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 본문 제15장 해설
古之善爲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識.夫唯不可識, 故强爲之容. 豫若冬涉川,
고지선위사자, 미묘현통, 심불가식.부유불가식, 고강위지용. 예약동섭천,
猶若畏四隣.儼若客, 渙若氷將釋,敦兮其若樸, 曠兮其若谷, 渾
유약외사린.엄약객, 환약빙장석,돈혜기약박, 광혜기약곡, 혼
兮其若濁.孰能濁以靜之徐淸. 孰能安人之徐生.保此道者, 不欲盈. 夫唯
혜기약탁.숙능탁이정지서청. 숙능안이동지서생.보차도자, 불욕영. 부유
不盈, 故能蔽不新成.
불영, 고능폐불신성.
* 本文 第 十五章= 예전에 착함을 위하던 선비의 위상은 미묘한데 그윽히 통달하였음이라 그 깊이를 그렇게 측량할 수 없게끔 하였다 대저 그 식별할수 없게끔 함으로 (*한마디로 말해서 사통팔달한 대선각자는 여너 사람이 종잡을 수 없는 면을 지니고 있다.) 그 굳센 거동을 볼라치면 머뭇거림이 겨울게 찬 내를 건너는 듯 이하고 주저함이 사방을 두려워 여기는 듯 이하고 손님을 공경하는 듯 이하고 변화의 모습을 보일 때는 얼음이 장차 풀리려는 듯이 하고 독실하기가 그덩이가 진 듯 하고 비기가 그 골짜기 진듯 하고 혼둔한 썩임이 그 흐린 듯 함이라 뉘 잘 그렇게 흐린 것의 고요함을 갖고서 맑음을 늘어 지게 한다할 것이며 뉘잘 평온함을 무르익게하여 오랜 움직임을 갖고서 삶을 늘어지게 한다할 것인가? (*소위 일없음 신수태평 팔자 늘어진다 하는뜻의 徐의미임=느긋하다는뜻) 이런 길을 보전하려는자 욕망을 채우려 들지 않나니 오직 욕망을 채우려 들지 않는 까닭에 그렇게 무르익는 폐단이 새로 이뤄짐이 없는 것이다
* 옛 의 착한 선비 된 자는 미묘하고 그윽한데도 통달하여서는 그 깊이를 그렇게 알 수가 없었다 대저 그렇게 알 수가 없었는지라 [기록이 없는 지라] 이래 그 강한 위용의 거동을 볼 것 같으면 준비한 것이 [또는 미리] 겨울 내를 건너려는 듯이 하여선 사방을 겁을 내길 禮貌(예모)를 갖춘 엄전한 객처럼 하고 물이 바꾸어선 어름진 것이 장차 풀어지려는 것처럼 여기고 자세 도타 웁기 그 둔탁한 것처럼 하고 시야를 드넓힘이여 그 골짜기 벌어지는 것처럼 하고 , 혼둔함이여 그 크게 혼탁함처럼 하나니 누가 잘 혼탁함을 사용하여선 그 고요하게 함으로서 천천히 맑아지며, 누가 잘 안정을 취함으로 인하여선 움직이어서 천천히 살아갈 것인가 [활동할 것인가, 생길 것인가] 이렇게 길을 보존하는 것은 차지 않아서 야만 하는 것이라 대저 오직 차지 않음인지라 그러므로 잘 그릇됨을 가리우고 이룸을 새롭게 한다 하나니라 [그러므로 잘 은폐시키어선 {* 소이 길이란 것을 튀어나오게 돌출 노출시키지 않는다는 뜻일 수도....} 새로운 것을 이루지 않 나니라 ]
소이 새로운 것을 爲的(위적)으로 신기하게 이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蘇註소주
湫盡而微 微而妙 妙極而玄 玄則無所不通 而深不可識矣 戒而後動曰豫其
추진이미 미이묘 묘극이현 현즉무소불통 이심불가식의 계이후동왈예기
所欲爲 猶迫而後應 豫然若冬涉川 逡巡如不得也 疑而不行曰猶 其所不欲
소욕위 유박이후응 예연약동섭천 준순여부득야 의이불행왈유 기소불욕
遲而難之 猶然如畏 四 之見之也 若客無所不敬未嘗惰也 若 將釋 知萬
지이난지 유연여외 사인지견지야 약객무소불경미상타야 약빙장석 지만
物之出於妄 未嘗有所 也 若樸 人僞已盡復其性也 若谷虛而無所不受也
물지출어망 미상유소유야 약박 인위이진복기성야 약곡허이무소불수야
若濁 和其光 同其塵 不與物異也 世俗之士 以物汨性 則濁而不復淸 枯槁
약탁 화기광 동기진 불여물리야 세속지사 이물골성 즉탁이불복청 고고
之士以定滅性 則安而不復生 今知濁知亂性也 則靜之 靜之而徐自淸矣 知
지사이정멸성 즉안이불복생 금지탁지난성야 즉정지 정지이서자청의 지
滅性之非道也 則動之 動之而徐自生矣 易曰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
멸성지비도야 즉동지 동지이서자생의 역왈적연부동 감이수통천하지고
今所謂動者 亦若是耳盈生於極 濁而不能淸 安而不能生 所以盈也 物未有
금소위동자 역약시이영생어극 탁이불능청 안이불능생 소이영야 물미유
不 者也 夫唯不盈 故其 不待新成而自去 .
