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합리적 사고의 순환모델 . 싸이클이 아니라 순환 비합리적인 모델의 순환사고는 깨뜨리기 어렵지만 상담의 과정과 상담과정에서 체험하게 되는 자기 교시와 자기관리를 통하여 비합리적 사고의 순환을 얼마든지 끊어낼 수 있으며 합리적인 사고의 순환으로 바꿀 수 있다.
REBT의 특징 ①심리적 문제의 발생과 치료에 ‘인지’ 강조. . 사고를 강조하면서 인간이 생각이 변하고 사고가 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사고의 밑바닥에 가지고 신념의 체계가 바뀌어야 한다고 봄. 가치관이 변해야 하고 신념의 체계가 변해야 함. ②지속적인 변화를 위해서 반드시 철학적 변화가 전제됨. ③심리적 장애를 다루는 자조적(self-help)접근의 중요성 강조. ④상담자의 적극적이며 지시적인 위치 강조.. 인간중심상담과 다른 점. ⑤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에 지나친 따스함은 피할 것..인간중심상담과 다른 점. ⑥중다 접근(multi-modal approach)강조. . 인간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인간의 사고와 비합리적인 왜곡된 신념을 변화시키기 위해선 여러 가지 모델들이 환경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자극들이 같이 들어가야 한다는 것. 치료적, 교육적, 훈련, 반복 등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⑦상담의 단기 모델 지향. ⑧심리 교육적 접근 지향. ⑨상담 회기의 구조화된 모델(structured model)활용. . 상담자가 철저하게 구조화 시켜야 한다. 체계화, 구조화, 시각화시키는 모델.
REBT에서의 상담목표 (1)자기패배적인 부정적인 행동과 효율적이고 긍정적인 행동 중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각성, 개인이 더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2)자기 자신의 논리적 사고와 그것에 뒤따르는 결과나 행동에 대해서 책임을 지도록
. 행동주의이론에서 조작적 조건형성에 의한 상담을 할 때 6단계와 같은 형태이지만 조금 더 복잡해지는 것은 사고의 체계를 바꾸기 위한 과정이 포함되어졌다.
아동상담에 적용 1 ?선행조건: 기초적 학습과정과 집중력, 기억력, 언어적 상상력, 인지적 전략 등의 능력. ?REBT에서는 형식적 조작기에 들어서지 못한 아동들은 REBT를 실행할 수 있는 인지적 역량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여김. . 정신지체 아동이나 심각한 발달장애 아동들에게 RET 나 CBT를 적용하기가 어렵다.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다. ①일반적인 비합리적 신념을 깨닫는 능력. ②합리적으로 재 진술한 신념들을 이해하는 능력. ③타인의 행동에 관한 합리적 자기언어를 자발적으로 창출하는 능력. ④정서 외 행동 조절을 위해 합리적 자기언어를 사용하는 능력.
아동상담에 적용 2 ?아동의 인지 발달적 성숙도 고려하여 실시 가능 ?전조작기(5~7세): 합리적 자기 진술을 가르치기보다는 직접적인 외부 방법을 획득하게 하는 것이 중요 . 직접적인 전달을 해서 직접 모델을 보여 줌 ?구체적 조작기(7~11세): 세상을 경험적이고 귀납적으로 구성하므로 매우 구체적인 보기를 제시하며 많은 예화를 가르치면서 이용 . 여러 가지 예시를 주고 자신이 선택하도록 하고 연속성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보여줌. . 아동의 발달수준에 대하여 적절하게 조정하고 매치시킬 수 있어야 하며 매회기마다 보여주는 아동의 변화무쌍한 모습에 잘 적응하면서 자신이 구체적으로 만들어 놓은 프로그램을 잘 적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담자의 능숙함을 필요로 한다. ?REBT를 형식적 조작기 이전의 아동에게 적용: 그림, 다이어그램, 또는 이야기 등 아동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교재들을 이용, 합리적 자기 언어에 대한 모델을 말로 표현하게 해야 함. . RET를 주로 성인, 청소년기에 적용한다면 CBT 아주 어린 아동에서부터 성인에게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아동상담의 접근이기 때문에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다. 여러 가지 프로그램화 되어져 있는 상담접근이다. 자기조절 프로그램, 의사소통 프로그램, 자기주장 훈련,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등에 많이 응용되어 진다.
