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시조
1. 시의 뜻과 종류
(1) 시의 뜻 : 사람의 마음속에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함축적이고 운율이 있는 언어로 압축하여 표현한 문학
(2) 시의 종류
1) 형식상 : ① 정형시--일정한 운율적 형식에 맞추어 쓴 시
② 자유시--고정적 형식을 지니지 않는 자유로운 시
③ 산문시--행과 연의 구분이 없이 외형상 산문처럼 쓰여진 시
2) 내용상 : ① 서정시--개인적 생각이나 느낌을 주관적으로 읊은 시
② 서사시--신화나 역사 이야기, 영웅의 행적 등을 읊은 시
③ 극 시--극적(劇的)인 구성과 기법(=대화, 독백 등)으로 노래한 시
3) 주제상 : ① 주지시: 인간의 정신 작용 중 지성적인 면에 치중하는 시.
② 주의시: 인간의 정신 작용 중 의지의 측면에 중점을 둔 시.
③ 주정시: 정서적.감정적 측면에 초점을 둔 시.
④ 목적시(선동.선전시): 지나치게 어떤 목적을 앞세운 의도적인 시
2. 시의 운율
(1) 운율의 기능 : 운율은 시에 쓰인 말의 가락으로, 시의 의미와 화자의 어조 등과 어울려 시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이룬다.
(2) 운율의 종류
1) 외형률 : 일정한 형식을 지닌 규칙적인 운율 → 음수율·음보율·음위율·음성률
① 음수율: 음절 수의 규칙적인 반복
② 음성률: 음의 고저, 장단, 강약의 규칙적인 반복(중국의 漢詩)
③ 음보율: 일정한 음보수가 규칙적으로 반복(우리 나라 시의 율격적 특성)
<시조, 가사⇒ 4음보; 민요⇒ 2, 3, 4음보>
④ 음위율: 동일한 자리에 동일한 음이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나타나는 운율
(두운, 요운, 각운을 사용함)
2) 내재율 :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시 속에서 은근히 느껴지는 운율(자유시, 산문시)
※ 운율을 이루는 요소:
① 동일 음운 반복 ② 동일 음절 수의 반복 ③ 의성어, 의태어의 반복
④ 통사 구조의 반복 - 같거나 비슷한 짜임의 문장을 반복하여 사용
3. 시의 심상
(1) 심상의 뜻 : 이미지(image)라고도 하며, 시를 읽을 때 시어에 의해 마음속에 떠오르는 사물의 감각적 영상
(=말에 의해 재현된 감각적 체험의 표상)
(2) 심상의 종류
① 시각적 심상 : 색채, 모양, 동작, 명암 등에 의한 것
예)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 고깔에 감추오고,
② 청각적 심상 : 소리에 의한 것
예) 손톱으로 툭 튀기면 / 쨍하고 금이 갈 듯
③ 미각적 심상 : 맛의 묘사에 의한 것
예) 간간하고 짭조름한 미역 냄새
④ 후각적 심상 : 냄새의 묘사에 의한 것
예) 어마씨 그리운 솜씨에 향그러운 꽃지짐
⑤ (촉각적) 심상 : 피부의 감각에 의한 것
예) 불현듯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을 느끼는 것은
⑥ 공감각적 심상 : 둘 이상의 감각이 어루러진 것
예) 푸른 휘파람 소리(청각의 시각화)
1) 심상의 표현 방법에 따른 구분:
① 묘사적 심상 : 묘사나 서술 또는 간단한 심리.감각에 의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심상
(=서술적, 감각적, 심리적 심상)
예) 어두운 방안엔 빠알간 숯불이 피고(시각적)
② 비유적 심상 : 직유. 은유. 대유. 의인 등의 비유적인 언어에 의해 드러나는 심상
예) 향료를 뿌린 듯 곱다란 노을 위에....(직유)
③ 상징적 심상: 어떤 사물을 표상하고 상징에 의해 드러나는 심상
예)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들 ⇒ 조국, 봄 ⇒ 광복)
2) 심상의 효과:
① 시어를 통해 우리의 마음 속에 감각을 재생시킨다.
