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 : 2025년엔 제대로 8K 화질을 느낄 수 있을까? 현존 8K 콘텐츠 중, 그나마 화질이 제일 좋은 것은, 현재 유일하게 8K UHD방송을 실시하는 일본(2018년 12월)과 중국(2021년 2월)의 8K UHD방송일 것이다. 하지만 이들 8K 화질도, 8K/60fps, 10bit/4:2:0에 100Mbps이내로 HEVC(H.266/일본) 또는 AVS3(중국)로 압축 전송함으로서 온전한 8K 화질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특히 이들 8K UHD방송을 100인치 미만 8K TV(10bit)에서 본다면, 4K TV(10bit)로 시청하는 것과 화질차이를 느끼기도 힘들다. 해서 8K 화질을 온전히 제대로 느끼려면, 8K TV는, 12bit로 컬러처리하면서 화면 크기는 120인치(73.43PP)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8K 콘텐츠는, HEVC(H.266)보다 압축 효율이 50%정도 좋은 VVC(H.266) 코덱으로 해서 8K/120fps, 12bit/4:2:0에 120Mbps내외로 압축 저장(전송)하여 재생을 한다면, 가장 이상적인 8K 화질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VVC(H.266) 인코더/디코더가 RGB로 압축 저장만 할 수 있다면, 8K콘텐츠를 VVC(H.266), 8K/120fps, 12bit/RGB로 제작한다면, 우리는 120“ 8K TV로 8K 화질을 온전하면서도 제대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8K Micro LED TV가 있다면, 가정에서도 자연스런 화질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여겨진다. 어찌되었든 2025년부터는 NVIDIA GeForce RTX 5000시리즈와 AMD Radeon RX 8000시리즈가 출시가 되면, PC와 8K TV를 8K/120Hz, 10bit/RGB로 연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나름 진보한 8K TV가 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8K TV 사이즈도 110" 크기에 8K LCD(Mini LED) TV가 대거 등장할 것으로 보여, 8K 화질을 좀 더 제대로 느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