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본문 제21장 해설
孔德之容, 惟道是從. 道之爲物, 惟恍惟惚.惚兮恍兮, 其中有象. 恍兮惚兮,
공덕지용, 유도시종. 도지위물, 유황유홀.홀혜황혜, 기중유상. 황혜홀혜,
其中有物.窈兮冥兮, 其中有精. 其精甚眞, 其中有信.自古及今, 其名不去,
기중유물.요혜명혜, 기중유정. 기정심진, 기중유신.자고급금, 기명불거,
以閱衆甫. 吾何以知衆甫之狀哉, 以此.
이열중보. 오하이지중보지상재, 이차
* 本文 第二十一章= 왕성한 덕의 용모 오직 길은 이러함을 쫓는다 길이 물사를 위함은 오직 황홀하고 황홀하다 황홀해서 미묘함을 헤아리지 못할것이여 그가운데 형상이 존재한다 황홀하고 황홀함이여 그가운데 물사가 존재한다 고요하고 어둠이여 그가운데 정신(精)함이 존재한다 그 정신함이 진정코 참이면 그가운데 믿음이 존재한다 예로부터 지금 까지 그이름을 버리지 않아서 여러 영걸들이 열람했다 내 뭘로서 어진 영걸들의 그러함을 알것인가 만은 이러함으로써 아나니라
* 구멍 덕의[허심탄회한 덕의 포용자세= 비어서는만가지를 수용할 태세가 되어 있다는것이라 소이불씨가 이를보고선 그 空觀(공관)을 주장하는 견해를 갖지 않았나 해본다] 수용태세 오직 길이 이를 쫓는다
길의됨됨이 오직 황하고 오직 홀하다 홀황하고 홀황함이여 그 가운데형상이 존재한다, 황홀하고 황홀함이여 그 가운데 사물이 존재한다 고요하고 어두움이여 그 가운데 정령이 존재한다 , 그 정령은 심이 참이라 그 가운데 믿음이 존재한다, 예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 명분을 버리지 못하였으니 열중보라 한다 내 어찌 중보의 얼굴이 그러한 줄 알까 만은 이래서 안다, 以閱衆甫.는 모든 좋은 것을 다 갖추어 드러내 보인다는 뜻으로서 군자보다 한단계 위의 人格(인격)성향을 가리키는 것을 말한다할 것이라, 소위 준걸 영걸이라 할 것이니, 소이 그러한 것을 열람하는 것 같다는 것이리라
蘇註소주
道無形也 及其運而爲德 則有容矣 故德者道之見也 自是推之 則衆有之容
도무형야 급기운이위덕 즉유용의 고덕자도지견야 자시추지 즉중유지용
皆道之見於物者也 道非有無 故以 惚言之 然及其運而成象 著而成物 未
개도지견어물자야 도비유무 고이황홀언지 연급기운이성상 저이성물 미
有不出於 惚者也 方有無之未定 惚而不可見 及夫有無之交 則見其窈
유불출어황홀자야 방유무지미정 황홀이불가견 급부유무지교 즉견기요
冥深 雖未成形 而精存乎其中矣 物至於成形 則眞僞雜矣 方其有精 不
명심묘 수미성형 이정존호귀중의 물지어성형 즉진위잡의 방기유정 불
容僞也 眞僞旣雜 自一而爲二 自二而爲三 紛然錯出 不可復信矣 方其有
용위야 진위기잡 자일이위이 자이이위삼 분연착출 불가복신의 방기유
精不吾欺也 古今雖異 而道則不去 故以不去名之 唯未嘗去 故能以閱衆有
정불오기야 고금수리 이도즉불거 고이불거명지 유미상거 고능이열중유
之變矣 甫美也 雖萬物之美 不免於變也 聖人所以知萬物之所以然者 以能
지변의 보미야 수만물지미 불면어변야 성인소이지만물지소이연자 이능
體道而 不去故耳 .
체도이 불거고이 .