② 의미를 전달하거나 어떤 정서나 분위기를 환기시킨다.
③ 시적 상황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게 한다.
④ 추상적인 관념을 구체화할 수 있다.
⑤ 독자에게 반응을 유도하여 시의 정서와 연결시킨다.
⑥ 시어의 함축성과 긴축미를 높인다.
3) 심상의 요건:
① 시의 주제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② 신선하고 독창적이며, 감각적인 체험의 재생이어야 한다.
③ 비유나 상징 등의 기교와 결합되어야 한다.
4. 시의 비유와 상징
(1) 비유 :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원관념)을 그와 유사한 다른 대상(보조 관념)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
① 직유법 : '∼처럼, ∼같이, ∼인 듯' 등의 연결어를 써서 두 사물의 유사성을 비겨서 표현
예)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② (은유법) : 'A는 B다'와 같은 형식으로 두 사물의 동일성을 비기는 표현 방법
예) 오월은 계절의 여왕이다.
③ 의인법 : 사람이 아닌 사물을 사람처럼 표현하는 방법
예)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④ 대유법 : 어떤 대상의 부분, 속성, 특징 등을 통해 전체를 대신하는 표현 방법
예) 사람은 빵만으로 살수 없다.
⑤ (풍유법) : 속담, 격언 등과 같이 원관념을 나타내지 않고 보조 관념만 드러내어 본뜻을 독자가 미루어 짐작하게 하는
표현 방법
예) 빈 수레가 요란하다.
(2) 상징 : 어떤 사물이 그 자체의 의미를 유지하면서도 다른 의미를 내포하는 표현 방법
① 제도적(관습적) 상징 : 보편적, 관습적 상징
예) 비둘기 → 평화, 백합 → 순결
② 개인적 상징 : 문학적, 창조적 상징
예) 해 (박두진의 해 → 희망, 새로운 세계)
5. ‘시의 화자’란 무엇인가?
- 지은이와 별도로 시 속에 등장하여 말하는 사람으로 시적 자아, 서정적 자아라고도 한다.
1) ‘시의 화자’는 어떤 구실을 하는가?
- 시인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2) 화자 설정의 이유
- 시인이 시의 내용상 특성이나 시적 분위기를 고려하여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창조한 인물
(시인의 뜻을 대신 전달함)
3) ‘시의 화자’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① 시인 자신인 경우 - 시인 자신이 나로 등장하여 화자가 되는 경우
② 다른 인물을 내세우는 경우 - 화자가 드러나지 않고 숨어있는 경우
③ 시의 화자가 드러나지 않는 경우 - 남성, 여성, 노인, 어린이 등의 제 삼자를 내세우는 경우
*자화상(윤동주)--시인 자신 *진달래꽃(김소월)--여인
4) 시의 어조의 유형
(1) 화자가 자신에게 말하는 목소리
① 화자의 심정을 직접 드러낸다. ② 시인의 내면의 정서와 연결된다.
(2) 화자가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목소리
① 독자에게 무엇인가를 요구한다. ② 애원, 간청, 권고, 훈계 등의 성격을 지닌다.
6. 詩語의 특징:
① 리듬이 있다.
② 함축적 의미를 지닌다.(例: 어머니⇒조국)
③ 심상을 나타낸다.
④ 세련된 정서를 지닌다.
