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영문번역 경매 원문보기 글쓴이: 바람개비
1.무대공간 개념 - 무대 Stage 공연 행위를 실행하기 위한 공간 - 무대 뒤/백스테이지 Back stage) 관객에게 보이지 않는 극장 안의 극 준비공간. 무대의 뒷부분뿐만 아니라 옆무대, 분장실, 무대천장 등의 공연 준비 및 대기 공간과 기술적인 작업 공간을 모두 포함한다. - 무대 안 On stage 관객의 눈에 보이는 무대 공간 - 무대 밖 Off stage 관객의 눈에 보이지 않는 무대 공간 - 연기공간 Acting area 연기가 이루어지는 공간. 무대뿐만이 아니라 객석, 복도 등의 다른 공간이 연출상의 의도로 인하여 연기공간이 될 수도 있다. - 본무대 Main stage 극장 본막과 싸이크로라마 사이의 무대 공간 - 왼쪽무대 Stage left 객석을 향해 선 배우의 왼쪽/ 객석에서 관람 할 경우 관객의 오른쪽 무대 - 오른쪽무대 Stage right 객석을 향해 선 배우의 오른쪽/ 객석에서 관람 할 경우 관객의 왼쪽 무대 - 위쪽무대 Up stage 본무대 중 객석에서 먼 쪽. 초기 프로시니엄 무대에서 원근법을 강조하기 위해 무대바닥을 경사지게 하여 뒤쪽을 높였던 데서 유래한다. - 아래쪽무대 Down stage 본무대 중 객석에 가까운 쪽. - 뒷무대 Rear stage 하늘막뒤의 무대공간. 본무대크기 이상이면 좋다. - 옆무대 Side stage 본무대 옆에 있는 큰 무대 공간. 본무대 크기 이상이면 좋다. 수레 무대(Stage wagon)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 왼쪽옆무대/ 좌측무대b Left side stage/Prompt side 객석을 향해 선 배우의 왼쪽에 있는 옆무대. 상수 - 오른쪽 옆무대/ 우측무대 Right side stage/Opposite prompt 객석을 향해 선 배우의 오른쪽에 있는 옆무대. 하수 - 날개무대 Wing stage/Wings/Bay area 본무대와 옆무대 사이에 다리막이 있는 부분의 무대공간. 배우나 장치가 대기하는 곳으로 주로 쓰이며 좌우로 각각 4-5미터 정도가 필요하다. 프로시니엄 무대의 경우 좌 우측의 날개 공간(Left / Right wing stage)이 준비되어 있다. - 앞무대/에이프런 Forestage/Apron 본막선 앞으로 돌출된 무대공간. - 오케스트라피트 Orchestra pit 오케스트라가 들어가 연주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앞무대와 객석 사이의 무대공간. 오케스트라 승강기(orchestra lift)가 설치되어 무대로 쓰일 수도 있고 의자를 설치하여 객석으로 쓰일 수도 있다. - 무대턱/ 무대끝선 Lip of stage 무대와 객석의 경계선. - 가운데/무대중앙 Center stage 본무대의 중앙. - 프로시니엄 Proscenium/Proscenium arch/Proscenium opening 무대와 객석을 구분하는 건축적 경계지점. 관객은 프로시니엄을 통해 무대를 들여다본다. - 프로시니엄폭 Proscenium width 프로시니엄의 가로 길이. - 프로시니엄높이 Proscenium height 프로시니엄의 세로 길이. - 무대깊이 Depth of stage 본무대의 앞 뒤 길이. - 횡단로 Crossover 공연자들이 관객에게 보이지 않도록 무대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지날 수 있는 무대장치의 뒤나 아래의 무대 뒷 공간 통로. - 무대 지하실 Trap room/Under stage 무대 밑의 공간. 주로 트랩(제거 가능한 무대바닥 부분)과 연결되며 출연자의 등퇴장이나 무대장치 설치에 이용된다. - 무대바닥 Deck/Stage floor 무대의 바닥 표면. 높이의 기준면이 된다. - 본막선 Curtain line 본막을 닫았을 때 무대바닥과 닿는 가로 선. - 기준선 Plaster line/PL/Base line/Masonry line 프로시니엄아치의 뒤쪽 모서리를 잇는 가상의 선. 무대 앞 뒤 방향의 치수를 잴 때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다. - 중앙선 Center line/CL 본무대 세로의 중앙선. - 장치선 Setting line 가장 앞쪽 무대장치(주로 실내장치의 벽)의 좌우를 잇는 가상의 선. - 시각선 Sightline 객석의 공간중 가장 끝의 좌우상하 좌석에서 보는 시야의 가상적 선. - 무대건물 Stage house 무대를 둘러싸고 있는 건물과 부속공간. - 무대탑 Fly tower 매달 수 있는 공간과 매달기 장비가 있는 무대 윗 공간. 2.극장막의 개념 및 형태 - 극장막 curtain/stage drapery 무대에서 쓰이는 막. 