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역곡역 수요가 굉장히 많은 역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승하차만 따지면 온수역보다 훨씬 많죠.
하지만 왜 애초에 급행을 만들 때 온수역이 아닌 역곡역에 급행을 서도록 했는지 이해가 가질 않네요.
역곡역 주민들 대부분이서울로 통근/통학을 하기 위해 전철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구로역부터 각역정차하는 급행의 성격상, 급행이나 완행이나 역곡역-용산역간 소요시간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죠.
반면 온수역은 인천/부평/부천 주민들이 광명시나 강남, 고속터미널 등 주요 지역으로 빠지기 위해 비서울/서울간 환승 수요가 굉장히 많습니다.
온수-구로,영등포,노량진,용산 등으로 가는 수요보단 온수-동인천,주안,동암,부평,부천 등으로 가는 수요가 훨씬 많으므로 당연히 역의 특성상으로 봤을때 역곡보다는 온수 정차가 더 합당하겠죠.
온수역 플랫폼이 좁아서 미처 급행의 용량까지 흡수할 수 없어서 급행통과역으로 설정되었다는 말이 있는데,
솔직히 온수역 플랫폼이 좁은만큼 역곡역 플랫폼도 못지않게 좁습니다.
게다가 온수역보다 유동인구가 훨씬 많은 1호선/3호선 종로3가역 승강장은,
온수역 뺨을 후려갈길 정도로 좁아서 매일마다 발 디딜 틈 없이 미어터지는 역인데,
(출퇴근 시간 뿐 아니라 낮시간대나 주말에도 늘 통행에 애를 먹죠 -_)
확장 계획은 커녕 스크린도어 설치 계획 하나 없이 잘만 운행되고 있다는 점을 보면 거의 핑계로밖에 보여지지 않는데요.
차라리 애초에 역곡역 말고 온수역에 급행을 정차시킨 다음에 신길역에 설치한 스크린도어를 온수역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나왔다면 인천-서울간 환승의 시너지 효과도 높일 수 있어서 더 좋았을 텐데요...
이해가 가질 않네요.
역곡역이나 온수역이나 승강장 넓이 좁긴 마찬가진데 굳이 역곡 정차로 설정한 이유를...
제가 보기에는 온수정차도 타당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만.. 일단 환승역이라는 프리미엄도 많이있고요.. 소요시간이 크지 않다고 하셨지만 온수정차 하는것으로 인해 강남쪽 수요도 어느정도 분산하면서 신도림역의 엄청난 환승수요도 어느정도 낮출 수 있을것이라고 봅니다..(2,7호선 강남구간이 다르긴 하지만요) 뭐 다른 효과야 위에서 단국대인님 등 설명해주셨으니까 패쓰하고요.. 그리고 온수-역곡을 묶어서 생각하는 것이 바로 옆에 붙어있다보니 그렇게 생각되는 것 같네요..
온수에 정차한다고 해서 신도림역 환승수요가 낮춰진다고는 볼수 없죠. 어차피 고속터미널 강남구청 청담 용마산 상봉 이런곳을 갈 사람들만 온수역에서 내릴뿐 그렇다고 해서 신도림역 환승수요가 줄진 않습니다.
환승이라는 프리미엄 하나만으로 정차를 키신다는것은 좀 그런거 같습니다. 물롬 부평역도 환승역이긴 하지만 이 역에 경우는 사정이 좀 다릅니다. 부평역 자체도 승객이 많고 동막과 귤현쪽에서 오는 승객들은 다 소화시킬려면 부평역 정차는 꼭 해야겠죠. 그러나 온수역에 경우는 좀 사정이 달라서 수요가 그리 많은것도 아니지만 7호선에 경우 장암방면으로 가는 사람 혹은 내려서 1호선 기다리는 사람으로 나뉘기 때문에 환승역이라고 해서 멈춘다는것은 좀 그렇습니다.
