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회선(leased line)이란 무엇인가?
전용회선은 사적인 용도로 임차한 전화 회선을 의미하는데, 영어로는 leased line 외에 어떤 경우에는 이를 dedicated line 이라고도 한다. 전용회선은 대개 교환회선 즉, 다이얼업 회선과 대비된다. 전용회선은 하루 24시간 내내 연결되어 있으므로, 필요할 때마다 연결을 확립하는 다이얼업 회선에 비해 편리하고, 전송품질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지만, 요금이 월간정액제로서 일정량 이상의 데이터 송수신 량에서는 유리하나, 그에 미달할 경우에는 다이얼업 회선에 비해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는 셈이 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업들은 한국통신 등과 같은 전화 회사로부터 전용회선을 임차하여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자사의 지사나 사무소들을 서로 연결한다. 그 외의 선택으로는 자신의 사설망을 구축, 유지하거나 또는 공중교환망을 보안메시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이것을 터널링이라고 부른다).
1 . 인터넷전용선
전용선이란 통신회선의 일부를 특정인이나 회사가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회선서비스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인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와 서비스 이용자, 또는 본점과 지점 간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회선을 가리킵니다. 전용회선은 크게 아날로그형과 디지털형이 있지만, 지금은 대부분 고속 디지털 회선을 쓰죠. 전용회선의 장점은 아무래도 전송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라는 데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회선 사용요금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런 전용회선은 최대 전송속도에 따라 그 종류가 나뉘어지는데, 일반회선은 56K, 128K, 256K, 512K가 있고, T1은 1,544M / E1은 2,048M / T2는 6,312M / E2는 8,448M / E3는 34,368M / T3 44,736M의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용선으로 인터넷에 접속을 한다는 말은 결국 모뎀을 사용하던 때처럼 전화선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고, 전화선이 아닌 별도의 전용 통신회선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한다는 말입니다. 전용선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을 할 때에는 라우터와 DSU, CSU 같은 종단장치, 그리고 서버 컴퓨터에 개인컴퓨터 사이를 연결해 주는 허브, 개인컴퓨터의 랜카드 같은 장비들이 필요로 합니다.
2. 전용선의 종류 및 장비
1) 기업인터넷 전용선
-> 도시권 이더넷망. 가장 광범위하게 설치된 구내 정보 통신망(LAN) 기술로, 이더넷 방식으로 인터넷에 접속되고 별도의 인터넷 접속 장비 없이도 기업의 네트워크와 연결이 가능하며, 공공기관, 일반 기업, 벤처 기업, 사이버 아파트 등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트로 이더넷은 광 케이블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있어 광 네트워크의 속도가 그대로 전달돼 인터넷 서비스를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기존 SONET/SDH 기술을 보완한 좀 더 진보적인 형태의 망구조이다.
2) VPN 전용선
->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서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개발한 vpn솔루션에 연결함으로써 통신사업자의 공중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마치 자신의 전용회선처럼 사용 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인터넷 vpn은 일반적으로 터널링(Tunneling) 기법을 사용하며 이 터널은 IP패킷이 인터넷 등 공중망 통과할 때 사용자간에 마치 터널이 뚫린 것처럼 통로를 마련, 이 터널을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는 것으로 이에 적용되는 보안 기술이 현재 하이온넷이 서비스하고 있는VPN이다.
비용절감 : 일반 인터넷 회선을 이용함으로써 전용선 비용의 70% 절감효과 (T-1 대비 연간 약 60%이상 비용절감 효과) vpn-Router를 통한 중앙 관제 서비스로 전산관리자의 업무분담으로 인한 인력비용 절감효과
보안 : 자료의 보호 및 네트워크 침입 원천봉쇄를 위한 암호화 지원, 외부 사용자의 인증 기능 지원 외부 사용자와 네트워크 연계시 보안성 증대를 위한 터널링(IPSEC,GRE 방식) 구성PC등 사용자 장비에서 VPN전용 라우터를 이용하여 본사의 server (gateway)까지 Tunnel 형성하여 데이터의무결성과 기밀성 보장
속도 : 회선상태에 따라 Down load 5~10M, Up load 800k~5M까지 가능합니다. 인터넷 트래픽을 vpn-router에서 port별, ip별로 통하여 인터넷 트래픽을 분리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속도 향상서버 운용시 서버로 집중되는 인터넷 트래픽 분산 가능함에따라 독립적인 인터넷 접속 환경을 구성함으로써 서비스의 안정성 향상과 vpn 트래픽에 대한 안정적인 대역폭 확보
안정성 : Dual-line 구성으로 회선의 장애로 인한 업무 중단을 미연에 방지, Dual line을 통한 백업 지원 Qos를 통한 네트웍 리소스 제어 관리, NMS, 통합 관제 서비스, 24시간 모니터링 및 장애 처리 지원(NOC)
1) DSU (Data Service Unit) : 9.6K ~ 56K
-> 일반적으로 DSU는 Digital Service Unit 또는 Data Service Unit이라 합니다. DSU는 디지털용 회선에 사용하는 장비인데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2) HSM (High Speed Modem) : 128K ~ 256K
-> 고객의 수요가 점차 많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해 지면서, 56K 이상의 전용회선을 사용하게 됨에따라 고속 데이터 전송용으로 나온 것이 HSM 입니다. 전용회선도 56K 한 채널이 아니고 다수의 채널을 모은것을 사용합니다. 한 채널이 아니고 여러 채널로 이루어져 구성된 만큼 데이터가 한번에 지나갈 수있는 폭이 넓어진것이므로 한번에 많은 양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3) CSU (Channel Service Unit) : 512K ~ 2048K
-> Channel Service란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channel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1channel은 64K 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는데 흔히 많이 사용하시는 56K/64K는 1ch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찬가지로 128K는 64 * 2 = 128 이므로 두 개의 채널을 사용합니다. 256K 나 512K도 마찬가지로 전송로에 할당된 채널이 여러개입니다. 그래서 속도가 128K인가 256K인가는 하는것은 2개 의 채널을 사용 하는가 4개의 채널을 사용하는가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실제적인 전송에 있어서, 각각의 단채널들이 따로따로 전송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먹스라 불리우는 집중장비가 여러개의 채널들을 모아서 하나의 대용량 전송로를 통하여 한꺼번에 전송되는 트렁크 방식으로 전송됩니다.CSU는 바로 이러한 트렁크라인 (T1 이나 E1)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전송방식의 차이로 T1은24channel 이 가능하고 E1은 30channel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연결된 T1 이나 E1 전송로는 CSU의 옵션에 따라서 채널수가 지정되고 정해진 채널수에 따라서 그에 따르는 전송로의 전송 속도가 결정됩니다.
CSU는 T1, E1 라인을 접속하여 내부에서 채널을 옵션에 따라 분류하여 512K 등의 고속급 전송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