본막을 제외하고는 대개 검정색이며 무대장치로 작화된 장치막(drop)과 구분된다. - 방화막 fire curtain/safety curtain/iron curtain 화재로부터 객석을 보호하기 위해 프로시니엄 바로 뒤에 떨어지는 막. 흔히 금속으로 만든다. - 본막 act curtain/grand drape /house curtain /main curtain 무대와 객석을 분리하는 극장막. 주로 막이나 장 사이에 쓰이며 장면막이라고도 한다. 극장마다 고유의 문양이나 그림이 그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전환소음과 작업불빛이 새어나가지 못하게 두껍고 무거운 재질로 만들어진다 - 끌막 draw curtain /traveler curtain/traverse 가운데로부터 양옆으로 열리는 막. 다리막과 겸하기도 한다. - 윗조리개 teaser/grand valance 프로시니엄 뒤의 첫 번째 머리막 혹은 머리판. 대개 영구적이며 이것을 상하로 움직여 수직시각선과 개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 옆조리개 tormentor 프로시니엄아치 뒤의 다리막 형태의 설치물. 대개 영구적이며 이것을 좌우로 움직여 수평시각선과 시각선상의 프로시니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 머리막 border curtain /border/top masking 본무대천정에 가로로 길게 걸려 수직시각선을 가려 주는 막. 주로 검정색이다. - 다리막 wing curtain/leg curtain /side curtain/side masking 본무대 양 옆에 세로로 높게 걸려 수평시각선을 가려주는 막. 주로 검정색이다. - 하늘막/싸이크/싸이클로라마 cyclorama/cyc/sky cyc 뒷무대와의 공간적인 구분을 규정하는 막. 공연시 뒷 배경을 원할하게 표현하기 위한 극장막. 주로 회색 또는 흰색 막과 흑막으로 구성된다. (호리죤트) - 장치막/작화막 drop/painted drop /drop curtain 극장설비로서의 막이 아닌, 어떤 공연의 무대장치로 제작된 막. - 장치본막/작화본막 act drop/ show curtain 극장 본막 대신 공연의 시작부, 막간, 종료부에 내려 무대를 가리는 작화막. 주로 대표적 분위기나 공연제목을 작화하거나 투사하며, 망사막인 경우 흔히 막 뒤의 무대가 밝아진 후 막이 투명하게 변하면 올려 없앤다. - 아치막 leg drop 작화 머리막과 작화 다리막이 합쳐져 아치처럼 생긴 막. 흔히 숲장면에 많이 쓰인다. - 주름막 drapery 극장에서 쓰이는 주름잡아 매다는 막 - 투명막 transparent drop/scrim drop 막 앞의 조명에 의해서는 불투명하게 보이나 막 뒤의 조명에 의해 투명하게 변하는 막. 망사천으로 만들어지며 주로 점정색과 흰색이 사용된다. - 투사막/영사막/스크린 screen/projection screen 영상을 투사하는 막. - 후사막/리어스크린 rear screen 뒤쪽에서 투사하는 영상이 잘 나타나도록 제조된 투사막 - 막잡이줄 curtain operating line /curtain pull 막, 사선막, 두루마리막 등을 조작하는 당김줄 - 막사슬/막체인 curtain chain 극장막이나 주름막이 날리지 않도록 무게를 주기 위해 막 아랫단에 길게 끼워 넣는 쇠사슬 - 막봉/막파이프 bottom batten/ pipe batten 장치막을 팽팽하게 펴기 위해 막 아랫단에 길게 끼워 넣는 지름 18mm 정도의 쇠파이프 - 끌막트랙/커튼레일 curtain track/traveller track 끌막을 매단 캐리어(carrier)를 지지하고 그 길이 되는 금속물 3.무대기계 및 보유장비 - 회전무대 revolve/ revolving stage 바닥이 회전하는 무대. 무대바닥에 영구적으로 설치되기도하고 공연에 따라 일시적으로 제작하기도 한다. 두세 가지의 장치를 그 위에 세우고 회전시켜서 장치를 전환하는 것이 주 목적이며, 회전 반대방향으로 걷거나 자전거를 타는 등의 연기에도 이용된다. 대개 전동식이며, 무대장치로 제작된 경우 수동으로 회전하기도 한다. 원반의 지름은 대개 프로시니엄 폭의 80% 정도이다. - 수레장치/왜건 wagon/truck/boat truck/sliding platform 공연중 장치를 싣고 전환하는 바퀴달린 덧마루. 연기위치에 등장한 후에는 움직이지 않게 승강바퀴나 잠금바퀴 또는 승강버팀대를 이용하여 바닥에 고정시킨다 - 수레무대/왜건무대 wagon stage/slip stage 주무대폭만한 크기의 이동바닥에 장치를 싣고 전환할 수 있는 무대시스템. 