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 14.
반복 조건
(제11장 참고자료)
반복 조건이 될 수 있는 자와나 마음들은 다음과 같다.
- 8가지 탐욕에 뿌리박은 마음
- 2가지 성냄에 뿌리박은 마음
- 2가지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
- 8가지 욕계 선심
- 8가지 욕계 작용 마음
- 1가지 기쁨이 함께하는 미소 짓는 마음(아라한인 경우)
- 5가지 색계 선심
- 5가지 색계 작용 마음
- 4가지 무색계 선심
- 4가지 무색계 작용 마음
47가지 마음
선정이 성취되는 인식과정에서 의문전향식 다음에, 선정 마음이 생기기 전에 우선 욕계 마음들이 생긴다. 이것들은, 아라한이 아니면, 의문(意門)을 통해서 집중주제를 경험하는 욕계 선심들이다. 이 마음들은 다음과 같다.
- 준비(빠리깜마) 마음
- 근접(우빠짜라) 마음
- 수순의(아눌로마) 마음
- 종성의(고뜨라부, 욕계를 벗어남) 마음
이들 각 마음은 다음 마음에 대해서 반복 조건이고, 이 과정의 마지막 마음인 종성의 마음은 선정 마음에 대해서 반복 조건으로 조건이 된다.
깨달음이 성취되는 인식과정에서, 의문전향식 다음에, 그 순간에 나타나는 실재를 무상, 고(둑카), 무아라고 분명히 보며, 지혜가 있는 세 개의 욕계 마음들이 있다. 이 마음들은 다음과 같다.
- 준비 마음 - 근접삼매의 마음 - 수순의 마음
수순의 마음은 출세간의 마음들이 생기기 전의 마지막 욕계 마음인 종성의 마음에 의해 계승된다.
이들 각 욕계 선심은 다음 마음에 대해서 반복 조건이다. 이 과정의 마지막 욕계 선심인 종성의 마음은, 도 마음 앞에 생겨서, 도 마음을 반복 조건으로 조건 짓지만, 도 마음 자체는 반복 조건으로 과 마음에게 조건이 되지 않는다. 과보심인 과 마음도 반복 조건이 아니다.
그리하여 29가지 욕계 마음들과 18가지 선정 마음들이 반복 조건이 될 수 있다. 출세간의 선심들인 도 마음과 출세간의 과보심인 과 마음은 제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