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현재 시판되는 HCl의 농도는 33% 짜리가 시판되고 있습니다.
아마 pH값이 강산인 "1"이라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33% HCl과 물(town water - pH 8)을 섞어서
10%, 5%, 2% 정도로 묽게 만든다면,
이때의 pH값이 얼마인지 알 수 없을까요?
수식으로 구하는 방법이 있다면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우선 33% 염산은 질량 백분률로 표시한 것입니다.
질량 백분률은 (용질의 질량)/용액의 질량 곱하기 100 한 것입니다.
그리고 pH는 수소이온 농도를 몰 농도로 구한다음 상용로그를 취해서
마이너스 값을 붙인 것이지요.
처음 염산 용액은 염산 용액 1 kg에 330 g의 염산이 있다는 말이지요.
염산용액의 밀도를 알면 용액의 부피를 알 수 있으니까
몰농도를 구할 수 있읍니다.
염산은 강산이므로 100% 해리되면, 염산의 농도가 곧
수소이온 농도가 되지요.
(계산)
33.0% 염산용액 100g을 취하시면 그 속에 염산이 33.0g 들어있습니다.
여기에 증류수를 섞어 전체 용액의 부피가 100 ml가 되게 묽힌다면,
33.0 / 36.5 = 0.904 몰의 염산이 100 ml에 녹은 것이므로,
염산 농도는 0.904/0.1 = 9.04 mol/liter = 9.04 M 이 되고,
강산이므로 모두 해리되면 같은 농도의 수소이온 농도를 만듭니다.
pH는 수소 이온 농도에 -log를 취한 것이므로,
pH = -log (9.04) = -0.96 이 됩니다.
같은 방식으로 모두 계산할 수 있습니다.
============================================
▷◁ 대구지하철 희생자를 추모합니다!
카페 게시글
Q & A
Re:HCL의 농도와 pH와의 관계
리차사랑
추천 0
조회 318
03.03.02 21:51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