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기고 싶은 이야기>
나는 1981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일보와 서울경제신문에서 기자로 일했다. 20여 년 동안 낮에는 기자로, 밤에는 작가로 나라 안팎을 많이도 돌아다녔다. 주로 역사의 현장을 답사하며 선현들의 학문과 예술과 군사적 업적, 풍류의 멋과 슬기, 용장한 기개가 서린 유적과 유허를 취재하고, 역사적 사건을 재조명하여 답사기사와 역사소설, 역사칼럼을 집필하고, 역사적 명인들의 일대기를 저술했다.
언론사는 16년 전에 떠났지만 나는 아직도 국토의 편답은 멈추지 않고 있다. 오랜 세월을 두고 나라 안팎을 돌아다녔지만 그래도 못 가본 곳이 더 많고, 아직도 쓸 것이 많이 남았다.
김삿갓이 강원도 영월에서 방랑을 떠난 것은 22세 때였다. 그는 57세로 전남 화순에서 세상을 뜨기까지 35년간 풍자와 해학과 기지와 전설을 남기며 방방곡곡을 떠돌아다녔다. 그러나 김삿갓은 금강산은 해마다 봄 ․ 가을로 찾았어도 백두산은 먼발치에서 보기만 하고 올라보지 못했다고 탄식한 시를 남겼다. 나는 다행히 기자 시절에 백두산 정상과 천지에도 올라가보았고, 비록 제한이 따르기는 했지만 금강산도 가보았다.
인생이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다고 하지만 길어도 백 년에 불과하다. 동서고금의 영웅호걸 ․ 기인재사 ․ 절세미인이 모두 백 살을 채우지 못하고 죽었다. 나도 이미 70고개를 넘겼으니 살아갈 날들보다는 살아온 날들이 훨씬 많다. 돌이켜보니 지난 세월 동안 나라 안팎을 많이도 돌아다녔다. 기자로, 소설가로, 전기작가로 답사여행을 많이도 다녔다. 그 결과 1988년부터 2018년까지 <역사인물기행><경제사의 현장><역사인물유적순례><민족사의 고향을 찾아서><고승과 명찰><한국사 여걸열전><한국사 제왕열전><민족사를 바꾼 무인들><부활하는 이순신><전쟁으로 읽는 한국사><한국사를 바꾼 리더십> 등 10여 권의 역사서를 펴냈고, <비인간시대><나를 여왕이라 부르라><연수영-불멸의 전설><불패-이순신의 전쟁><황혼의 분기점><단심-포은 정몽주><풍운><김삿갓> 등 여덟 권의 소설집을 펴냈으며, 여러 신문 ․ 잡지에 기고도 많이 했다.
역사의 현장에 선다는 것은 언제나 가슴 벅찬 감동을 안겨준다. 역사는 지나간 것, 죽은 것이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고, 내일을 바라볼 생생한 교훈을 주기 때문이다. 어떤 역사적 인물에 관한 일대기를 쓰기 위해서는 그의 출생지부터 무덤까지 답사하는 것은 기본이다. 물론 출생지나 무덤 같은 중요한 유적이 역사의 기록에서 영영 사라진 경우가 많기도 하다. 그래도 나는 보통 사람들보다는 더 많은 답사여행을 다닌 것을 내 인생에서 보람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황삿갓'이란 별명도 얻었다.
기자 생활을 하면서 다녀본 답사여행 가운데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백두산 등정과 고구려 ․ 발해 사적지 답사였다. 광복 50주년을 한 달 앞둔 1995년 7월이었다. 중국에 들어가 약 20일 동안 백두산을 등정하고, 고구려와 발해 유적지, 항일독립전쟁 사적지를 답사하고 돌아왔다.
그 밖에 생각나는 중요한 사적지만 해도 경주 신라 유적, 공주와 부여의 백제 유적, 단양 아단산성, 논산 황산벌, 양양 낙산사, 완도 청해진 터, 강화 고려궁 터, 진도 삼별초 유적, 영월 단종 ․ 김삿갓 유적, 안동 도산서원, 파주 자운서원, 밀양 표충사, 금산 칠백의총, 아산 현충사와 명량해협과 노량해협, 남해 노도, 광주 충장사, 부안 변산, 남한산성, 강진 다산초당, 정읍 동학혁명유적, 청원 단재영각, 예산 충의사, 부산, 인천, 군산, 마산, 묵호, 충주, 김천 등이다.