주무대에 등장했을 때 무대바닥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하는 기능이 있으며 옆무대나 뒷무대에 전용대기공간이 주어진다. - 궤도/트랙 track 장치바닥에 장치의 동선대로 파낸 폭 1cm 정도의 직선 혹은 곡선의 홈 - 트랩 trap/ stage trap 무대지하실로 배우나 장치, 소품의 등퇴장이 가능하도록 무대바닥일부를 제거한 부분. - 경사덧마루 Ramp 덧마루와 같은 종류인데 경사가 있다. 보통 계단을 이용하는 높고 낮은 바닥의 연결을 경우에 따라서는 이런 경사진 덧마루를 이용해서 연결하기도 한다. 경사대 또는 경사 덧마루라고도 한다. - 덧마루 Platform (1)무대 장치의 하부 조직의 구조물 및 무대의 높낮이나 계단 등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하는 마루이다. 극장에 따라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의 다양한 규격을 가지고 있다. (2)덧마루의 치수는 '자'와 단위를 사용하며 1자는 대략 30cm이다. 계단형덧마루 Leve접거나 분리할 수 있게 틀(Flat)에 경첩을 붙여 계단형태를 이룬 덧마루이다. - 달리 Dolly 무대에서 무거운 짐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바퀴가 달린 낮은짐차를 말한다. - 그리드/그리드아이언 Grid/ Gridiron 무대탑 상부에 설치되어 무대 기계 설비의 상부 지지대를 의미하며, 기계 설비의 지지 역할을 하는 철골로 된 극장 고정 구조물. 배튼 상부 이동의 최대점 위에 설치된 것으로 무대 기계장치의 하중을 지탱하며, 특수장치를 설치하기도 한다. - 장치걸이봉/배튼 Batten 커튼, 조명기, 무대장치를 매달기 위해서 그리드(Grid)로부터 내려오는 기계장비로 배튼의 간격은 20-30cm가 적당하며 각 배튼의 적정하중은 500/750/1000/1500Kg로 장치의 무게를 고려해야 한다. - 조명걸이봉 Electric bar(batten, pipe) / Light bar(batten, pipe) 조명기기를 설치할 수 있는 봉. 전원 회로가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 조명브릿지 Light bridge 조명기기를 설치하고 조정하기위해 설치되어있는 조명 통로겸 조명걸이봉이다. - 프로시니엄브릿지 Proscenium light bridge 프로시니엄 아치 바도 뒤에 위치한 조명브릿지로 검은색의 위조리게(Teaser)로도 사용된다. - 포인트호이스트 Point hoist/ spot winch 스트링와이어줄로 장치물을 메달아 올릴 수 있는 윈치로 제작된 무대기계. - 밸런스 Valance 1)창문윗쪽에 가로로 다는 장식커튼 2)무대의 늘림막(Border)나, 윗조리개(Teaser) 3)프로시니엄 아치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막(Border).버팀목/까치발 Stage Brace 수직적 장치를 지탱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 방법인 버팀목은 적당한 길이의 목재나 철재로 만드는데, 한쪽 끝에는 훅(Hook)이 있어 장치에 부착된 고리(Brace Cleat)에 걸리게 되어있고, 다른 한쪽 끝에는 풋 아이언(Foot Iron)이 있어 무대바닥에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있다. 장치를 지지하는 두 개의 단단한 나무막대는 서로 겹쳐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장치걸이 시스템 (Rope) Rigging System 무대 위에 설치된 장치걸이로 상하움직임이 편하고 무대장치를 설치하여 공연시에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장치전환을 할 수 있다. - 겔러리 Gallery / Fly gallery 장치를 매달거나 조명작업 또는 기타 무대장치물들의 작업을 위한 무대 옆의 천정벽 공간. - 음향반사판 Shell board / sound shell 프로시니엄 극장의 경우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클레식공연시 천정부 및 좌우측무대에 설치하는 극장장비. 극장에따라 반사판전부를 플라잉시켜 보관하기도하며 좌우측의 반사판은 옆무대에 보관하기도한다. 클레식음악 전용공연장은 설계시 음향반사를 고려하기때문에 극장 내부 전체가 음향반사판의 역할을 한다. - 실링 Celling 주로 객석의 전장부의 조명 작업용공간. 대극장의 경우 팔로우스팟의 조정을 겸하는 장소로도 사용된다. - 천장작업통로/캣워크 Catwalk 무대와 객석의 천정공간에서 조명 및 음향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 있는 작업통로. - 장치하역장 Roading bay / roading dock 공연에 사용되는 장치물들이 편리하게 반출입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극장의 부속공간. - 장치반입구 Roading door 극장외부에서 무대로 장치를 반입하는 입구 4.