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크시트란?
체크시트란 데이터를 간단히 취해서 정리하기 쉽도록 사전에 설계한 시트를 말한다.
따라서 이것을 이용하면 간단한 체크만으로도 필요한 정보가 모아지고 또 정리된다.
이외에도 확인, 점검해야 할 항목들을 빠뜨리지 않고 체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1. 체크시트의 종류
1-1 용도에 의한 종류
체크시트를 용도에 따라 분류하면 기록용과 점검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록용 체크시트 : 분포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똔,ㄴ 어떤 결점이나 불량항목이 어느 정도로, 어느 곳에서 발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데이터를 취하는 것으로서 미리 기록 대상항목을 정해두고 이예 따라 기록 (체크 ////)해
나간다.
점검용 체크시트 : 점검항목을 사전에 정해 두고 이에 따라 점검 확인(체크 : √) 해 나간다.
1-2 사용목적에 의한 분류
체크시트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불량항목 조사용 체크기트
· 불량원인 (요인) 조사용 체크시트
· 공정분포 조사용 체크시트
· 결점위치 조사용 체크시트
· 점검·확인용 체크시트
1-3 체크시트 작성방법
S1 : 체크의 용도와 목적을 명확히 한다. 관계자 전원이 모여 어떤 데이터로 무엇을 할 것인가 구체적으로 정한다.
(예, 공정분석을 목적으로 체크시트를 작성한다)
S2 : 층별방법을 정한다.
어떻게 층별할 것인가?
즉, 공정별로 할 것인가, 아니면 기계별, 작업자별, 재료별 또는 날짜별로 할 것인가를 정한다.
S3 : 체크항목의 선정 및 관리
무엇을 체크하면 좋은가? - 체크항목을 과거의 실적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검토하여 결정한 후 항목들을 정리
한다.
무엇을 체크할 것인가?
체크항목을 어느정도 세분화 할 것인가? - 체크해야 할 항목들을 뽑아내어 정리한다.
체크항목에 빠진것은 없는가?
S4 : 필요한 데이터를 취하는 방법, 계산방법등을 정한다.
데이터를 어떻게 기록하면 좋은가를 검토하고 아울러 정리, 집계, 계산방법도 정한다.
S5 : 체크하기 좋게. 즉 데이터를 정리하기 간편하게 양식을 정한다.
이 때 제품 명, 공정 명, 일시, 작성자 명 등 필요사항을 기입할 수 있는 난을 만들어 둔다.
S6 : 체크 실시
해당하는 항목에 체크 표시를 해 나간다.
1-4 체크시트 활용시 유의사항
· 사용목적에 맞는 체크시트를 만든다
· 가능하면 간단하게 만든다.
· 체크항목을 항상 검토한다 .
· 체크방법을 규정화한다.
· 점검항목은 작업순서에 일치되도록 한다.
· 데이터의 이력을 분명히 해둔다.
· 시기를 놓치지 말고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 데이터가 수집될 때 마다 체크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