또 내가 찾아본 역사인물의 무덤만 해도 100기가 넘는다. 가장 오래된 무덤은 2천 년 전의 인물인 박혁거세와 김수로왕의 능이다. 이 능들은 경주와 김해에 있다. 그 다음이 광개토태왕과 장수대왕의 능으로 추정되는 이른바 장군총과 태왕릉이다. 이 능들은 만주 길림성 집안에 있다. 그리고 경주의 김유신 묘, 논산의 계백 묘와 견훤 묘 등 고대의 능묘가 있다. 경주시 안팎에 산재한 왕릉들은 선덕여왕과 태종무열왕의 능 등 몇 기만 제외하고는 고증이 불분명하다.
역사의 기록이 보다 명확한 고려시대 이후의 묘로는 신숭겸(申崇謙, 춘천) ․ 서희(徐熙, 이천) ․ 강감찬(姜邯贊, 청원) ․ 윤관(尹瓘, 파주) ․ 이규보(李奎報, 강화) ․ 최영(崔瑩, 고양) ․ 정몽주(鄭夢周, 용인) ․ 황희(黃喜, 파주) ․ 김시습(金時習, 부여) ․ 이지함(李之菡, 보령) ․ 신사임당(申師任堂, 파주) ․ 이율곡(李栗谷, 파주) ․ 정철(鄭澈, 진천) ․ 임제(林悌, 나주) ․ 허난설헌(許蘭雪軒, 경기 광주) ․ 허균(許筠, 용인) ․ 이매창(李梅窓, 부안) ․ 권율(權慄, 파주) ․ 이순신(李舜臣, 아산) ․ 조헌(趙憲, 옥천) ․ 김덕령(金德齡, 광주) ․ 곽재우(郭再祐, 대구) ․ 정약용(丁若鏞, 남양주) ․ 김정희(金正喜, 예산) ․ 단종과 김삿갓(영월) ․ 신재효(申在孝, 고창) ․ 신채호(申采浩, 청원) ․ 김옥균(金玉均, 아산) 등의 묘다.
이 가운데는 용인의 허균 묘와 아산의 김옥균 묘처럼 왕조의 반역자로 능지처참 당해 시신 없는 빈 무덤도 있다. 또 시집 잘못 간 죄 아닌 죄로 남편은 후처와 합장됐는데, 그 아래쪽에 먼저 보낸 어린 자식들 묘와 외따로 떨어진 경기도 광주시 초월면의 허난설헌(許蘭雪軒) 묘도 있다. 후손들이 자주 찾아봐 그럴듯하게 잘 꾸민 묘가 있는가 하면, 봉분도 묘비도 재실도 볼품없는 초라한 묘역도 보았다.
충남 아산시 영인면은 토정 이지함이 아산현감으로 재직할 당시 아산현 관아 소재지였다. 영인면사무소 앞뜰에는 1997년에 세운 토정의 동상이 있고, 그 뒤쪽에는 토정의 선정을 기리는 영모비가 있다. 또 영인초등학교 입구에는 토정 당시 아산현 관아 정문이었던 여민루가, 여민루에서 마을 안으로 조금 들어가면 토정이 이전한 아산향교가 있다. 하지만 토정이 구세제민의 경륜을 펼치던 걸인청 건물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남아 있었으나 시골까지 불어 닥친 개발 바람에 밀려 사라져버려 이제는 영영 찾아볼 길이 없다. 토정의 묘소는 서해의 낙조가 내려다보이는 충남 보령시 주포면 고정리 국수봉 기슭에 있다.
<토정비결>이 과연 토정 이지함의 저작이 맞을까. 세상사람 대부분은 지금도 이지함이 <토정비결>의 작자라고 굳게 믿고 있지만 나의 생각은 다르다. 토정이 그렇게 허무맹랑한 잡술서를 지었을 리는 없고, 그저 후세의 어떤 호사가가 지어놓고서 예언가로 유명한 토정의 이름을 도용했을 것으로 본다.
김삿갓의 유적 답사도 잊을 수 없다. 삿갓으로 하늘을 가리고 죽장 짚고 미투리 신고 한평생을 떠돌아다닌 천재시인 김삿갓, 풍자와 해학과 기지로 어우러진 파격적 시풍, 보통 사람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기행으로 가는 곳마다 전설을 남기고 사라진 방랑시인 김삿갓, 그는 바람처럼 구름처럼 물결처럼 이 땅의 산수와 저자 간을 마음대로 넘나든 영원한 자유인이요 풍류가객이었다. 강원도 영월 땅에 그의 일가가 숨어살던 집터가 있고, 김삿갓의 묘도 그 근처에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도 36년 전인 1982년 10월이었다.
