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재는 시스템인증사업부 원동신 부장이 작성한 내용입니다..
OHSAS 18001 -> ISO 45001 안전보건관리시스템의 인증으로의 변화진행중
여러분이 익히 알고 있는 OHSAS 18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국제표준이 아닌 민간인증기관의 규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최근 약 10년간 127개국에서 약 9만여건의 인증이 발급되어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이에 2013년 ISO 45001 인증 규격의 제정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 되면서 ISO PC(Project Committee) 128 위원회에서 진행중입니다.
이번 ISO 45001은 2017년 5월 현재 DIS 버전에 대한 실무위원회에서 2번째 위원회의 투표가 진행 될 예정입니다.
이때, 2/3 이상의 위원이 찬성을 할 경우, 국제표준 최종안(FDIS) 단계로 이동하여 모든 ISO 회원 기관에 회람되며(이 단계는 선택사항이고 위원회 동의가 생략될 수 있다). 2/3 이상의 찬성과 1/4 미만의 반대로 국제표준으로 승인되게 됩니다.승인).
일단 승인되면 최종 텍스트가 출판을 위해 보내진다(출판). 표준은 그 후에 계속적인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갱신될 것입니다.
최종 2017년 11월 FDIS 버전이 승인 되어 2018년 2월에 정식 버전이 등록되어 공표될 예정으로 있습니다.(하기 참조)

ISO 45001은 다른 인증규격과 마찬가지로
-기본 구조(high level structure)
-동일한 핵심 문구
-공통 용어 및 핵심 정의
의 가이드를 적용하게 됩니다.
또한 세부 요구사항은
• ISO 45001는 10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반면 OHSAS 18001는 4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 조직의 상황 – 공급 체인, 지역 공동체,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경제 및 지배구조 환경 등
• 리더십 – 고위 경영진이 전략적 계획 및 조직 문화 선도 같은 적극적 역할을 수행
• 문서화된 정보 –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이용 같은 전자 정보 및 가공된 정보 포함
• 지속적인 개선 및 통제 계층에 좀 더 집중
• 위험 관리와 위험 및 기회의 평가에 좀 더 중점
• 준수 상태를 입증하고 이해할 필요에 좀 더 집중
• 아웃소싱, 조달, 하도급에 대한 조항
• 성능 지표의 더 많은 이용 입니다.
이를 참고하시어, 인증규격의 제정을 대비하시는 것이 바람직하며, KOSHA 18001 인증기준에 관한 지침은(안전보건공단) 자체
외부 연구용역을 통해서 향후 관리 방향이 설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예상하기로는 이번 7월에 있는 안전보건강조주간의 세미나를 통해서 보다 많은 정보와 협의가 이루어져 개선 될 것으로
사료 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참조: MSc CFIOSH EurOSHM FRSPH MIoD MCIPR AIE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