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산 규모
- 시멘트와 클린커는 국내 시장의 주요 건축 자재로 최근 3년간 신흥수출품으로 대두
· ‘13년 1~9월간 시멘트 생산량은 4,442만톤으로 동년 생산예정량의 79.3% 기록
· 동기간 내수량은 3,444만톤으로 동년 예상량의 71%, 수출량은 998만톤으로 동년 예상량 24.5% 초과 달성
- 주요 수출지: 중동, 아프리카, 동남아
*클린커 (Clinker)란?
- 조합된 시멘트 원료를 반융용 상태로 소성하여 만들어진 암록생의 덩어리, 시멘트 뿐만 아니라 석회, 마그네시아 등을 소성한 물질을 모두 클린커라 한다
베트남 시멘트 & 클린커 산업 실적 (‘12년 기준)
(단위: 만톤)
생산량 | 내수량 | 수출량 | |
시멘트 | 4,800 | 4,520 | 170 |
클린커 | 5,500 | 840 | 730 |
총합 | 10,300 | 5,360 | 900 |
<출처: VNCA>
○ 생산량의 수요 초과
- 베트남 내 시멘트 생산업체는 총 46개로 연간 최대 6,850만 톤 생산 가능
· 상위 11개 생산업체의 최대 생산량이 전체의 56.8% 차지: 최대 생산업체 Ha Tien 1社 연 730만 톤 생산 가능
· 최대 생산량이 수요를 초과하여 생산 허용량을 최대 생산량의 80%로 제한 (‘12년)
· 국영업체 Vicem社는 시장 주도 및 안정화를 담당하는 시장 선두업체
· 물류비, 원재료 조달 루트를 감안하여, 대부분의 시멘트 공장이 베트남 북부에 위치
○ 내수 부문
-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12년 시멘트 소비량 전년대비 8% 감소
· 지역별 시멘트 소비량: 북부 (41~46%), 중부 (21~25%), 남부 (31~33%)
· 시장 점유율: Vicem社 (36%), 해외 합작기업 (31%), 민영기업 (33%) (’13년 3분기)
○ 가격 변동폭
- 생산량의 수요 초과로 석탄, 전기, 석유 등 타 원료가격 증가세에도 불구 시멘트 공급가는 안정 유지
· ‘13년 현재 지역별 시멘트 공급가: 북부 (약61.9~71.4달러/톤), 남부 (약76.2~85.7달러/톤)
· 생산량 차이가 지역별 공급가에 영향
○ 시멘트 수요 전망
- ‘13년 내수량 4,700~4,750만톤, 수출량 1,300~1,350만톤 예상
· 부동산 시장 침체로 시멘트 수요도 저조, 수출 증대를 통한 재고처리 기대
· ‘14년 내수량 최대 4,900만톤, 수출량 최대 1,400만톤 예상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출처: Vietnam Cement Association VNCA, Vinanet, Construction newspaper, Phuong Nam Securities industry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