인지행동치료(CBT) CBT란 무엇인가?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신념에 대하여 대안적 인지 과정을 통하여 심리적 스트레스와 부적응적인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목적. ?행동과 정서는 인지적 산물이라는 가정 아래 thinking, feeling and behavior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봄. ?cognition(what we think).내가 무엇을 생각하고, affect(how we feel).감정에 영향을 준다, behavior(what we do).우리가 무엇을 행동할 것인가의 관계에 초점. ?환경사건에 대한 해석과 경험을 이해하고, 인지과정에서 일어나는 결함과 왜곡을 정의하고, 변화시키고자 함.
CBT의 핵심적 특성 ?기본적으로 협동적(통합적)모델이며, 개인을 둘러싼 환경적 맥락을 중시하는 생태학적 접근. . 교육적 접근, 치료적, 반복, 훈련, 제1양육자인 엄마와의 관계뿐 아니라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관계, 지역사회의 맥락을 다 고려함. ?단기간의 집중적인 치료적 접근(16session이나 그 이하) ?객관적이고 구조적인 접근이며 양적인 평가를 강조함. ?현재의 문제와 어려움을 다루는 here-and-now를 강조함. . 행동주의적인 이론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객관화 시키고 구조화시키며 양적평가를 하고 현재의 문제를 다룬다는 것은 모두 공통적이다. 행동주의원리에 비해서 CBT나 REBT는 인지적인 과정을 중간에 매개하고 있는 인지적인 과정을 강조. A(선행사건)--------------B------------C(결과) ? think(인지) ? think ?안내된 자기-발견과 실험의 과정에 기초하여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학습하도록 함(tool을 활용하여 개인의 sign을 바꾸는 것). ?.(핵심신념을 찾아내고) 사고와 행동의 대안적 패턴을 찾아내고 배우도록 하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practical) 기술적 접근(skill-based approach).
CBT의 목적 1. 더욱 적절한 인지적, 행동적 기술을 발달시켜 자기각성(self-awareness)을 증가시키고, 자기이해를 촉진하며, 자기통제(self-control)를 향상시킴. 2. 역기능적 사고와 부정적, 왜곡되고 자기비판적인 신념들을 정확히 알도록(identify) 돕는 것. 3. 새로운 인지적, 행동적 기술들을 새롭고 어려운 상황에서 적용(더욱 적절한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그 상황에 직면)하도록 돕는 것. ?CBT는 잘못된 신념에 대해 언어를 통해(tool) 외적 행동에 대한 영향을 미쳐서 (mediate) 다시 개인 자신의 내면(sign)에 변화(change)를 가져오고, 새로운 상황에 활용(utilize)하는 것이 목적, ?개인의 역기능적 cycle를 기능적인 cycle로 바꾸도록 조력하는 것임. . CBPT 는 놀이적 요소를 가미한 것.
CBT의 핵심요소 ?공식화와 심리 교육적 측면 . 구조적이고 공동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공적인 구조화 작업이 이루어져 있는 과정. 인간중심상담에 비해서 더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접근을 한다는 것. 교육적 접근. ?사고에 대한 감시(monitoring) . 끊임없이 치료자와 아이가 모니터를 해 간다. ?인지적 왜곡과 결함에 대해 명확히 인식 ?대안적인 인지과정을 발달 ?새로운 기술을 학습 ?정서를 평가하고 가르치며 관리 ?목표된 상황이나 활동을 계획하고 조정하기 ?행동을 실험해보기 ?노출: 새롭고 어려운 상황에 직면 ?역할놀이, 모델링, 리허설/ 강화와 보상
CBT를 아동에게 적용할 때 고려 점 1. CBT 자료들을 연령에 적합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 아동의 발달 수준과 인지능력을 고려하여 구조화된 기법들을 활용하고 .아동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고려해서 조정해야 함..개별화되어 져야 한다. ?CBT를 적어도 7세가 되어야 적용 가능(구체적 조작기는 되어야 가능) ?쉽고 재미있게 구체적으로 아이들의 일상에서 은유를 찾아내어 아동의 사고에 접근하고 의사소통 할 수 있는 CBT의 기초적 기술을 만들어내야 함. ?다양한 상황을 주고 문제 해결책을 설명. games, play, drawing의 방법들을 활용 ?cartoons이나 puppets를 사용하거나 놀이 상황에서 rehearsal 해 볼 수 있는 방법 ?아동의 다양한 감정들을 구별하고 깨달으며 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함. 2. 