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2025년 이후에 출시하려던 스마트워치용 Micro LED 디스플레이가 수포로 돌아가면서, Micro LED 디스플레이 대중화가 어려울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왔지만, 최근에 메타가 Micro LED 스마트 안경인 '오라이언'을 공개하면서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또한 Garmin은 AUO와 손잡고 Micro 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워치를 조만간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들 제품들이 나온다고 해도 가격은 수백에서 천만원 정도까지 갈 것으로 보여, 당장은 현실성은 없지만, 애플이 Micro LED 디스플레이를 포기하여, Micro LED 디스플레이 대중화가 4~5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상당히 당겨졌다는데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애플이 비전프로(OLEDoS)를 출시하였지만, 500만원에 가까운 가겪과 해드셋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해 천하의 애플도 성공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메타의 스마트 안경이나 Garmin의 스마트워치 출시는 당장은 성공하지 못한다고 해도, 출시 자체만으로 의미는 찾을 수 있다고 본다. 결국 메타나 Garmin의 Micro LED 디스플레이 채용은 애플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어, 최근에 애플이 다시 Micro LED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제품을 2026년에 출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와, Micro LED 디스플레이의 상용화가 생각보다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단만, 1~2인치 Micro 디스플레이 가격을 낮추는 문제가 기술적으로 어렵고, 설사 낮춘다고 해도, 낮추는 가격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무엇보다 활용성이 크지 않은 스마트 안경(해드셋)이나 스마트워치를 100만원 이상 주고 구입한다는 것이 현실성이 없다는 점은 큰 걸림돌이다. 그렇지만, 크기가 큰 100인치 내외의 TV의 경우는, 향후 2~3년 내로 가격을 1/10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현재 1억원대의 Micro LED TV 가격이, 2~3년 후엔 지금의 OLED TV 가격 수준으로 내려올 수 있어, Micro LED TV의 대중화 가능성엔 문제가 없어 보인다. |
▶Micro LED 디스플레이 상용화 & 대중화 예상 시기
구분 | 1~2인치 | 5~6인치 | 10인치 전후 | 30인치 전후 | 100인치 전후 |
소자 (1화소 크기 | R/G/B 3소자 1.5" 4K 8.6μm 1.5" 8K 4.3μm
| R/G/B 3소자 2556x1179 6" 54.1μm | R/G/B 3소자 4K 10" 54.1μm 8K 10" 28.8μm | R/G/B 3소자 4K 10" 173μm 8K 10" 86.5μm | R/G/B 3소자 4K 100" 576.5μm 8K 100" 288.3μm
|
R/G/B 1소자(수직 적층) 2023년 6월 선다이오드사 4μm 시제품
| - | - | - | 1소자 34x85μm(삼성전자) 16x27μm(LG전자) ※1화소는 R/G/B 3색 소자를 수평배열 |
용도 | 스마트워치 스마트안경 (HMD) | 스마트폰 | 노트북 태블릿PC | 모니터 | TV |
상용화 | 2024년 | 2027년~ | 2026년~ | 2026년~ | 2021년 |
대중화 | 2027년 이후 | 2030년 전후 | 2028년 전후 | 2028년 전후 | 2026년~2027년 |
시장성 | 제한적 | OLED수준 | OLED수준 | OLED수준 | OLED수준 |
가격인하의 한계로 지금의 OLED수준 정도에서 대중화 가능성→가성비의 LCD(Mini LED)를 대처하기는 힘들 듯. |
관건 | 가격(OLED수준) |
결국 Micro LED 디스플레이 대중화에 최대 난제가 예상되는 것은 1~2인치 Micro LED 디스플레이(LEDoS)에 대처하는 방법이다. 즉, 1~2인치 Micro 디스플레이가 과연 시장성이 있는지와 시장성이 있다면 패널 방향을 어디로 갈지를 결정해야 한다. 마이크로(Micro) 디스플레이는, 1~2인치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즉, 1화소 크기가 5~10㎛(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작아, 주로 1~2인치 크기의 MR/AR 헤드셋(HMD) 또는 스마트 워치용 디스플레이로 개발이 되고 있으며, 발광소자가 작다보니 주로 실리콘(Silicon) 기판 위에 유기물을 증착하는 '올레도스(OLEDoS)'와 무기물인 발광다이오드(LED)를 올리는 '레도스(LEDoS)', LCD패널에 올리는 '엘코스(LCoS)'가 있다. 헌데, 최근 국내 한 언론은 아래와 같은 기사와 사설을 실었다. (클릭)거세지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도전…日·中 올레도스·레도스 잇단 선점 (클릭)[사설]차세대 디스플레이 대응 실기 말아야 위 기사를 바탕으로 아래 사설을 작성하였는데, 사설의 핵심은 마이크로(Micro) 디스플레이에 대한 선점을 일본과 중국이 해나감으로서, K-디스플레이가 Micro 디스플레이에 대한 실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또한 사설에서 지적한 K-디스플레이의 Micro 디스플레이에 대한 실기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바로 OLEDoS밖에 없다는 점인데, 일본 소니가 애플 비전프로에 납품한 W-OLEDoS가, 비전프로의 흥행저조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납품이 될지도 미지수지만, 양산에 따른 수율이 적어 이익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과연 K-디스플레이가 Micro 디스플레이를 OLEDoS로만 가는 것이 맞는지는 의문이다. 