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별바람이 장춘근입니다.
지난번 한단고기의 스태리나잇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증적 검토란 글을 올렸습니다.
많은 호응 주셔서 감사하구요.
이번에는 조촐하게나마 스태리나잇 구동 장면을 보여드릴까 합니다.
지난 글에 댓글로 말씀드렸다시피, 이 작업은 저혼자 하기엔 너무 벅차서
같이 작업하실 분이나 또는 후원해 주실 분을 오랬동안 찾고 있는 중입니다.
또한 네이버 역사천문학회란 까페를 개설했는데, 앞으로 주기적으로 프로그램 사용법과
여러 사서의 자료를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얼마 전 스태리나잇 6.0 pro 를 어렵게 입수하게 되었습니다. 전에 사용하던 4.5 버전은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았는데, 이번 6.0은 매우 크네요. 제 컴이 펜 3.2 인데 버벅대다니 ㅡㅡ;

멋진 인터페이스 화면입니다. 화면 상단에는 시간과 위치를 나타내는 툴바가 있구요. 이 프로그램은 마치 내가 야외에서 직접 하늘을 보는 1인칭 시점으로 되어 있습니다. 오늘 날짜 서울 9시 53분의 하늘이네요. 해가 뜨고 있는 걸 보면 동쪽이란 걸 직감할 수 있죠.

툴바 아이콘의 제일 왼쪽은 Daylight 라고 해서 일광 효과를 적용하는 겁니다. 이것을 끄면 낮이라고 해도,

위 그림처럼 밤하늘로 볼 수 있죠.
다음은 가운데쯤에 별자리 그림 모양을 눌러봅시다.

순간적으로 하늘의 별자리들이 선형으로 나타납니다. 지금 태양은 사자자리(8월) 와 만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네요.

별자리 이름이 다 영어로 되어 있어 모르시겠죠?
메뉴 상단에 View_Constellations_korean 이란 걸 눌렀습니다.(제가 만든것임)

그러자 다음과 같이 바뀌었습니다.

흐려서 잘 안보이는데 별자리들이 모두 한글로 바뀐 것이 보이실 겁니다.
이제 위의 그림에서 살짝 고개를 왼쪽으로 돌려 북동쪽을 향해 바라보겠습니다.

태양이 좀더 오른쪽에 있죠. 그리고 가운데 큰곰자리라고 있는데 이 큰곰자리의 꼬리부분이 북두칠성에 해당됩니다.
자 그럼 기대하시던 우리 별자리 그림을 보시겠습니다.

아까와 같이 View 메뉴에서 이번엔 Oriental_1 이란 탭을 눌러보겠습니다.(이것도 제가 만든 겁니다)

자 바뀌었죠? 북두칠성이 가운데 선명하게 보입니다.보시다시피, 동양의 별자리는 서양과 달리 밝은 별들만 크게 듬성듬성
만든 것이 아니라, 오밀조밀하게, 때로는 별 한개 내지 두개가 하나의 별자리를 만들 정도로 매우 많이 있습니다.
서양의 별자리는 88개인데, 동양의 별자리는 신법 천문도에 1,744 개가 그려져 있습니다... 있을 겁니다. ^^;
위 동양별자리는 신법천문도와 안상현 님의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별자리' 에서 검토된 성도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조금 확대를 해서 주목해야 할 주 별자리이름을 특별히 표시해 놓았습니다.
태양 바로 위에 '헌원' 이란 별자리가 있지요? 이것이 바로 삼황오제의 첫번째인 황제 헌원의 별자리입니다.
자오지 한웅과의 탁록 전투로 유명하죠. 근데 신기한 건, 이 별자리가 태미원(아래 표시)에 있다는 것입니다
동양의 천문관은 크게 청룡 백호 현무 주작이 사방을 나누어 우주를 떠받치고 있고, 그 위에 지상의 삼라만상이 투영된
삼원(자미원, 태미원, 천시원) 이 존재합니다.
이 중 자미원은 하늘의 황제가 사는 곳, 태미원은 그 밑의 왕 또는 제후들이 사는 곳이지요.
천시원은 하늘의 시장, 즉 백성들이 사는 모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황제 헌원이 자미원에 없고 태미원에 있다는 거죠.
그리고 자미원에는 - 지금은 제가 작업중이라 아직 나타내지 못했지만 - 천황대제 라는 별자리가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이 천황대제는 누구를 지칭하는 것일까요?
동양의 별자리에 쓰였던 이름은 크게 중국 주나라 이전에 쓰이던 용어와 진, 한 시대에 쓰이던 용어로 갈라져 있습니다.
이는 분명 우리의 시점에서 만들어진 천문도가 중국에 건너가 한자화만 됐지,
결국 중국인들도 자신들의 가장 큰 조상을 자미원에 넣지는 못했다는 거죠.

위 그림에서 표시된 부분이 자미원입니다. 왼쪽에 표시된 별은 지금의 북극성으로 물론 아시는 분은 저 별이 비록 지금은 북극성이지만, 동양의 성도에 천황대제는 아니라는 걸 아실 테지요.

마지막으로 밤하늘의 모습을 더 축소해서 전체적으로 보여드립니다. 자미원과 함께, 위 그림의 오른쪽의 빈 공간은 남쪽 하늘로 아직 작업중이죠.^^
간단하게나마 스태리나잇의 화면을 캡쳐해서 보내드립니다.
보시는 것처럼 간단한 조작만으로 누구나 하늘의 모습을 컴퓨터로 감상하실 수 있는 획기적인 프로그램입니다.
지금까지 했던 것을 해상도가 낮지만, 동영상으로도 올려드릴께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 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료에 포함된 천문 현상을 대조하는 작업을 도와주실 분이나
후원해 주실 분을 찾습니다.
이미 역사천문학회 라는 단체가 존재하나, 제가 생각하는 것과 좀 달라서 따로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한
역사천문학회 를 만들 생각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저에게 쪽지를 주시거나, 메일을 보내주십시오.^^
첫댓글 고화질 동영상 필요하신 분은 이메일 주소를 알려주십시오. 21M 자리 용량과, 800M 짜리 용량이 있는데, 선택해 주시면, 제가 시간나는 대로 대용량 메일로 보내드릴께요.^^
와우~~! 정말 신기한 밤하늘 별자리에요. 좋은 그림 올려 주셔서 고맙습니다. 스태리나잇이 재미있는 작업이네요. 부럽습니다. 가끔 또 들려 별자리를 익히겠습니다. 수고 감사 감사합니다()()()
읽어 내려오는 동안 와~감탄사를 연발 터트리게 하는군요.별자리에 대해 문예안이던 제게 쉽게 별자리를 배울수있게 해주시는 별바람이님께 감사드리며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황제헌원이 태미원자리에 있다는 사실이 맘에 드네요.. ^^* 님 같은 열의있는 학도가 있기에 우리 역사를 바로 세우는 날이 머지 않은 것이라고 희망을 가집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