의 친구나 프로젝트에 들어가서 금융권 전산실의 현업의 근무형태를 보거나 이야기를 해보면 ...
같은 직원인데 .. 바쁜 사람은 정말 새벽까지 일하고 한가한 업무는
5시면 칼 퇴근하더군요.. 업무 순환이 잘 않일어납니다.
왜냐면 중요한 업무인데 익숙해 질려면 3-4년 이상이 필요한데
어떻게 돌아가면서 순환하겠어요.. 빠쁜 사람은 Si프로그래머 저리가라
할 정도입니다.
명퇴나 구조조정으로 30대 후반이나 40대 초반에 퇴직했을때
아마 바쁘게 살았던 전 은행직원은 금융sI에 컨설턴트 이런식으로 돌아 올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중요한건 대다수의 금융기관 전산실 직원들은 40대 초반에 여기서 그만 두고 나가면 ... 직업을 못찾습니다... 코딩도 못하고 ... 다양한 업무경험도 없고... 명퇴 않당한다면 금융기관 전산실이 더 좋으나 ..중간에 짤릴수 있다는것을 생각하면 Si에서 프로젝트를 계속하여 개발 PM역할을 하는게 나중에 나이먹어서를 생각하면 더 유리할겁니다
1. 격무에 대해서
자신의 코딩실력과 업무파악 능력이 수준급이다.. 단지 시간이 문제이다
이런 경우라면 프로젝트 스케쥴을 연장 하게끔 유도해야 합니다..
날마다 밤새서 코딩 할수는 없죠 아침에 회의도하고 그래야 하는데요
자기가 짠 코드에 대해서 자신감이 들고 가끔 누구에게 보여 주고 싶다 이러면 코딩 잘 한겁니다. 이렇게까지 히면서 업무도 잼있는데 단지 시간이 부족해 무리한 야근을 할 수 없죠.. 누가 와서 대타를 해도 나 정도 이상 못한다는 생각이 들면 ... 하루에 12시간 이상 코딩하지 마십시요(식사 시간 빼고요). 빼째라 권법으로 나가세여 .. 스케쥴은 자동 연장 될겁니다. 저는 이렇게 합니다... 회사가 손해 볼수도 있는거죠 연장 하면 되요. 하지만 항상 겸손하시고 ... 작성하는 코드에 혼을 불어 넣으세요..
코드에는 모든게 녹아 있잖아요 ... 어떤 문서 보다도 정확한 ....
12시간 코딩 할만 합니다 ... 남들은 금융에 대해 시간 내서 책 보고 공부 하는데 ..우리들은 월급받으면서 귀중한 금융지식을 금융기관에서 배우잖아요..
2. SI의 비젼..
여유있게 직장생활하고 싶고 전산기술 보다는 업무중심으로 깊게 알고 싶으시다면 은행 같은 금융기관의 전산실에서 일하는게 좋죠...
금융SI프로그래머는 은행/증권사/보험사/투신사 를 떠돌아(?) 다닙니다.
좀 역설적인데 한 업무를 꿰 찰려고 하면 다른 기관에 가서 일하는게 이 분
야의 매력이자 단점입니다. 보험 전산실 같은데서 정직원으로 10년이상 일한 분들하고 보험 지식을 비교자체가 않되죠... 하지만 SI 만 한 분들은 기본적인것만 설명 해주면 뚝딱 뚝닥 구현을 잘합니다 ... 그리고 신기술에 대해서 잘알고 있구요..
SI 개발자 일을 하다 보면 금융기관 전산실 직원으로 채용될수 있는 기회가 옵니다.. 여러명 보았습니다... 대학원 학위가 있다면 더 도움이 되겠죠. 금융감독원/예탁원 이런데 들어갈 기회가 올겁니다.. 기다리세요..
바라면 됩니다.. 천직으로 생각하고 ... 작성하는 코드에 혼을 불어 넣으세요 ^^
3. 현 SI 업계동향
금융 업종은 이상하게 제조업 이런데처럼 ERP 패키지 이런거로 시스템
구축이 어렵거나 아예 생각도 않합니다.. 그래서 밑바닥 부터 다 새로 개발 합니다. 금융SI에서 페키지가 메인인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그만큼 우리 개발자들의 일거리는 많습니다.. 직원이든 프리랜서든
요즘 은행이나 보험사들이 호스트 일부를 버리고 UNIX/C로 차세대를
만들고 있습니다.. C코딩인데 코볼소스를 분석 할 수 있으면 아주 유리합니다.. 사실 20/30대 프로그래머가 코볼을 한다는것은 매우 드문 이야기죠. 하지만 c프로그래머로 들어가서 초대형 프로젝트에서 코볼환경을 경험하는것은 정말 좋은 기회입니다.. 날마다 12시 퇴근 하더라도 그런 프로젝트에서 경험을 쌓으세요.
사실 업계에서는 전천후 프로그래마를 구하죠..c/java를 다 잘해서 유닉스, C/S, Web을 다 아우를수 있는 사람 ...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 하다보면 그런 팀원이 있을때 그 프로젝트는 물 흐르듯 잘 흘러갑니다..
대개 그런 친구들이 복잡한 금융업무도 잘 이해 하더리고요...
이렇게 보면 ..그 많은 공부를 언제 하나 그러는데 ... 하나씩 하면 됩니다..차분히 지금 못하는 나중에 하면 됩니다... 너무 서두르지 마세여
사실 12시에 퇴근하나 10시에 퇴근하나 거기서 거깁니다...
2시간 동안 얼마나 일하겠어요... 눈총은 받을 수 있습니다.. PM과 생각이 다르다면 ... 하지만 .. 전 그래왔습니다.. 10시 퇴근하고 9시 출근하면 더 맑은 정신으로 다음날 아침 더 깔금하게 업무를 구현 할 수 있다고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SI업계의 수주/개발방법론/근무시간
다시 생각하고 바꿔야 할게 많습니다...
첫댓글 정말 긴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