신도림 환승 수요 낮출수 있습니다. 교타사거리를 간다치고 예로 들어보죠. 현재는 급행이 안서서 그냥 급행 정차역인 신도림역을 이용해 강남역에 내려서 갔는데 온수역도 급행이 정차해서 7호선 환승을 한다 쳐봅시다. 신도림의 경우 급행이용시 온수-신도림 8분, 신도림-강남 27분. 도합 35분입니다. 7호선의 경우 40분이지요. 물론 시간상으론 신도림 환승이 빠르지만 5분정도의 시간차이에 온수에서 자리에 앉아서 갈 수 있다는 메리트가 더해지면 어떻습니까? 개인의 차이에 따라서 7호선을 선호 할 수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신도림역의 엄청난 환승수요 낮추는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인천(시내),부천(중,상동)에서 강남지역 이동수요는 요금이 조금 비싸더라도 빠르고 편안한 광역버스가 상당부분을 먹고 있어서 온수역에서 7호선 타는 사람과 신도림에서 2호선 타는 사람은 지금도 갈려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경인선 승객들의 세부적인 이용 패턴 분석이 필요할 듯 싶군요.
중간에 짤리는 급행(구로,부천 등)은 온수정차가 꼭 필요합니다. (이 건으로는 아무도 말씀 안하시네요..)
국내 지하철 이용이나 운용의 특성상 급행을 다시 세분화하는 것은 적절해 보이지 않습니다.
9401™ //괜찮은 의견이네요. 경인급행에서 열차를 중간에 자르는건 수요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인데 어차피 수요도 없는 판인데 한정거장 더 정차해도 속도감소에 대한 저항은 다른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을 뿐더러 오히려 대수요지의 공급창출로 인해 수요가 더 늘어날 수도 있으니까요. //// 여수행관광열차//왜 급행의 세분화가 적절하지 않다고 말씀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운용 측면에서는 다이어그램의 준수가 더 곤란해진다는 점, 이용 측면에서는 이용자들이 다양한 패턴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아니면 시각표에 이렇게 표기하면 되지요. 구로발의 구로역에서는 00(온)이라고 하여 온수정차 동인천급행이라고 표시하고, 온수역은 따로 00(급)이라고 하며, 동인천발 구로행의 경우는 밑에다가 "구로행 급행은 온수역에 추가정차"라고 적으면 됩니다. 참고로 용산발 구로행(일명 사기급행)의 경우는 노량진에서 의외로 많이 탑니다. 사기급행 시간만 알아놓고 이용해주는 사기급행 매니아도 꽤 있죠. 노량진에서는 카드만 찍고 Barota니까요.
서비스 개선 정도는 될 수 있겠지만 본질적인 해결책이 안된다는게 문제죠. 중간에 짤리는 급행은 천안 급행보다도 편수가 적은 정도인데 -_-...
온수역 급행 정차시에 효과를 볼 사람은 주로 i) 부평 이서 및 이남에서 ii) 7호선 및 3호선 강남지역으로 갈 사람들입니다. 강남의 경우 테헤란로 접경지를 제외한 전지역,이라 쳐도 무방하므로 실제 2호선 역 이용자를 7호선 역으로 이전하는 효과도 있겠지만 이건 배제하고 생각해 봅시다. 2005년 철도 통계에 따르면 부평 및 그 서쪽 역에서 7호선 및 3호선 강남지역 역으로 가는 수요는 경인선 도착 편도로 볼 때 221만명입니다. (정리하느라 죽는줄-_-) 차후 7호선과 경인선이 경합할 것으로 보이는 인천 1호선 계통의 수요는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두번 갈아타더라도 경인선에 급행이 생긴다면 경인선 쪽으로 옮겨갈 수 있죠.
하행선이 부평역으로 유입시키는 이용객이 5200만명이므로 이 중 최소 4% 정도는 지금도 7호선 이용권 내에 해당함을 볼 수 있습니다. 덧붙여 역곡에서 하행을 이용하는 이용객이 272만명인데, 이 중 110만명은 부천시내에 머무릅니다.
흠... 7호선 연장구간이 개통이 되면 분명한것은 1호선은 승객수가 대폭 감소되겠죠.. 최소한 인천북부지역과 부천지역은 7호선으로 가겠죠.. 그런데 7호선이 몇가지 문제는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7호선이 엄청 길어지며 급행이 필요하게 됩니다.. 노선이 광역성격을 띄게 되니까요. 또한, 역곡역도 사람이 많긴 하지만 7호선 연장구간이 개통이 되면 승객이 분산이 되면서 전철타기도 수월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