아동은 치료 장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어렵고 자신에게 도움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고 의식하고 있기 힘든 경우가 많음 : 내적 동기에 의한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고려해야. 3. 아동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의 변인이 되는 부모 뿐 아니라 학교, 또래와의 협조를 만들고, 부모가 촉진자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함. 아동이 새로운 기술과 과제를 집에서 연습할 수 있어야! . workbook을 많이 활용. 아동이 할 수 있는 영역과 부모가 할 수 있는 영역을 나눠서 함께 스페셜 타임을 만들어서 해보게 한다. 4. 아동의 문제의 원인을 파악. 학교나 사회적 관계를 포함한 역기능적 가족관계 자체에서 기인한 것인지, 아동의 부모나 가족, 또래와 같은 사회적 환경에 대한 아동의 왜곡에 기인하는 것인지에 대해 치료자가 정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 5. 목표행동이 아동과 부모에게 서로 다른 경우: -서로 다른 관점을 관리하여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정할 것. . RFBT나 CBT는 인지적인 기능 왜곡된 신념, 비합리적인 신념에 대한 중간매체를 설정하고 아동의 행동이나 그 행동에 대한 정서적인 반응을 설명하고 있다. . 카툰(cartoon)을 활용한 것. self 이미지 자기개념이 매우 나쁜 초등학교 5학년 아이. 인지행동적인 기법을 활용하고 play를 더 많이 한다. 상담자가 그리는 이미지를 가지고 대화를 하는 것. ? pair play로 활용되어지고 있는 짝 놀이를 하고 있는 인지 행동적 놀이치료 아이들에게 구조화 된 활동들을 함께 전개시켜 나아가면서 CBT 프로그램을 전개하기도 한다. CBPT 인지 행동적 놀이치료를 할 때는 놀이 활동을 구체적으로 하면서 그 활동과정에서 감정에 대한 평가 각 회기마다의 평가를 시작하기전하고 마칠 때 한다. 강화나 보상이 주어지는 것은 시각화시켜서 시트지를 만들어서 벽에 부처 놓고 아이들에게 토큰경제의 강화를 주기도 한다.
이 자료는 숭실사이버대학교(구.한국사이버대학교.kcu)에서 주소영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학우들과 요약 정리한 자료임을 밝혀둡니다. 저자 김윤옥, 황선희|양서원
비합리적 사고의 순환모델 . 싸이클이 아니라 순환 비합리적인 모델의 순환사고는 깨뜨리기 어렵지만 상담의 과정과 상담과정에서 체험하게 되는 자기 교시와 자기관리를 통하여 비합리적 사고의 순환을 얼마든지 끊어낼 수 있으며 합리적인 사고의 순환으로 바꿀 수 있다.
REBT의 특징 ①심리적 문제의 발생과 치료에 ‘인지’ 강조. . 사고를 강조하면서 인간이 생각이 변하고 사고가 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사고의 밑바닥에 가지고 신념의 체계가 바뀌어야 한다고 봄. 가치관이 변해야 하고 신념의 체계가 변해야 함. ②지속적인 변화를 위해서 반드시 철학적 변화가 전제됨. ③심리적 장애를 다루는 자조적(self-help)접근의 중요성 강조. ④상담자의 적극적이며 지시적인 위치 강조.. 인간중심상담과 다른 점. ⑤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에 지나친 따스함은 피할 것..인간중심상담과 다른 점. ⑥중다 접근(multi-modal approach)강조. . 인간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인간의 사고와 비합리적인 왜곡된 신념을 변화시키기 위해선 여러 가지 모델들이 환경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자극들이 같이 들어가야 한다는 것. 치료적, 교육적, 훈련, 반복 등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⑦상담의 단기 모델 지향. ⑧심리 교육적 접근 지향. ⑨상담 회기의 구조화된 모델(structured model)활용. . 상담자가 철저하게 구조화 시켜야 한다. 체계화, 구조화, 시각화시키는 모델.
REBT에서의 상담목표 (1)자기패배적인 부정적인 행동과 효율적이고 긍정적인 행동 중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각성, 개인이 더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2)자기 자신의 논리적 사고와 그것에 뒤따르는 결과나 행동에 대해서 책임을 지도록
. 행동주의이론에서 조작적 조건형성에 의한 상담을 할 때 6단계와 같은 형태이지만 조금 더 복잡해지는 것은 사고의 체계를 바꾸기 위한 과정이 포함되어졌다.