이는 오로지 영월의 향토사학자였던 고 박영국씨의 오랜 현장답사와 자료를 통한 연구의 결실이었다. 박씨는 1974년부터 김삿갓의 발자취를 추적하기 시작하여 1982년 10월에 마침내 영월군 하동면 와석1리 노루목에서 김삿갓의 묘와 어둔리 선락골의 집터를 찾아냈을 뿐 아니라, 그 뒤 1994년 세상을 뜰 때까지 사재까지 털어가며 김삿갓 유적지 보존운동을 벌이고, 곳곳에 묻혀 있는 김삿갓의 미공개 시와 일화를 발굴해내는 데에 심혈을 쏟았다.
내가 박씨와 함께 처음으로 김삿갓 묘와 집터를 답사한 것은 한국일보 월간편집국 기자였던 1984년 여름이었다. 그때 이미 오래 전에 폐가가 되어버린 김삿갓의 집터에서 그의 어머니와 부인과 며느리 등 여인 3대가 눈물과 한숨을 섞어 곡식을 빻았을 디딜방아를 발견하여 가슴이 뭉클했던 기억이 새롭다. 또 그날 영월군청에서 지프를 빌려 김삿갓 유적을 찾아가는데, 너무나 산길이 험악해 머리에 혹이 여러 개 생겼던 것도 추억으로 남아 있다. 지금은 그때 길 같지도 않던 7km의 진입로가 매끈한 아스팔트 포장길로 변했고, 골짜기 이름도 와석리계곡에서 김삿갓계곡으로 바뀌었으니 상전벽해가 따로 없다.
김삿갓의 가출과 방랑은 빼어난 재주를 타고났건만 출신성분 때문에 구만리 같은 앞길이 막혀버린 좌절감과 울분이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저런 이유로 자신의 인생과 장래를 두고 수년간 고민하던 김병연은 가출을 단행했다. 그것이 맏아들 학균이 태어난 직후인 22세 때라고 전한다. 대삿갓 쓰고 대지팡이 짚고 미투리 신고 방랑길에 나선 김삿갓은 어제는 저 고을 오늘은 이 마을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기 시작했다.
집도 처자도 버리고 길 떠난 김삿갓의 발길은 먼저 금강산으로 향했다. 김삿갓은 22세에 가출해 57세로 전라도 화순에서 죽을 때까지 35년을 방랑하면서 특히 금강산을 좋아하여 여러 차례 찾았다고 한다. 빈털터리로 집을 떠난 김삿갓은 정해진 곳도, 오라는 곳도 없이 구름 따라 바람 따라 발길 닿는 대로 나라 안을 떠돌아다녔다.
그동안 양자로 간 학균 대신 집안의 대를 이은 익균이 아비를 찾으려고 여러 차례 집을 나서 풍문이 들려오는 곳마다 쫓아다녔다. 결국은 전라도 화순군 동복면 구암리에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가 시신을 모시고 돌아왔다. 철종 14년(1863년) 3월 29일 57세로 한 많고 파란 많은 삶의 막을 내린 김삿갓은 제2의 고향인 영월군 하동면 와석1리 노루목에서 외롭고 괴로웠던 유랑의 발길을 멈춘 채 영원한 휴식에 들어갔다. 22세에 방랑길을 떠난 지 35년 만이었다.
되돌아보건대 나의 기자와 작가 생활에서 가장 보람찬 일은 이순신(李舜臣) 장군의 유적을 답사하고, 그의 평전 <부활하는 이순신>과 전기소설 <불패>를 쓴 것이다. <난중일기>를 여러 차례 읽고, 고달픈 행로로 이순신의 발자취를 더듬으며 나는 그의 눈물겨운 일생에서 크나큰 감명을 받았다. 이순신이나 유성룡(柳成龍)이 존재 자체가 재앙이었던 선조(宣祖)가 임금다워서 그에게 충성을 바친 것이 아니었다. 멸망의 위기에 빠진 나라를 구하고, 참화에 빠진 백성을 구하기 위해 귀중한 한 목숨을 희생한 것이다. 이순신이야 말로 우리 역사의 숱한 영웅호걸 ․ 기인재사의 으뜸가는 불멸의 위인이었다.
역사는 교훈을 준다.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는 민족에게 발전은 없다. 우리가
또다시 국난에 가까운 난국을 맞은 것은 역사의 교훈을 망각한 데서 비롯된 자업자
득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황원갑 <소설가, 전 서울경제신문 문화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