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20. 네이버 카페 오두막 지기.
2023년~2024년, 우주 및 생사, 시공의 이치 등 보다 가치있는 삶부터 맑고 밝은 세상, 더불어 고르게 잘 사는 사회까지 271개의 과제 수행 흔적.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 지나치게 늦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주식 시장 및 부동산 시장 대세 상승과 관련하여 무기력, 무능력한 정부, 기업 등 경제 주체에 경각심과 분발을 촉구 함.
게으른 네이버 단칸 모옥 청소부 A-2.
2023. 12. 1.
식욕, 성욕 등에 관한 원론적, 피상적인 답변 도중 막간을 활용.. 물질적 인간다운 생활권 확보, 유지, 강화를 위해 인간, 국민의 기본적 본성 본능 중 물욕 및 이를 실현하는 수단 중 하나인 정치, 경제 등의 영역에 관한 과제 6.
"우리나라 부동산은 끝물이다. 서울 강남구 도곡동 '도곡쌍용예가' 전용면적 107㎡는 10억 원 가까이 폭락했고,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와 반포자이' 전용면적 84㎡도 각각 7억 4000만 원, 5억 원 하락했다." " 인천 연수구 '송도글로벌파크베르디움' 전용 84㎡, 세종시 '가락7단지프라디움' 전용 84㎡도 최고가 대비 거의 반동가리로 폭락했다. "
" 서울 강남도 그러한데 노인과 바다의 촌동네 부산 연제구 '레이카운티' 전용 84㎡는 7억548만원에 거래돼 2021년 최고가(13억5401만원) 대비 47% 폭락했더라. 우리나라 총인구 감소 속도보다 더 빨리, 더 많이 지역 주민이 감소할 촌동네 청년은 하루 빨리 탈출하는 것이 위너다. 더 폭락하기 전 하루빨리 아파트 팔아 치우는 것도 마찬가 자.."
모 비공개 주식, 부동산 사이트에서 앞서 예시한 글, 댓글에 추천, 공감이 많은 것을 보니, 최근 들어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비관론자들이 많이 늘어난 것 같구나. 하긴 국내외 경제 침체로 우리나라 국민 중 많은 이들이 금융, 실물 자산 손실과 이로 인한 고통을 경험했고, 우리나라 주식 시장이 회복하고 있는 최근 들어서도 마찬가지다.
다수 국민의 경제적 고통이 계속되거나 오히려 늘어나는 것이 경제 정의나 국익에 부합하는 걸까? 또, 금융, 실물 자산 투자자가 국민 60% 이상 다수일 것인데 국가, 정부의 존재 이유나 책무에 적합한 것일까? 이와 관련하여 다음 글에서, 아래에 모니터링한 거시 경제에 대한 정책 제안을 겸하여 단기, 혹은 중기적 우리나라 국민경제에 대한 전망 나간다.
2023년 12월 1일 네이버 뉴스...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3년 11월 수출입동향' 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7.8% 상승한 558억달러, 수입은 11.6% 감소한 520억달러로 무역수지 38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 평균 69억달러에 그쳤던 반도체 수출은 95억2000만달러를 기록하며 100억달러 선에 근접했다. 다만, 11월 대(對)중국 수출은 113억6100만달러, 수입은 120억8600만달러로 7억3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2023년 11월 30일 네이버 뉴스... 한국은행이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전망치(2.2%)보다 0.1%p 낮은 2.1%로 수정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4%를 유지했다. 아울러 한은은 올해 경상수지 흑자규모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지난 8월 제시한 270억달러보다 30억달러 많은 300억달러를 새로 제시했다. 한편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전망(3.5%)보다 0.1%p 높은 3.6%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고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기존 전망(2.4%)보다 0.2%p 높은 2.6%를 제시했다.