* 소씨 주석하대. 길을 형용할수 없다 그 궁글러흐름에 이르러 덕되는 것이 있으면 형용하는 얼굴의 존재가 되리라 그러므로 덕이란 것으로 길을 본다 이로부터 유추한다면 모든덕의 존재는 얼굴이라 할 것이니 모든 물사의 길이란걸 보게 됨이리라 길이란게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게아니다 (* 편의 위주로 들락날락 하는게아니다) 그러므로 황홀하다 하는 것으로써 말해본다 그러나 그運營(운영)에 이르러서 형상을 이루고 나타내서 물사를 이룸에서 황홀한데서 나오지 아니함이없다
바야흐로 처음엔 있기도 없기도를 정하지못해 황홀하여서 바르게 보지못한다 있고 없음의 사귐에 밋쳐선 곧 고요함과 어두움을 본다 그윽하고 작아 비록 형체 이루진 못해도 정신함이 그가운데 존재함이리라 물사가 형체 이룸에 이르러선 참과 거짓의 잡됨이 된다 바야흐로 그정진함이 존재하면 거짓이 용납되지않는다 참과 거짓이있어 이미 잡됨 하나로부 터 하여 둘이 된것이되고 둘로부터 하여 셋이된것이된다 어지러운 모습에 썩여나는건 바르게 거듭 믿을 것 못됨이라, 바야흐로 정신함이 존재하면 나를 속이지못한다 옛과 지금이 비록 달라도 길이란 것을 버리지못할것이라 그러므로 버리지 않는다 이름(名) 한다는 것이다 오직 일찍이 버리지 않았음으로 모든 존재의 변화를 잘본다
甫(*보= 남자를 아름답게 일컬으는말 사나이, 아무개, 크다)란? 美(아름답다)란 뜻이다 비록 만물이 아름다움인데도 변함은 면치못한다 성인은 만물의 그러한바를 알으셔셔 길을 몸으로 삼길 잘하시어서 버리시지 않는 그러한 연고(*故=執理由)를 가졌을 뿐이다
呂註여주
其遺物離形至於若遺 其去智忘心至於若鄙 則其容之甚德者也 夫將何從哉
기유물이형지어약유 기거지망심지어약비 즉기용지심덕자야 부장하종재
唯道之從而已 道之爲物 惟恍惟惚 方惚而恍 恍則不昧 不昧則明 明則疑
유도지종이이 도지위물 유황유홀 방홀이황 황즉불매 불매즉명 명즉의
於有物也 然其中有象 象者疑於有物而非物也 故曰無物之象 又曰大象無
어유물야 연기중유상 상자의어유물이비물야 고왈무물지상 우왈대상무
形 方恍而惚 惚則不 不 則晦 晦則疑於無物也 然其中有物 物者疑於
형 방황이홀 홀즉불교 불교즉회 회즉의어무물야 연기중유물 물자의어
無物而有物者也 故曰無狀之狀 又曰有物混成 恍惚則不測 不測則神矣 窈
무물이유물자야 고왈무상지상 우왈유물혼성 황홀즉불측 불측즉신의 요
冥者神之又神者也 神之又神而能精焉 故曰窈兮冥兮其中有精 精者得道之
명자신지우신자야 신지우신이능정언 고왈요혜명혜기중유정 정자득도지
一而不雜者也 天下之物 眞而不僞 信而不 尙而不變 未有加於此 而天
일이부잡자야 천하지물 진이불위 신이불특 상이불변 미유가어차 이천
下之始 吾於是乎閱之 故曰 其精甚眞其中有信 自古及今其名不去 以閱衆
하지시 오어시호열지 고왈 기정심진기중유신 자고급금기명불거 이열중
甫 故爲道者 不 不昧 存其恍惚 無視無聽 致其窈冥 有象此有物 有物此
보 고위도자 불교불매 존기황홀 무시무청 치기요명 유상차유물 유물차
有精 有精此有信 爲道至於有信 則與吾心符而至物得矣 欲知天地萬物之
유정 유정차유신 위도지어유신 즉여오심부이지물득의 욕지천지만물지
所以爲天地萬物者 莫不始於此而已 故曰 吾何以知 衆甫之然哉以此.
소이위천지만물자 막불시어차이이 고왈 오하이지 중보지연재이차
* 여씨 주석하대. 그 물사를 버리고 형용에서 떠남이 되려 그에서 버림받은 듯 함에 이른다 그 지혜를 버리고 마음을 망각함이 스스로 비루함에 이른 듯 하다면 그 용모가 심히 덕을 갖춘 모습이라 할 것이다 대저 무얼 장차 쫓으리요 오직 길을 쫓을 따름이라 길은 물사를 위함을 오직 황홀하게 한다 바야흐로 황홀하고 황홀하다 황홀하면 어둡지 않고 어둡지 않으면 밝다 밝으면 물사의 존재(*긴가 민가 정말인가)를 의심낸다 그러나 그러한 가운데 형상이 존재한다 형상이란 것은 물사가 존재함인데도 물사 아닌것인가 하고 의심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물사없는 형상이라한다 (* 물질은 없고 형상만 있는것인가 한다는 뜻)
또 말하길 큰 형상은 형용(얼굴) 이 없다 한다 바야흐로 황당하고 황홀하다는 뜻이다 황홀한즉 밝은것만은아니다 (*譯者言= 정신감정이 불꽃속과 같음을 황홀하다 한다 불꽃속과 같음 화끈거림을 느낄뿐 그것이 환하다고만 인식 되지 무슨 변별력을 그속에선 찾을수 없는 것이다 만약상 밝다면 다른 사물이나 스스로의 처신이 보일것이나 그렇치않고 또 어둡기만 하다면 환하다거나 화끈거리는 감정이 느껴지지 말아야 할텐데 그렇치 않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그속에서 손가락과 양말짝을 설령 손에 들고 있고 눈에 가까히 대는 듯 한다하더라도 그것을 양말이라 손가락이라 분별할수 없다는 것이다