만일 'K-디스플레이'가, 1~2인치 크기의 Micro 디스플레이를 Micro LED가 아닌 OLEDoS로만 간다면, 빠르면 2~3년, 늦어도 4~5년 후엔 'K-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지금의 일본처럼 뒷방으로 물러나 있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 현재 중국-대만은, LCD(Mini LED)를 기반으로 Micro LED 디스플레이에서 최고의 기술과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삼성D와 LGD는 OLED 함정에 빠져, Micro LED 디스플레이는 그 어떤 준비나 대안도 없는 상태다. Micro LED 디스플레이, 비싸서 애플도 포기한 것을 우리가 갈 길이 아니라는 'K-디스플레이'의 미래가 그저 암울하기만 하다. |
▶마이크로(Micro) 디스플레이 종류 & 특장점
제품군 | 실리콘(Silicon) 기반 마이크로(1~2인치) 디스플레이 |
패널 유형 | 엘코스(LCoS) LCD on Silicon | 올레도스(OLEDoS) OLED on Silicon | 레도스(LEDoS) LED on Silicon |
패널/색구현 /상용화/ 주도 회사 | LCD+ RGB 컬러필터 (2025년 전후) | W-OLED+ RGB 컬러필터 (2024년/소니 상용화) | R/G/B 3색 OLED 자체발광 (2027년~/삼성D 상용화 목표) | R/G/B 3색 Micro LED 자체발광 (2027년~ /다수 회사 상용화 준비 중) |
가격 (패널) | 100만원 이내 | 200만원 내외 | W-OLEDoS보다 2배~ 고가 예상 | RGB-OLEDoS랑 같거나 다소 비쌀듯 |
장단점 | 가성비 우수 | 가격 비싸고, 내구성(번인현상/밝기저하) 문제로 한계성 | RGB-OLEDoS랑 같거나 다소 비싼 정도면, 고급 헤드셋/워치용에 적용 |
특징 | 실리콘 기판 위에 LED(LCD) 또는 OLED, (Micro)LED 소자로 패널 완성 |
1화소 크기 | 5~10μm |
주 용도 | 헤드셋 또는 워치 |
시장성 | 헤드셋 자체에 대한 한계로 비용대비 시장성은 크지 않다. |
※Micro LED 디스플레이는, 현재 TV나 사이니저 같은 대형(100인치 내외) 디스플레이에서 먼저 상용화가 되고 있다. 해서 Micro LED 디스플레이는, 1~2인치 크기의 레도스(LEDoS)와는 상관없이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참고로 삼성전자는 2~3년 내에 지금의 Micro LED TV 가격을 10분의 1수준(OLED TV 가격 수준)으로 낮춘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
▶HMD의 한계(MR/AR 헤드셋의 한계) ①눈에 착용해야 하는 부담감이 크다 헤드셋을 끼면 주변은 아무것도 보지 못한다. ②기술이 따라주지 못한다. *헤드셋을 착용하는 부담감을 줄이려면, 무게를 최소 50g이내로 줄여야 →애플 MR/AR 헤드셋인 '비전프로'의 본체 무게만 600~650g이고,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하는 배터리 무게는 353g로, 2가지를 합치면 무게가 무려 1㎏에 달한다. *어지러움 증을 느끼지 않으려면 8K/120Hz이상 되어야 →8K/60Hz까지밖에 상용화가 안 되고 있음 ③1~2시간 이상 사용이 어렵다. 콘텐츠(3D)의 특성상 30분 이상 착용이 어렵고, 헤드셋의 밧데리도 사실상 1~2시간을 넘지 못한다. ④가격이 비싸다. 어느 정도 성능(4K)을 갖춘 헤드셋 가격이 수백만원 이상 호가 한다. |
▶기사로 본 1~2인치 Micro 디스플레이 진행 일지(삼성D 중심)
2022년 10월 14일
삼성D "AR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가 가장 유력...OLED는 불가능"
2023년 1월 12일
삼성, 스마트워치용 마이크로 LED 만든다
2023년 1월 12일/16일(수정)
삼성D, OLEDoS 개발은 RGB+W 투 트랙으로
2023년 1월 25일
"애플, 첫 AR·VR 헤드셋 '리얼리티 프로' 6월 공개"
2023년 3월 21일
삼성D 5.5세대 설비, OLEDoS용으로 개조
2023년 5월 18일
삼성D, RGB 올레도스 업체 美이매진 인수...2900억원
2023년 6월 6일
애플, 450만원대 MR 헤드셋 ‘비전 프로’ 공개···“공간 컴퓨팅 시대로”
2023년 6월 15일
애플 ‘비전 프로’에 소니 ‘올레도스’ 눈길...LG, 삼성 MR 디스플레이는
2023년 10월 22일
삼성D, 차세대 'RGB OLEDoS' 만든다
2024년 1월 7일
삼성디스플레이, CES 2024에서 1.03인치 RGB 올레도스 공개
2024년 1월 21일
구글, 헤드셋 하드웨어 개발 접는다
2024년 2월 1일
애플 '비전프로' 2일 출시…XR 헤드셋 시장 개화
2024년 2월 15일
애플 ‘비전 프로’ 판매 물량 반품 시작… “허니문 끝났다”
2024년 3월 23일
"애플, 스마트워치용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개발 중단"
2024년 4월 24일
애플 '비전 프로' 출하량 '반토막'.. 삼성전자도 속도 조절할 듯
2024년 6월 21일
삼성D·LGD, "애플도 안 하는데…사실상 마이크로 LED 포기 선언
2024년 8월 21일
삼성D ‘IMID 2024(제주)’에서 W-OLEDoS 공개
2024년 8월 25일
"애플 비전프로와 경쟁 안해"...메타, MR 헤드셋 계획 취소
2024년 9월 27일
메타, 스마트 안경 '오라이언' 공개…마이크로 LED 개화에 사피엔반도체 주목
2024년 9월 29일
Garmin, AUO와 손잡고 마이크로 LED 스마트워치 출시 예상
2024년 10월 7일
애플 스마트 글래스, 마이크로LED 기술 탑재할까…가격이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