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양서원 서배위 류중엄 Ryu Jungeom 柳仲淹 巴山에 대한 기록. 1538~1571. 향년 34세.
이칭 별칭 경문(景文),희범(希范),파산(巴山),유중엄
분야 역사 전통 시대 성씨 · 인물 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 문인 · 학자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시대 조선 전기
집필자 정명수
상세 정보
정의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유생.
가계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경문(景文)·희범(希范), 호는 파산(巴山). 할아버지는 류자온(柳子溫)이고, 생부는 참봉을 지낸 류공석(柳公奭)이며, 어머니는 권응삼(權應參)의 딸이다.
후사가 없는 류공계(柳公季)에게 입양되어 대를 이었다.
부인은 이문량(李文樑)의 손녀이다.
활동 사항
류중엄(柳仲淹, 1538~1571)은 류운룡(柳雲龍) 류성룡(柳成龍) 황준량(黃俊良) 오건(吳健) 등과 친밀하게 교유하였다.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동문 선배들이 그를 두고 남치리(南致利)와 더불어 타고난 성품이 순진하며, 학문을 물음에 간절하고 독실하므로 공자 문하의 안자(顔子, 안회)라 일컬었다.
34세로 세상을 떠났다.
저술 및 작품
저서로는 문집인 『파산일고(巴山逸稿)』 1책이 있다.
이황과 주고받은 서찰 30여 통을 수록한 「사문수찰(師門手札)」에는 경전에 대한 논의를 비롯하여 수신제가(修身齊家)의 방법과 상례 등 예절에 대하여 질의 응답한 내용들이 들어 있다.
상훈과 추모
안동에 있는 타양서원(陀陽書院)과 분강서원(汾江書院)에 제향 되었다.
....................
류중엄(柳仲淹)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 안동 출신입니다.
그의 자는 경문(景文)이며, 호는 파산(巴山)입니다.
본관은 풍산(豊山)입니다.
류중엄은 이황(李滉) 선생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류운룡(柳雲龍), 류성룡(柳成龍), 황준량(黃俊良), 오건(吳健) 등과 친밀하게 교류했습니다.
그는 순진하고 독실한 성품으로 공자 문하의 안자(顔子, 안회)로 불렸습니다.
34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저서로는 『파산일고(巴山逸稿)』가 있습니다.
파산정(巴山亭)은 그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정자로, 안동시 풍천면 도양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류중엄은 조선 중기의 유생으로서 그의 업적과 학문적 기여가 기억되고 있습니다.
...........................
巴山夜話(파산야화)
파산(巴山)의 하룻밤 이야기
何處離君苦憶君(하처리군고억군)
떠나간 (뒤로는) 그대 어디로 갔느냐며 그대 생각에 고통스럽드군요
巴山秋雨夜深聞(파산추우야심문)
파산(巴山)의 (그날의) 가을밤의 빗소리 또렷하더니만
那知共話西窓燭(나지공화서창촉)
서쪽 창에 밝힌 등불 아래 얘기할 일이 (또다시) 생길 줄 어찌 알았겠습니까. (내도 그대 있는 곳으로 가야 해서요)
古寺殘鐘又曉雲(고사잔종우효운)
먼 낡은 절의 새벽 종소리 들리는군요. 다시 새날입니다.
.............................
巴山(파산) 경남 함안의 옛 지명.
파산(巴山).
하지만 여기선 파산(巴山) 류중엄(柳仲淹, 1538-1571)을 기리는 시다.
본관은 풍산(豊山), 자(字)는 경문(景文)/희범(希范), 호(號)는 파산(巴山)이다.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제자다.
그리고 특히 파산(巴山) 류중엄(柳仲淹)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경북 안동시 풍천면 도양리의 파산정(巴山亭)을 가리키는 듯하다.
시의 내용이 죽은 자를 생각하는 내용인데, 파산(巴山) 류중엄(柳仲淹)이 살았던 곳은 지금의 안동시 도산면 일대 예안(禮安) 군 그러니까 분강서원(汾江書院) 부근이었다.