극장공간 - 조정실 CONTROL BOOTH 공연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공연자들의 공간이다. 현대의 다목적 극장에 있어서 조정실은 객석의 뒤쪽에 위치한다. 음향 조정실, 조명 조정실, 영상 조정실로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든 조정실에는 공연 상황을 잘 볼 수 있는 창문이 설치 되 있으며 객석의 일반 관객들과는 분리가 되어야 한다. - 분장실 MAKE-UP ROOM / DRESSING ROOM 출연자의 분장을 위한 방이나 공간 내지는 필요시 의상을 갈아입는 배우만의 공간이다. - 공연자 휴게실 GREEN ROOM 출연자와 스탭들을 포함한 전체 공연자들의 휴식장소. 공연전이나 공연시에 주로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며 전통적으로 벽면에 녹색칠을 한 공간이었던 것에서 그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 연습실 REHEARSAL ROOM 공연을 위해 출연자들이 대사, 동작,춤, 노래등의 연습에 사용되는 공간. - 로비 LOBBY 극장 입구와 객석 사이의 공간으로 관객들이 공연 전후, 막간에 시간을 보내는 곳이다. - 매표소 BOX OFFICE 입장권을 판매하거나 좌석권을 교환하는 장소이며 주로 로비에 위치한다. - 물품보관소 CLOAK ROOM 공연중 관객들의 외투나 소지품을 맡아두는 장소이며 로비에 위치한다. - 전실 ANTEROOM 로비에서 객석을 잇는 두겹의 문 사이의 공간이다. 공연시작후 관객의 출입시 로비에서의 소음과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 장치제작소 SCENE SHOP 장치 제작과 작화 및 조립을 위한 공간. 목공, 철공, 소품 등을 제작 할 수 있 는 공구들이 구비되어 있다. - 의상제작소 COSTUME SHOP 무대 의상들을 제작하거나 수선하는 공간이다. 국내에서는 의상들을 보관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 장치보관창고 WAREHOUSE / SCENE DOCK 무대 장치와 장비등을 보관하는 장소. 차후 공연에 대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장치물들을 보관하는 장소이다. 국내에서는 주로 덧마루들을 보관한다. - 극장 사무실 THEATRE MANAGEMENT OFFICE 극장의 경영과 관리를 위한 사무 공간이다. 대관, 운영, 홍보, 기획, 매표 등 극장의 모든 분야의 사무공간이다. (프로시니엄 무대의 일반적인 배치 사례) 5.극장형태 - 프로시니엄무대 Proscenium stage/Picture-frame stage 무대와 객석이 프로시니엄 아치에 의해 건축적으로 분리된 무대공간. 액자틀 무대라고도 한다. 기술적 설비가 많으므로 뮤지컬이나 오페라 같은 장치전환이 빈번한 공연에 유리하다. - 끝무대 End stage 하나의 공간을 무대와 객석으로 나눈 무대공간. 주로 극장으로 건축되지 않았으나 극장공간으로 개조된 경우이다. 뒷무대와 옆무대 등 부속공간이 거의 없고 기술적 설비가 부족하다. - 블랙박스무대 The black box 하나의 공간을 무대와 객석의 형태로 임의로 나누어 쓸수있게 만들어진 무대공간.끝무대와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객석을 임의로 구성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공간이다. 블랙박스공간에서 끝무대, 중앙무대, 개방무대등의 형태를 구성 할 수 있다. - 중앙무대 Center stage/2-side arena 무대를 사이에 두고 양쪽 객석이 마주보고 있는 무대공간. 뒷무대와 옆무대 등 부속공간이 거의 없고 기술적 설비가 부족하다. - 개방무대 Open stage/3-side arena/Elizabethan stage 객석이 무대의 삼면을 둘러싸고 있는 무대공간. - 돌출무대 Thrust stage 무대 앞부분이 객석으로 돌출된 무대공간. 프로시니엄 무대와 개방무대의 장점을 취한 공간이다. 프시니엄아취를 가지고 있으나 개방무대처럼 좌우측의 객석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다. - 원형무대 Theatre-in-the round / Arena stage 전체가 객석으로 둘러싸인 무대공간. 무대공간의 형태는 원형, 사각형 등으로 존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