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 전씨(潭陽 田氏)는 전라남도 담양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 의종 때 좌복야(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전득시(田得時)이다.
담양 전씨(潭陽 田氏)관향시조중시조집성촌주요 인물인구(2015년)비고
전라남도 담양군 |
전득시 (田得時) |
전록생, 전귀생, 전조생 |
전라남도 고흥군, 장성군, 강진군 전라북도 부안군, 군산시, 정읍시 충청남도 홍성군, 논산시, 보령시 충청북도 음성군, 충주시, 제천시 경상남도 의령군 경상북도 울진군 자강도 강계시 |
전균, 전록생, 전조생, 전운상, 전우, 전명운, 전영택, 전숙희, 전락원, 전상범, 전윤철, 전용원, 전용학, 전수안, 전소연, 전병헌, 전하진, 전여옥, 전재수, 전정국, 전희진, 전웅, 전미도, 전광렬 |
155,018명 |
담양 전씨 대종회 |
역사[편집]
담양전씨(潭陽田氏)의 시조 전득시(田得時)는 고려 때 전라도 담양(潭陽)에서 대대로 오랫동안 살아온 향리의 아들이다. 그는 고려 중엽 때 전라도 담양에서 출생하고, 현량과(賢良科)로 천거되어 고려 의종 때 좌복야(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등을 역임하고 담양군(潭陽君)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담양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분파[편집]
전희경(田希慶)의 아들 전녹생(田祿生)은 야은공파(野隱公派), 전귀생(田貴生)은 뇌은공파(牢隱公派), 전조생(田祖生)은 경은공파(耕隱公派)로 계파가 나뉘게 되었다.
전득시의 8세손인 전가식(田可植)을 시조로 하는 연안 전씨, 전조생의 7세손인 전균(田畇)을 시조로 하는 하음 전씨, 행주(고양)전씨[1], 전실(田實)을 시조로 하는 예산 전씨, 남원, 우봉, 평택, 개성 등은 담양 전씨에서 분파되었다. 담양 전씨 대동보에는 함께 등재하고 있다.
본관[편집]
담양(潭陽)은 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현재 담양은 조선시대의 담양도호부(潭陽都護府)와 창평현(昌平縣)을 1914년에 병합한 지역이다. 봉산면 · 무정면 이북지역은 대체로 옛 담양도호부 영역이고, 창평면 · 고서면 · 대덕면 · 남면 · 수북면 등 남부는 옛 창평현 지역에 해당한다. 백제의 추자혜군(秋子兮郡)이었던 것을 신라 경덕왕이 추성군(秋成郡)으로 고쳤고,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담주도단련사(潭州都團練使)를 두었다가, 1018년(현종 9) 도단련사를 폐지하였고, 담양군으로 개편하여 나주(羅州)에 편입시켰다.
1172년(명종 2)에는 감무(監務)를 두었고, 1391년(공양왕 3)에는 원율현(原栗縣 : 담양군 금성면 원율리 일대)을 병합하였다. 1395년(태조 4) 군으로 승격하였고, 1399년(정종 1)에 부(府)로 다시 승격하였으며, 1413년(태종 13)에 담주에서 담양으로 개칭되어 도호부(都護府)가 되었으나, 1728년(영조 4)에 현(縣)으로 강등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담양군이 되어 남원부(南原府)의 관할하에 있었으며, 1905년(광무 9)에 담양부를 담양군으로 고쳤고, 1908년(순종 2)에 폐지된 옥과군 일부가 담양군에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