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바위 얼굴
 
 
주홍 글씨의 작가 너새니얼 호손의 또 다른 작품,
‘큰 바위 얼굴’의 줄거리입니다.
미국의 어느 작은 마을에
큰 바위 얼굴이라 불리는 거대한 얼굴 모양의
바위산이 있었는데 언젠가 이 바위와 닮은 위대한 주인공이
등장할 것이라는 전설이 떠돌았습니다.
평범한 소년 어니스트는 평생을 살면서
큰 바위 얼굴과 닮은 인물이 나타나기를 기다렸고
소년에서 노인이 되기까지 네 명의
인물을 만났습니다.
첫 번째 인물은 금을 긁어모은다는
‘개더골드’라는 별명을 가진 재력가였습니다.
하지만 그는 영악하고 탐욕스러운 인상에다
인색한 사람이었습니다.
세월이 흘러 청년이 된 어니스트는
두 번째 인물로 유명한 장군을 만났습니다.
어니스트는 그에게 강한 의지와 힘은
볼 수 있었지만, 자애로움과 지혜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다음으로 만난 세 번째 인물은
성공한 정치가였습니다.
그는 큰 바위 얼굴처럼 당당하고 힘찬 외모를
가지고 있었지만, 권력과 명예욕에
찌들어 있었습니다.
어느덧 노년기에 들어선 어니스트는
마을에서 존경받으며 사람들을 깨우치는
인물이 되었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한 시인의 시를 보고
감탄하며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이 사람이야말로 바위 전설의 주인공이다!’
하지만 직접 본 시인의 얼굴은 바위와 닮지 않았습니다.
실망도 잠시 시인과 대화하던 그는 둘도 없는 친구가 되었고
시간이 지나고 어느 날 시인은 어니스트의 얼굴을 보다
깜짝 놀라며 말했습니다.
“어니스트 씨야말로 저 바위 얼굴이랑
비슷하지 않은가요!”
마을 사람들도 비로소
닮은 사람이 나타났음을 알고 놀랐지만
어니스트 본인은 자신보다 더욱 훌륭한 인물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하며 겸손하게
자리를 떴습니다.
 
 
어니스트처럼 닮고 싶은 존재가 있다면
어느 순간 나도 그와 비슷한
모습을 하게 됩니다.
즉, 무엇을 보고 사느냐에 따라
사람의 얼굴과 인생이 달라집니다.
이때 막대한 부, 권력, 명예 등
가슴속에 자신만의 큰 바위 얼굴을 품고 살지만
인생을 올바르게 이끌어 줄 것이 무엇인지
방향을 잡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 오늘의 명언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마침내
그 꿈을 닮아 가는 것이다.
– 앙드레 말로 –
	 					
	
	 
첫댓글 어떤 꿈을 매일 그리면서 그 꿈이 달성되었을 때를 상상하는 것을 습관화하면 우리의 뇌는 마치 그 꿈이 성사된 것처럼 착각을 하여 결국에는 현실적으로 그 꿈이 성사되는 경우가 꿈을 상상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매우 높다고 합니다. 따라서 윗글에서 소년이 자신이 어니스트가 된 것처럼 매일 생각하고 행동하다보면 어느덧 어니스트가 되어 있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일 수 있습니다. "꿈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2002년의 월드컵 구호는 5천만 국민들과 선수들이 4강을 이루겠다는 염원을 마치 이룬 것처럼 느끼고 경기를 했기 때문에 현실에서 4강이 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우리는 나이와 상관없이 항상 꿈을 꾸는 삶을 살면서 마치 그 꿈이 성사된 행복한 꿈을 매일 꾸는 것이 바람직한 삶이라 생각합니다. 병상에서 힘든 중에도 좋은 글 올려주셔서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