譯者가 학문이 모자라 그러한 현상을 과학적인 용어나 이론을 설명할수 없어서 그렇치 실제 그런 현상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어둡지도 않고 밝지도 않는상태 정신감정이 들뜬 상태를 황홀하다 한다 )그렇게 밝지 않음은 그믐이 진거와도 뜻이 통한다 그믐이란 것은 眼前(안전=눈앞) 대상이 무엇이 있는지 없는지를 알수없다 그래서 물사가 없는것인가 하고 의심낸다는 뜻이다 그렇치만 그가운데 물사가 존재한다 물사란 것이 물사 없는것인가 하는속에 물사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말하길 얼굴없는 얼굴상이라 해본다 또 말하길 물질의 존재가 혼미한 이룸이라 한다
홀황한건 헤아리질 못 할 것이고 헤아리지 못하는건 신의 영역이리라 그윽히 고요하고 어두운 것은 신비하고 또 신성스런 것이다 신의 영역속에서 또 신이되어서 정신(*精)함이 무르익은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고요하고 극윽히 깊음이여- 어두움이여- 그 가운츨 정신함을 삼는다 함인 것이다 정신한 것이란? 길의 하나로인 것을 얻어서 잡되지 않는 것이다 천하의 사물이 참하여서 거짓되지 않으며 믿어워서 의심스럽지 않고 떳떳한면이 있어 변치않음이라 여기다가 덧보태기 하지않고 천하가 시작 되었다 내 이를 바르게 관찰 하였음이라 그런 까닭에 말씀컨데 정신함이 더욱 참이면 그가운데 믿음이 존재한다 함인 것이다
예로부터 지금에 이르기 까지 그이름이 떠나가지 않았음으로써 영걸들이 열람한다 함인 것이다 그러므로 길이라 하는 것은 밝지도 어둡지도 않고 그 황홀한 존재요 보지도 듣지도 못해 그 그윽히 고요하고 어둠에 이르렀다 함인 것이다 *형상의 존재는 물사의 존재를 가져오고 물사의 존재는 정신함을 가져오고 정신의 존재는 믿어움을 가져온다* 길됨이 믿음의 존재 에 이르면 내 마음과 더불어 짝 들어맞아 물사를 얻음에 이르리라 천지 만물의 천지 만물 됨을 알고자 할진데 이처럼 시작을 아니할수 없는지라 그러므로 말씀컨대 내 어찌 영걸들의 그러함을 알것인가만은 이러함으로 아나니라 함인 것이다
朴註박주
林氏曰 孔盛也 知道之士 唯道是從 而其見於外也 自有盛德之容 道之爲
임씨왈 공성야 지도지사 유도시종 이기견어외야 자유성덕지용 도지위
物 以下皆言其妙 不可見其利 則參前蓋之虛而至實 卽所謂形而上者 濂溪
물 이하개언기묘 불가견기리 즉참전개지허이지실 즉소위형이상자 렴계
云無極而太極亦此意也 甫男子之美稱 衆甫者 古今聖賢也 言自古及今 道
운무극이태극역차의야 보남자지미칭 중보자 고금성현야 언자고급금 도
名不去 閱歷群聖 吾何以知群聖之有道哉 爾在群聖 而有盛德之容故也
명불거 열력군성 오하이지군성지유도재 이도재군성 이유성덕지용고야
此章蓋言道不可見 而德可見之意.
차장개언도불가견 이덕가견지의.
* 박씨 주석하대. 임씨가 말하길 孔(공=매우, 심히, 크다)이란 盛(성=담다, 채우다, 세상에 차려놓은 음식, 바리,주발 譯者言=번성하고 왕성함을 뜻한다)하다는 뜻이다 길을 아는 선비(*儒) 오직 길의 이럼을 쫓아서 그밖같에 보임이다 스스로 성한덕을 지니어 길의 얼굴을 하여 物事를 위한다 以下(이하) 그 미묘함을 가히 볼수 없음을 말함이요 그이치인즉 세가지이니 앞서 대저 빔에 이르러야 참에 이른다함은 곧 이른바 형용하여 윗된 것을 뜻함이다 표계(*당시 선각자 이름)는 이르길 무극 해서야 태극이 된다는게 역시 이런 뜻이다 甫(보)란 남자를 아름답게 일컬는 표현이다 여기서 衆甫(중보=모든 영걸)라 한 것은 옛과 지금의 성현을 뜻함이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길의 이름이 떠나지 않아서 역사가 흐르면서 (*내려오면서) 무리의 성현이 봤다는 것이다 내 어찌 길의 무리 성현들이 길의 존재를 주지한걸 알까만은 길로써 무리 성인들이 성한 덕둠을 얼굴 하였음으로 (*성한 덕 가짐으로 거동하였음으로)알았다는 것이다 이번장은 대저 길은 바르게 볼수 없으나 덕은 그렇게 볼수 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