따라서 경남 함안은 아니라고 해야겠다.
그리고 건립 연대가 불분명한 파산정(巴山亭)은 1571년부터 옥봉이 죽기 전인 1582년 사이라는 말이 된다.
파산(巴山) 류중엄(柳仲淹)은 옥봉 보다 늦은 1538년에 태어나 옥봉 보다 11년이나 빠른 나이인 34세에 요절하였는데 요절한 사람을 풍산 류씨들은 왜 그를 기념하는 건축물을 세웠을까?
게다가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의 분강서원(汾江書院)과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의 타양서원( 陁陽書院) 2곳에나 배향이 되었다.
또 그는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삼촌이면서 친구였고, 겸암(謙菴) 류운룡(柳雲龍, 1539-1601),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 1517-1563), 약전(略傳) 오건(吳健, 1521-1574) 등과 절친하였고,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이 성주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약전(略傳) 오건(吳健)과 함께 주자(朱子)를 서로 강론하기도 하였다.
젊은 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제자들 중 안연(顏淵)이라 불렸다.
후손 류이좌(柳台佐)가 그의 글을 모아 1688년(숙종 14)에 <간송당문집(澗松堂文集)>으로 펴냈다.
단어
何處(하처) 어디에 있는가?
離君(리군) 그대를 떠나보내다.
深聞(심문) 세밀히 듣다/ 세밀하게 들리다.
那知(나지) 어찌 알리
共話(공화) 같이 이야기하다/ 함께 논의하다.
西窓燭(서창촉) 서쪽 창에 있는 등잔불
낮부터 시작한 근심이 밤이 되었으니 그 등잔불은 밝히었겠다.
이 3번째 구절도 옥봉이 잘하는 당시(唐詩)를 끌어와서 압축/변형하는 특기를 보여주고 있다.
파산(巴山)이라는 시의 제목과 바로 이 구절은 당(唐)나라 시인 이상은(李商隱)의 시 <야우기북(夜雨寄北)>에서 그 이미지를 가져왔다.
파산(巴山)은 서쪽으로 조금만 더 가면 부탄이라는 나라가 나오는 사천성(泗川省)의 곤륜산(崑崙山) 지역을 말한다.
우리에게 익히 알려지기에는 파촉 땅이 그곳이다.
우리나라 문인들도 그랬지만 그들도 지금 북경의 서남쪽이라서 편지나 글을 북쪽으로 쓴다는 표현을 썼다.
君問歸期未有期(군문귀기미유기) 그대가 돌아오는지 그게 언제인지 물었으나 기약이 없다 하여
巴山夜雨漲秋池(파산야우창추지) 파산(巴山)에 (내리는) 밤비(눈물)는 가을 연못을 부풀리네.
何當共翦西窓燭(하당공전서창촉) 어느 세월에나 서쪽 창에 켜둔 등잔불 심지를 (무릎 맞대고) 자르고
却話巴山夜雨時(각화파산야우시) 게다가 파산(巴山)에 (내리는) 밤비(눈물)의 아픔을 얘기할 수 있을 것인가?
문제는 이상은(李商隱)의 시와는 달리 옥봉의 이 시에서는 파산(巴山)에 살던 그 사람이 죽었다는 데 있다.
첫 구절의 행간에 보이듯 파산(巴山) 류중엄(柳仲淹)이 죽은 후 상당 기간이 흘렀으므로 같이 등잔불 하나를 사이에 두고 그 심지를 네가 한 번 자르고 내가 한 번 자르는 상황이 연출되기란 불가능하다.
따라서 서쪽은 죽은 사람을 기리는 상징으로 바뀐다.
그래서 서쪽 창에 켜둔 등잔불은 죽은 사람의 위패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단어
殘鐘(잔종) 희미하게 들리는 종소리
새벽인데도 불구하고 오래된 절에서 울린 종이 희미하므로 아주 먼 곳이겠다.
曉雲(효운) 새벽하늘의 구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