아동상담에 적용 1 ?선행조건: 기초적 학습과정과 집중력, 기억력, 언어적 상상력, 인지적 전략 등의 능력. ?REBT에서는 형식적 조작기에 들어서지 못한 아동들은 REBT를 실행할 수 있는 인지적 역량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여김. . 정신지체 아동이나 심각한 발달장애 아동들에게 RET 나 CBT를 적용하기가 어렵다.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다. ①일반적인 비합리적 신념을 깨닫는 능력. ②합리적으로 재 진술한 신념들을 이해하는 능력. ③타인의 행동에 관한 합리적 자기언어를 자발적으로 창출하는 능력. ④정서 외 행동 조절을 위해 합리적 자기언어를 사용하는 능력.
아동상담에 적용 2 ?아동의 인지 발달적 성숙도 고려하여 실시 가능 ?전조작기(5~7세): 합리적 자기 진술을 가르치기보다는 직접적인 외부 방법을 획득하게 하는 것이 중요 . 직접적인 전달을 해서 직접 모델을 보여 줌 ?구체적 조작기(7~11세): 세상을 경험적이고 귀납적으로 구성하므로 매우 구체적인 보기를 제시하며 많은 예화를 가르치면서 이용 . 여러 가지 예시를 주고 자신이 선택하도록 하고 연속성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보여줌. . 아동의 발달수준에 대하여 적절하게 조정하고 매치시킬 수 있어야 하며 매회기마다 보여주는 아동의 변화무쌍한 모습에 잘 적응하면서 자신이 구체적으로 만들어 놓은 프로그램을 잘 적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담자의 능숙함을 필요로 한다. ?REBT를 형식적 조작기 이전의 아동에게 적용: 그림, 다이어그램, 또는 이야기 등 아동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교재들을 이용, 합리적 자기 언어에 대한 모델을 말로 표현하게 해야 함. . RET를 주로 성인, 청소년기에 적용한다면 CBT 아주 어린 아동에서부터 성인에게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아동상담의 접근이기 때문에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다. 여러 가지 프로그램화 되어져 있는 상담접근이다. 자기조절 프로그램, 의사소통 프로그램, 자기주장 훈련,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등에 많이 응용되어 진다.
인지행동치료(CBT) CBT란 무엇인가?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신념에 대하여 대안적 인지 과정을 통하여 심리적 스트레스와 부적응적인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목적. ?행동과 정서는 인지적 산물이라는 가정 아래 thinking, feeling and behavior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봄. ?cognition(what we think).내가 무엇을 생각하고, affect(how we feel).감정에 영향을 준다, behavior(what we do).우리가 무엇을 행동할 것인가의 관계에 초점. ?환경사건에 대한 해석과 경험을 이해하고, 인지과정에서 일어나는 결함과 왜곡을 정의하고, 변화시키고자 함.
CBT의 핵심적 특성 ?기본적으로 협동적(통합적)모델이며, 개인을 둘러싼 환경적 맥락을 중시하는 생태학적 접근. . 교육적 접근, 치료적, 반복, 훈련, 제1양육자인 엄마와의 관계뿐 아니라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관계, 지역사회의 맥락을 다 고려함. ?단기간의 집중적인 치료적 접근(16session이나 그 이하) ?객관적이고 구조적인 접근이며 양적인 평가를 강조함. ?현재의 문제와 어려움을 다루는 here-and-now를 강조함. . 행동주의적인 이론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객관화 시키고 구조화시키며 양적평가를 하고 현재의 문제를 다룬다는 것은 모두 공통적이다. 행동주의원리에 비해서 CBT나 REBT는 인지적인 과정을 중간에 매개하고 있는 인지적인 과정을 강조. A(선행사건)--------------B------------C(결과) ? think(인지) ? think ?안내된 자기-발견과 실험의 과정에 기초하여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학습하도록 함(tool을 활용하여 개인의 sign을 바꾸는 것). ?.(핵심신념을 찾아내고) 사고와 행동의 대안적 패턴을 찾아내고 배우도록 하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practical) 기술적 접근(skill-based approach).