불폐자야 부유불영 고기폐불대신성이자거 .
* 字(유자)는 흙토변이 없는 글자임 = 머무를유자라고함,
*소씨는 주석하대. 점점 작아지는 것을 뜻하는게, 큼이 다하면 미세 해지고 미세해져선 미묘해지고 미묘함이 극한 경계를 갖다 그윽하다한다 그윽하면 통달치 못할게 없고 깊이를 그렇게 식별할수 없게끔 하는데 까지 이른다 살핀후에 움직이는 걸 갖다 머뭇거려 움직인다 함이니 그 하고자함을 머뭇거려 접촉한 후에 호응함이다 머뭇거린 그러함이 있은 후에 겨울게 내를 건너는 듯 이함은 주저하길 마지않는다는 뜻이다 의심내서 선뜻 행치못함을 머뭇거림이라 한다 그원치않는것엔 더디게 해서 어렵게 만들고 猶然(유연=주저하길) 사방의 이웃이 봄을 두려운 듯이 여긴다 빈객을 대하듯 한다함은 공경치 아니할 바가 없기 때문이고 일찍이 게을르게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얼음이 장차 풀리려는 듯이 한다함은 만물이 망녕된것에서 남을 일찍이 머물를 바를 두지 않음을 알기 때문이다 (*소위 망녕된 곳에서 나지 못하게 한다는 뜻이니 파고들 허점이 없다는 뜻이다=차단한다) 덩이진 듯 하다함은 사람이 속임을 다하면 거듭 그 본성으로 되돌아 오기 때문이다 골짜기 같다함은 비어서 수용치 못할게 없기 때문이다 흐린 듯 하다함은 그빛이 화락하고 그 티끌과 같이해서 물사와 더불어 다르지 않음을 말함이다 세속의 선비 그 물사로써 마음을 골몰하게 하면 흐려서 맑음을 회복치 못하고 강파른 선비 경직성을 갖고서 성품을 메말리면(*消=소) 까짓것 함으로써 생활력을 회복치 못하고 이제 흐린게 성품을 어지럽힘을 안다면은 정숙해볼려 할 것이니 고요해지면(*정숙해지면) 저절로 맑음이 늘어진다 하리라 성품을 메말리는게 길이 아닌줄 알면은 움직이려 들것이니 움직이어서야 저절로 삶이 늘어진다 할 것이다 역에서 말하길 고요해 움직이지 않는 듯해도 감동해서 드듸어선 천하의 모든 사유를 통달한다 했으니 이제 이른바 역시 이같을 뿐인 것이다 채움이 극한경계에서 상한다 하니 흐려서 그렇게 맑지 못하고 안일해도 잘 생치 못하는 것은 채움을 씀에서니 물사의 폐단이 없지 않을 것이라 대저 그렇게 오직 채우지 말을것이라 그러므로 그폐단이 새로 이뤄짐을 기다리지 않아선 저절로 떠나간다 할 것이다
呂註 여주
古之善爲士者 將以成聖而盡神也 則其爲士也 雖未至乎聖神 所以成聖而
고지선위사자 장이성성이진신야 즉기위사야 수미지호성신 소이성성이
盡神者 其聞之固已全盡矣 微妙玄通深不可識 乃所以成聖而盡神也 微而
진신자 기문지고이전진의 미묘현통심불가식 내소이성성이진신야 미이
後妙 妙而後玄 玄而後通 則深不可識矣 唯不可識 則其形容 安得以擬議
후묘 묘이후현 현이후통 즉심불가식의 유불가식 즉기형용 안득이의의
哉 强爲之容而已 豫若冬涉川 迫而後動 不得已而後起也 猶若畏四 閑
재 강위지용이이 예약동섭천 박이후동 부득이이후기야 유약외사인 한
邪存其誠非物 之 則其心不出也 儼若客不爲主也 渙若 將釋 方終之以
사존기성비물날지 즉기심불출야 엄약객불위주야 환약빙장석 방종지이
心凝形 釋骨肉俱融也 敦兮其若樸 復其初也 曠兮其若谷 應而不藏也 渾
심응형 석골육구융야 돈혜기약박 복기초야 광혜기약곡 응이불장야 혼
兮其若濁 無是非彼我之辨也 人皆昭昭也 孰能濁以靜之 徐淸者乎 徐淸
혜기약탁 무시비피아지변야 인개소소야 숙능탁이정지 서청자호 서청
則 無所不照矣 人皆取先也 孰能安人之 徐生者乎 徐生則 無所不出矣
즉 무소불조의 인개취선야 숙능안이동지 서생자호 서생즉 무소불출의
