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날개다
문인수
뇌성마비 중증 지체ㆍ언어장애인 마흔두살 라정식 씨가 죽었다.
자원봉사자 비장애인 그녀가 병원 영안실로 달려갔다.
조문객이라곤 휠체어를 타고 온 망자의 남녀 친구들 여남은명뿐이다.
이들의 평균수명은 그 무슨 배려라도 해주는 것인 양 턱없이 짧다.
마침, 같은 처지들끼리 감사의 기도를 끝내고
점심식사중이다.
떠먹여주는 사람 없으니 밥알이며 반찬, 국물이며 건더기가 온데 흩어지고 쏟아져 아수라장, 난장판이다.
그녀는 어금니를 꽉 깨물었다. 이정은 씨가 그녀를 보고 한껏 반기며 물었다.
#@%,0%&*%ㅒ#@!$#*?(선생님, 저 죽을 때도 와주실 거죠?)
그녀는 더이상 참지 못하고 왈칵, 울음보를 터트렸다.
$#ㆍ&@\ㆍ%,*&#ᆢᆢ(정식이 오빤 좋겠다, 죽어서 ᆢᆢ)
입관돼 누운 정식씨는 뭐랄까, 오랜 세월 그리 심하게 몸을 비틀고 구기고 흔들어 이제 비로소 빠져나왔다, 다 왔다, 싶은 모양이다. 이 고요한 얼굴로,
일그러뜨리며 발버둥치며 가까스로 지금 막 펼친 안심, 창공이다.
https://naver.me/585fUq1c
[시 평설 - 이가을] 이가을 시인
2008년 시집 ‘배꼽’에서 이 시를 읽었다. 문인수 시인은 시로써 마음을 결박한다. 자의적 결박이다. 시는 잊혀지지 않을 다큐를 본 듯하고 또한 먹먹함을 건넨다. 처음 읽을 때 하마터면 울 뻔했다. 이렇게 마음을 때리면 어쩌라는 건지, 그저 먹먹할 수밖에 없다.
시의 배경은 지체장애인 정식 씨 장례식장이다. 몇 안되는 조문객친구들은 저희끼리의 언어로 소통한다. 밥알을 흘리고 몸을 구기고 비틀며 식사를 한다. (정식이 오빤 좋겠다. 죽어서…… ) 그리고 정은 씨는 채찍처럼 우리 사회에 천둥같은 말을 던진다.
한 끼 밥조차 먹기 버거운 그들에게 죽음은 간절한 소망의 대상이 되었다. 우리 사회엔 수많은 정은 씨가 매일을 버티고 살아간다. 몸은 살아서 벗을 수 없는 불편한 옷이다.
https://naver.me/xTTdcldD
1. 시를 함께 낭송해보고, 눈을 감고 라정식 씨가 하늘을 만났을 때의 느낌을 떠올려봅시다.
2. [짝과 함께] 시에 대해 대화를 나눠볼까요?
-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어디인가요?
- 장애인 당사자들의 주요 요구 사안들을 찾아봅시다. 특히 3대 적폐는 무엇인가요?
(장애등급제 폐지, 부양의무제 폐지, 수용시설정책 폐지)
- 함께 행복한 사회는 불가능한 걸까요? 사회적 약자들의 요구를 대하는 자세는 어때야 할까요?
- [실천하기] 장애인 차별 철폐를 요구하는 SNS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