2023년 9월 13일 네이버 뉴스...12일 한은이 발표한 ‘2023년 2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2분기 국내 외부감사 기업 매출액 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3%를 기록하며 1분기 0.4%에서 하락 전환했다. 이는 2020년 2분기(-10.1%)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수익성 지표도 나빠졌다. 판매가격 하락 등 영향으로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2분기 7.1%에서 올 2분기 3.6%로 떨어졌다. 제조업은 지난해 2분기 8.6%에서 올해 2분기 2.9%로 떨어졌고, 비제조업도 5.1%에서 4.6%로 하락했다. 부채비율은 1분기 95.0%에서 2분기 90.8%로 하락했는데, 대기업(92.6%→86.8%)은 낮아진 반면 중소기업(106.6%→110.8%)은 높아졌다.
2023년 12월 1일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12월 1일 부동산 단신 5.
서울 강남구 도곡동 도곡쌍용예가의 전용면적 107.53㎡는 8일 22억원에서 3일 14억원에, 도곡동 삼성래미안의 전용면적 122.81㎡는 32억1500만원에서 10일 29억원에 거래됐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1차' 전용 196㎡는 지난달 반년 새 11억원 내린 67억원에, 역삼동 '역삼푸르지오' 전용 84㎡도 8 24억3000만원에서 9월 23억9500만원에 거래됐다
서울 서초구 잠원동 아크로리버뷰신반포 전용 78㎡가 지난달 31억원에,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 84㎡는 9월 31억~33억원에, 삼풍 전용면적 79㎡는 이달 23억원에 각각 수억원 하락한 가격에 거래됐다. 한편, 지난 3월 장기임대주택, '시프트(shift)' 입주자모집공고를 낸 제 42차 물량에는 '아크로리버파크'를 비롯해 '래미안퍼스티지', '래미안서초스위트', '반포자이', '서초푸르지오써밋' 등 내로라 하는 인기 아파트들이 대거 포함됐다.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7단지 전용59㎡은 지난달 6억3500만원에, 상계주공3단지 전용58㎡은 지난달 6억7000만원에, 상계주공6단지 전용58㎡도 10월에 6억2700만원에 거래돼 각각 6000만원, 3000만원, 7300만원 하락했다. 전용면적 84㎡를 받기 위해 5억원 이상을 부담해야 하는 상계주공5단지 전용31㎡는 지난달 5억원에 거래됐다. 2021년 8월 7억5000만원에 최고가를 경신했던 도봉구 창동 '창동주공 1단지' 전용 49㎡도 이달 13일 4억9500만원에 손바뀜됐다.
노도강 집값 하락에 영끌족 비명.. 강북구 미아동 '삼성래미안 트리베라 2단지' 전용 84㎡는 지난달 8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직전 거래가(8억7000만원)와 비교해 5000만원 내린 값이다.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16단지' 전용 59.39㎡도 지난달 4억8000만원에서 지난 13일 4억원에 거래됐다.
서울 성북구 장위뉴타운 중 장위 13구역은 신속통합기획과 모아타운 등 재개발 사업 방식에 대 주민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장위 11구역은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사업, 장위 12구역은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을추진 중이다. 장위 8·9구역은 장위뉴타운을 추진하다가 해제된 이후 2020년 공공재개발 사업 후보지로 선정됐다.
서울 용산구 동부이촌동 반도아파트는 안전진단 최종 통과했다. 인접 렉스아파트(1974년 준공)가 1대1 재건축을 통해 한강변 최고층 아파트인 56층의 래미안 첼리투스로 탈바꿈한 상태다. 이미 재건축이 추진 중인 한강맨션, 한강삼익 등 사업이 완성되면 동부이촌동 한강변 일대 스카이라인이 완전히 새롭게 그려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달 서울 동작구 노량진1구역(500억원)과 경기 과천시 과천주공10단지(200억원)가 입찰보증금을 낸 건설사가 없어 시공사 입찰이 유찰됐다. 성동구 응봉1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 강북구 강북3재정비촉진지구도 단독 입찰로 무산됐다. 영등포구 여의도 공작아파트 재건축도 대우건설과 시공자 수의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내년 강남권 분양, 5인 가구 만점통장 있어야 안정권".. 내년 상반기 강남구 래미안 레벤투스(도곡삼호)와 청담 르엘(청담삼익), 송파구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잠실진주) 등의 분양이 예정돼있고, 하반기에는 서초구 래미안 원페를라(방배6구역),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신반포15차) 등이 청약을 계획하고 있다.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 8~11·17차와 녹원한신아파트, 베니하우스 빌라를 통합 재건축 하는 ‘메이플자이(신반포4지구)’가 연내 분양공고를 낼 예정이다.