蓋欲靜則平氣 欲神則順心有爲也 而欲當 則緣於不得已 平氣也順心也乃
개욕정즉평기 욕신즉순심유위야 이욕당 즉연어부득이 평기야순심야내
所以徐淸也 緣於不得已 乃所以徐生也 此士之所以 能成聖而盡神也 道之
소이서청야 연어부득이 내소이서생야 차사지소이 능성성이진신야 도지
體 也者 陰陽之和 而盈虛之守 而保此道者 不欲盈則虛而已 然不曰
체충 충야자 음양지화 이영허지수 이보차도자 불욕영즉허이이 연불왈
虛而每曰 不盈者 恐人之累於虛也 累於虛則不虛矣 故曰或不盈不欲盈而
허이매왈 불영자 공인지루어허야 누어허즉불허의 고왈혹불영불욕영이
已 天下之物 有新則有 有 則有壞 則能不 者鮮矣 夫唯不盈 則新
이 천하지물 유신즉유폐 유폐즉유괴 즉능불폐자선의 부유불영 즉신폐
成壞無所容心 是以雖 不 不 則不壞 不 不壞則不新不成矣.
성괴무소용심 시이수폐불폐 불폐즉불괴 불폐불괴즉불신불성의.
*여씨 주석하대. 옛의 착한 선비 정신을 가진자 장차 성스럼을 이뤄서 신의 뜻에 닥아간다 하니 곧 그러한 선비 정신을 가진자 비록 신성함에 이르진 못하더라도 성스럼을 이뤄서 신에게 닥아가는 것은 그동안에 쌓아온 자기의 성의를 다보임이라 미묘한대 그윽히 통달하여 깊이를 그렇게 알지 못하게 함이니 그렇게 성스럼을 이뤄서 신에게 닥아서는 것은 세밀한 후에 미묘해지는 것이며 미묘해진후에 그윽해 지는 것이며 그윽한 후에 통달해지는 것이니 그렇게 되면 곧 깊이를 식별치 못하게 됨인 것이다 오직 그렇게 깊이를 식별치 못할 정도가 되면 그 형용인들 어떻게 의론 할수 있을 건가? (*길이란게 이렇게 생겼다)하는 듯이 견강부회하여 형용할 따름이라 머뭇거리길 겨울내 건너는 듯이 한다함은 부닷긴 후에 움직임이는 것이니 마지못해 한후에 일어남이리라 주저하길 주위 사방을 두려운 듯이 여긴다함은 사벽스럼을 쉬게하고 그 진실한 것을 존재케 하며 비리의 물건을 만지는 데는 그 마음을 내지 않음을 말함이다 공경하길 빈객처럼 한다함은 (*거만한) 주인행세 하지 않음을 뜻함이다 변화해 바꾸는 모습을 얼음 장차 풀어 질려는 듯이 한다함은 [*모로 끝난마음= 모진마음=] 반듯한 마음으로써 엉긴 형용을 풀어서 뼈와 살점을 함께 융화 시킴을 뜻함이다 도타움이 그덩이 진듯 하다함은 그 처음으로 돌아 옴을 말함이다 빈게 골짜기인 듯 하다함은 호응해 옴이 숨어 들지 않는다는 뜻으로 흡사 메아리 짐과 같다 할 것이다 혼둔함이 그 흐린 듯 하다함은 옳고 그름과 저와 나의 분변이 없다는 뜻이다 사람이 모든 면으로 밝다면야- 뉘잘 흐림의 고요함으로써 맑음을 느긋하게 한다 할수 있을것이며 맑음이 늘어지면 비추지 아니할바가 없으리라 모두들 자기가 먼저 취하려 든다면 뉘 편안함을 무르익게 한 움직임으로써 삶을 느긋하게 할 것인가? 삶이 느긋하면 출입치 못할 곳이 없으리라 대저 평온코자하면 숨을 죽인 듯 하고 신성코자 할제엔 마음을 화순케 하여야만 할 것이니 有爲=(*함이 있는걸) 응당 하고자 함은 부득이에서 함을 인연함이니 기운이 상했다 (*平氣=기운이 평이 해졌다), 하는 것이요 (*혹 쥐죽은 듯 숨죽였다는 뜻일 수도 있다) 마음을 화순케 함은 맑음을 늘어지게 함으로써 함이니 마지못해서 인연 함인 것이다 이로 인하여 삶이 느긋해진다 함인 것이니 이러한 선비 정신을 가진자 잘 성스럼을 이뤄서 신에 닥아선다 함인 것이다 길의 몸은 화순하다 沖(*충=화할충)이란 것은 음양이 화순하여짐을 뜻함이라 차고 빔의 지킴을 뜻한다 이러한 길을 보전하려는 것은 채우고자 않으면 비었을 