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콘크리트란 기후나 환경, 또는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타설하는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일반 콘크리트에 혼화재료를 첨가하는 방식이 있고 특수 시멘트나 골재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1. 기온, 기후의 영향에 따른 콘크리트
한중콘크리트 ; 일일평균기온 4℃이하가 되는 기상조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혼화제 및 양생관리를 기준으로 설정.[적산온도 관리]
서중콘크리트 ; 일일평균기온 25℃ 초과 또는 30℃초과시 타설하는 콘크리트
혼화제 및 양생관리를 기준으로 설정. [골재온도 관리]
2. 환경등 현장조건에 따른 콘크리트
1)매스콘크리트 ;
①부재 단면치수가 80cm이상, 하단이 구속된 50cm 이상인 벽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②수화열에 의한 콘크리트 내부온도와 외기온의 차이가 25℃이 예상 되는 콘크리트.
2)고강도콘크리트 : 강도가 40Mpa, [경량은27Mpa] 이상 발현하는 콘크리트.
물 시멘트 비 감축, 고성능 감수제, 프라이 애쉬, 실리카 흄 등 사용.
3)수밀콘크리트 ; 수밀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타설
[재료의 특수성보다 골재 및 배합관리 기준]
4)경량콘크리트 ; 구조물에는 사용이 적으며, 누름콘크리트, 비구조용 벽 등에 사용.
[경량골재, 기포 등을 사용]
3. 타설 지역의 특성이나 목적에 의한 콘크리트
1)수중콘크리트 ; 지중 굴착공[slurry wall, 현장타설 말뚝]이나
수중 거푸집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2)프리팩트콘크리트 ; 지중 굴착이나 수중 거푸집에 골재를 충전한 다음
특수 몰탈을 주입하는 콘크리트.
3)해양콘크리트 : 항만, 방파제 등 염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 콘크리트.
4)방사선차폐용콘크리트 - 원자로 등에 비중 4이상 중량골재 사용하는 콘크리트.
4. 부분적 목적 또는 성능개선에 의한 경우
1)유동화콘크리트 ; 된비빔이 필요한 콘크리트에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물의 증가 없이 유동성을 크게 하는 콘크리트
2)팽창콘크리트 ; 균열억제용, 그라우팅 재,
3)섬유보강콘크리트 ; 불연속 단섬유를 분산 혼합하여 강도 개선 또는 균열저항성을 목적으로 성능을 개선시킨 콘크리트[섬유의 종유; 강섬유,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
4)숏 콘크리트; 경사면이나 터널 굴착면의 보호를 위하여 몰탈 또는 콘크리트를 압축공기로 분사하는 콘크리트.
건식공사로 해야하는 경우
공장제품 ; 흄관, PHC 파일, 구거 등.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 PC 커튼월, 기둥, 보 등의 공장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