송파구 문정동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과 광진구 자양동 '롯데캐슬 이스트폴'의 최고 당첨가점이 79점이었다. 동대문구 이문동 '이문 아이파크 자이'의 최고점은 75점, 도봉구 도봉2동 도봉금호어울림리버파크는 최고점도 58점이었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 용산구 '호반써밋 에이디션'도 최저 당첨가점이 평형별로 63~71점에 달했다.
2023년 9월 1일에 모니터링된 자료.
2023년 9월 1일 부동산 단신 5.
강남구 대치동 대치선경 전용 117.7㎡는 2021년 5월 보증금 18억5000만원에 전세계약을 맺었지만, 올해 5월 11억원에, 인근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151.27㎡도 기존 36억원보다 7억원 낮은 29억원에전세 계약을 갱신했다. 대치동 아이파크 전용 119㎡,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 전용 167.7㎡, 신반포자이 전용 84㎡, 아크로리버뷰 전용 78㎡, 서초그랑자이 전용 119㎡, 용산구 한강자이 전용 169㎡ 등의 전세 갱신 차익도 마이너스 7억원이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198㎡(60평·매매가 95억원)으로 2년 전 거래가(55억2000만원)보다 72%(39억8000만원) 올랐고 갤러리아포레 전용 218㎡(66평)는 6월 88억원에서 이달 90억원에 신고가로 거래됐다.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전용 208㎡·63평)도 지난달 신고가인 85억원에 거래됐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전용 244㎡·74평, 71억9000만원)와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1·2차(전용 160㎡·48평, 65억원)에 거래됐다.
감정가 35억3500만원의 서울 강남구 압구정4구역 현대8차 112㎡(전용면적)가 38억1409만원에, 감정가 28억4000만원의 압구정1구역 미성2차 74㎡도 27억7950만원에 낙찰됐다. 한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우내안애애듀퍼스트' 전용면적 84㎡ 평균 매매 가격은 평균보다 2억원 높은 5억500만원이다.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신속통합기획 자문 방식으로 70층으로 상향을 노리는 잠실주공5단지의 사업 방식을 참고할 예정이다.
서울 동작구 '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 전용 84㎡ 분양가는 13억9393만원(최고가)으로 14억원에 육박한다. 인근 '상도역 롯데캐슬 파크엘(2021년 입주)'과 'e편한세상 상도 노빌리티(2018년 입주)' 전용 84㎡ 매물은 각각 14억 초반 대다. 동대문구 이문휘경뉴타운 '휘경자이 디센시아' 분양가가 3.3㎡ 당 2930만원에 완판되자 지난달 '래미안 라그란데'가 분양가를 3.3㎡ 당 3285만원까지 올렸다. '이문아이파크자이' 분양가는 3.3㎡ 당 3500만원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이다.
후분양...경기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e편한세상 용인역 플랫폼시티'는 1순위 청약에서 평균 청약 경쟁률 3.83대1, 남양주시 다산동 '해링턴 다산 플레이스'도 같 1순위 평균 3.44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기록했다. 서울 서초구 신반포15차 재건축 '래미안 원펜타스 동작구 '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1공구 '월드메르디앙 송도, 경기 화성시 동탄2택지개발지구 '동탄레이크파크 자연& e편한세상', 용인시 마북동 '용인 센트레빌 그리니에' 공급한다.
다음 달 부산 강서구 ‘중흥S-클래스 에코델타시티’, 11월 ‘부산에코델타시티1차디에트르’를 분양할 예정이다. 올 2월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린'의 경우 605가구 모집에 7328개의 청약통장이 들어왔으며, 4월 ‘에코델타시티 대성베르힐’도 902가구 모집에 4237개의 청약통장이 몰렸으나 에코델타시티 디에트르 더퍼스트는 대거 미분양이 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