7. 시를 이루는 요소:
1) 형식 요소 ⇒ 시어, 음보, 구, 행, 연, 리듬
2) 내용 요소 ⇒ 소재, 제재, 주제, 심상
3) 시의 3대 요소:
㉠ 음악적 요소: 시를 읽을 때 느껴지는 말의 가락--리듬(운율)
㉡ 회화적 요소: 시를 읽을 때 마음속에 떠오르는 사물의 감각적 영상--심상
㉢ 의미적 요소: 시를 읽을 때 알게 되는 시인의 생각이나 느낌--주제
4) 시의 구성 단위:
구성단위 |
뜻 |
예 |
음보 |
낭독할 때 느껴지는 주기성의 최소 단위 (소리의 걸음) |
청산리/ |
구 |
시적 의미의 최소 단위 (2음보가 모여 1구가 됨) |
청산리/벽계수야/ |
행 |
최초로 완결된 율격 및 의미의 단위 (2구가 모여 1행을 이룸) |
청산리/벽계수야/수이 감을/자랑마라. |
연 |
시적 사고와 전개의 큰 틀이 되는 단위 |
청산리...... 일도 창해하면...... 명월이......... |
8. 주요 동인지 및 유파(類派):
①「자오선」동인: 이육사(청포도), 김광균(언덕), 신석초(고풍), 윤곤강(해바라기)
②「시문학」동인: 김영랑(돌담에 ~), 정지용(고향), 박용철
*순수 서정을 지향하고, 언어의 예술성을 살려 영롱한 언어미를 추구함.
--<시문학파> 또는 <순수시파>라고도 불림.
③《생명파》: 유치환(아기), 서정주--인간의 근원적인 생명력과 삶의 고뇌를 노래함.
④《청록파》: 조지훈(승무), 박두진(해), 박목월--공동시집「청록집」을 발행함.
⑤《2대 저항시인》: 이육사, 윤동주(자화상)
⑥《모더니즘파》: 김광균(언덕), 장만영, 김기림
*회화적(繪畵的) 심상을 중시하며, 새로운 공감각적 기법을 구사
★ 詩作을 위한 열가지 방법 (테즈.휴즈)
1. 동물의 이름을 머리와 가슴속에 넣고 다녀라.
(조류,곤충류,어패류,동물들의 이름을 가령 종달새,굴뚝새, 파리,물거미,달이, 소라고동, 바다사자, 고양이 등)
2. 바람과 쉼 없이 마주하라.
(동서남북 바람, 강바람, 산바람,의인화한 바람까지도)
3. 기후와 계절의 변화에 민감하라.
(안개,폭풍,빗소리,구름, 4계절의풍경 등)
4. 사람들의 이름을 항상 불러 보라.
(옛 사람이든 오늘 살고 있는 사람이든, 모두)
5. 무엇이든지 뒤집어서 생각하라.
(발상의 전환을 위해 가령 열정과 불의 상징인 태양을 달과 바꾸어서 생각한다든지
또 그것을 냉랭함과 얼음의 상징으로 뒤집어 보는 것이 그 방법
그리고 정지된 나무가 걸어다니다고 표현단다든지
남자를 여자로 여자를 남자로 상식을 배상식으로 구상을 추상으로
추상을 구상으로 유기물을 무기물로 무기물을 우기물로 뒤집어서 생각하라.
이것이 은유와 상징 넌센스와 알레고리의 미학이며 파라독스에 접근하는 길이다)
6. 타인의 경험도 내 경험으로 이끌어 들여라.
(어머니와 친구들의 경험, 혹은 성인이나 신화속의 인물들의 경험이나 악마들이나 신들의 경험까지도)
7. 문제 의식을 늘 가져라.
(어떤 사물을 대할 때나, 어떤 생각을 할 때 그리고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적 현상을 접할 때 이것이 시정신이며 작가 정신이다.)
8.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안 보이는 것까지 손으로 만지면서 살아라
(이 우주 만물 그리고 지상위의 모든 사물과 생명체들은 다 눈과 귀,
입과 코가 달려 있으며 뚫여있다고 생각하라.
나뭇잎도 이목구비가 있고 여러분이 앉아 있는 의자도 이목구비가 있고
여러분이 매일 무심코 사용하넌 연필과 손수건에도 눈과 귀 입과 코가 달려있는 사실을 생각하라. 우주안에선 모든 것이 생명체이다)
9. 문체와 문장에 겁을 먹지 말아라.
(하얀 백지 위에선 혹은 여러분 컴퓨너 모니터에 들어가선
몇 십번을 되풀이 해 자유자재로 문장 훈련을 쌓아가라.)
10. 고독을 줄기차게 벗 삼아라.
(고독은 시와 소설의 창작에 있어서 최고의 창작환경이다.
물론 자신의 창작을 늘 가까이 읽어주며 충고해 주는 사람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