CBT의 목적 1. 더욱 적절한 인지적, 행동적 기술을 발달시켜 자기각성(self-awareness)을 증가시키고, 자기이해를 촉진하며, 자기통제(self-control)를 향상시킴. 2. 역기능적 사고와 부정적, 왜곡되고 자기비판적인 신념들을 정확히 알도록(identify) 돕는 것. 3. 새로운 인지적, 행동적 기술들을 새롭고 어려운 상황에서 적용(더욱 적절한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그 상황에 직면)하도록 돕는 것. ?CBT는 잘못된 신념에 대해 언어를 통해(tool) 외적 행동에 대한 영향을 미쳐서 (mediate) 다시 개인 자신의 내면(sign)에 변화(change)를 가져오고, 새로운 상황에 활용(utilize)하는 것이 목적, ?개인의 역기능적 cycle를 기능적인 cycle로 바꾸도록 조력하는 것임. . CBPT 는 놀이적 요소를 가미한 것.
CBT의 핵심요소 ?공식화와 심리 교육적 측면 . 구조적이고 공동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공적인 구조화 작업이 이루어져 있는 과정. 인간중심상담에 비해서 더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접근을 한다는 것. 교육적 접근. ?사고에 대한 감시(monitoring) . 끊임없이 치료자와 아이가 모니터를 해 간다. ?인지적 왜곡과 결함에 대해 명확히 인식 ?대안적인 인지과정을 발달 ?새로운 기술을 학습 ?정서를 평가하고 가르치며 관리 ?목표된 상황이나 활동을 계획하고 조정하기 ?행동을 실험해보기 ?노출: 새롭고 어려운 상황에 직면 ?역할놀이, 모델링, 리허설/ 강화와 보상
CBT를 아동에게 적용할 때 고려 점 1. CBT 자료들을 연령에 적합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 아동의 발달 수준과 인지능력을 고려하여 구조화된 기법들을 활용하고 .아동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고려해서 조정해야 함..개별화되어 져야 한다. ?CBT를 적어도 7세가 되어야 적용 가능(구체적 조작기는 되어야 가능) ?쉽고 재미있게 구체적으로 아이들의 일상에서 은유를 찾아내어 아동의 사고에 접근하고 의사소통 할 수 있는 CBT의 기초적 기술을 만들어내야 함. ?다양한 상황을 주고 문제 해결책을 설명. games, play, drawing의 방법들을 활용 ?cartoons이나 puppets를 사용하거나 놀이 상황에서 rehearsal 해 볼 수 있는 방법 ?아동의 다양한 감정들을 구별하고 깨달으며 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함. 2. 아동은 치료 장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어렵고 자신에게 도움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고 의식하고 있기 힘든 경우가 많음 : 내적 동기에 의한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고려해야. 3. 아동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의 변인이 되는 부모 뿐 아니라 학교, 또래와의 협조를 만들고, 부모가 촉진자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함. 아동이 새로운 기술과 과제를 집에서 연습할 수 있어야! . workbook을 많이 활용. 아동이 할 수 있는 영역과 부모가 할 수 있는 영역을 나눠서 함께 스페셜 타임을 만들어서 해보게 한다. 4. 아동의 문제의 원인을 파악. 학교나 사회적 관계를 포함한 역기능적 가족관계 자체에서 기인한 것인지, 아동의 부모나 가족, 또래와 같은 사회적 환경에 대한 아동의 왜곡에 기인하는 것인지에 대해 치료자가 정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 5. 목표행동이 아동과 부모에게 서로 다른 경우: -서로 다른 관점을 관리하여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정할 것. . RFBT나 CBT는 인지적인 기능 왜곡된 신념, 비합리적인 신념에 대한 중간매체를 설정하고 아동의 행동이나 그 행동에 대한 정서적인 반응을 설명하고 있다. . 카툰(cartoon)을 활용한 것. self 이미지 자기개념이 매우 나쁜 초등학교 5학년 아이. 인지행동적인 기법을 활용하고 play를 더 많이 한다. 상담자가 그리는 이미지를 가지고 대화를 하는 것. ? pair play로 활용되어지고 있는 짝 놀이를 하고 있는 인지 행동적 놀이치료 아이들에게 구조화 된 활동들을 함께 전개시켜 나아가면서 CBT 프로그램을 전개하기도 한다. CBPT 인지 행동적 놀이치료를 할 때는 놀이 활동을 구체적으로 하면서 그 활동과정에서 감정에 대한 평가 각 회기마다의 평가를 시작하기전하고 마칠 때 한다. 강화나 보상이 주어지는 것은 시각화시켜서 시트지를 만들어서 벽에 부처 놓고 아이들에게 토큰경제의 강화를 주기도 한다.
이 자료는 숭실사이버대학교(구.한국사이버대학교.kcu)에서 주소영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학우들과 요약 정리한 자료임을 밝혀둡니다. 저자 김윤옥, 황선희|양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