따름이라 그렇더라도 비었다고 말하지않고 매양 차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은 사람이 빔이란 뜻에 의혹하여 얽메일 까를 두려워 함에서니 허무주의에 빠지면(*빔에 얽혀들면) 비지않은 걸로 됨이라 그런 까닭에 혹 말하길 차지 않았다 함이니 채우고자 않이할 따름이다 천하의 物事(물사)가 새로움이 있으면 필경 폐단이 생기게 되는데 폐단이 있으면 무너지게 된다 곧 그렇게 폐단아니 지게 함을 무르익게 하는 자가 드믈다 대저 결론컨대 차지 않으면 새로운 폐단 무너짐 이룸이 마음에서 용납될게 없다 이래서 폐단을 폐단 아니지게 하고 폐단이 아니지면 무너지지않고 무너지지 않으면 새로운것도 없고 그의 성과 도 없다 할 것이다
朴註박주
上章旣形容道之無迹此章又形容有道之士 微妙玄通皆所以贊美有道者 言
상장기형용도지무적차장우형용유도지사 미묘현통개소이찬미유도자 언
其如此 故深而不可識由其不可識 故所形容者 未免於强 此亦莊子嘗試言
기여차 고심이불가식유기불가식 고소형용자 미면어강 차역장자상시언
之之意 容形容之也 此下七者皆所以形容有道者之辭豫萬若冬涉川爲之難
지지의 용형용지야 차하칠자개소이형용유도자지사예만약동섭천위지난
也 猶萬若畏四隣謹之至也 儼若容矜莊也 渙若 將釋委解也 敦萬其若樸
야 유만약외사인근지지야 엄약용긍장야 환약빙장석위해야 돈만기약박
蘊藏也 曠萬其若谷虛其體也 渾萬其若濁和其光也 濁以靜之待其徐淸安
온장야 광만기약곡허기체야 혼만기약탁화기광야 탁이정지대기서청안
以久之待其徐生爲無爲而物自化也 能耐也 久也 言保持此道者貴謙 而
이구지대기서생위무위이물자화야 능내야 폐구야 언보지차도자귀겸충이
戒滿溢如此則可以耐久也 凡物由故得新由毁得成耐久 則不新成
계만일여차즉가이내구야 범물유고득신유훼득성내구 즉불신성
* 박씨는 주석하대. 윗문장에서 이미 형용하는 길 자취가 없다했고 이문장에 와선 또 형용하는 길을둔 선비 미묘한대 그윽히 통달했다 함은 모두 참이 없는 뜻이라 길의 존재를 확증하는자 그 이와같음을 말함으로 그 깊이를 그렇게 식별치 못한다 함인 것이다 그 그렇게 식별치못함으로 말미암아 형용함을 강제 함을 면치 못한다는 것이다 (*소위 견강부회하여 道(*길)가 그렇치않을까 변설해 본다는 것이다) 이 또한 莊子(*도가의 한사람)가 일찍이 시험해서 말했으대 뜻(*意)의 얼굴을 형용하는 뜻이라 함인 것이다 此下(차하= 이아래) 일곱가지 모두 형용함을 쓰는 길을 가진자의 말씀이니 겨울게 내를 건네는 듯이 하는게 어렵다는 뜻을갖고 예고하고 주위 사방 이웃을 두려워 여기는 듯이 삼감에 이른다는 뜻으로 猶考(미리 주춤거리면서 상고한다는뜻) 하고 엄전하기가 빈객처럼한다는 것은 매무새를 다듬는다는 뜻이요 변환하길 얼음 장차 풀리려는 듯이 한다함은 풀어 버리는 것을 말함이요 독실함이 그덩이진 듯 하다 함은 쌓여 감춰진다는 뜻이다 빈게 그골짜기인 듯 하다함은 그몸(*體)이 빔을 뜻함이다 혼둔함이그 흐린 듯 하다함은 그빛이 화열함이다 흐려서 고요함은 그맑아 늘어짐을 응대하는 것이다 안일함이오래면 그삶을 느긋하게 응대하는 것이고 하염없음으로 하여서 물사 저절로 변화하게 함이다 能(능)이란 견딘다는 뜻이다 (폐)는 오래?다는 뜻이다(소위 오래되면 자연 폐단이 생기게 된다는 뜻임) 무릇 물사란 연고 있음으로 말미암아 새로움을 얻고 무너짐으로 말미암아 이룸을 얻어 오래되면 새로 이룬게 아닌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