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소:경북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 ◈ 문화재 지정:중요민속자료 제 106호(淸道雲岡古宅) ◈ 고택의 특징:조선 후기의 주택 ◈ 풍수지리설:없음 ◈ 거주 여부: 후손이 거주
청도에서 20번 국도를 따라 운문사 방면으로 가면, 동곡천과 동창천이 합수되는 지점 가까이에 금천리가 있다. 이곳에서 987번 도로로 우회전하여 금천교를 건너면 곧 신지 마을이다. 이곳에는 여러 채의 고택이 즐비하여 유서깊은 마을임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운강 고택은 1726년 박숙(朴淑)이 처음 짓고, 1824년 후손인 박시묵(朴時묵)이 중건하고, 또 손자가 중건하여 현재에 이른다.
호가 운강(雲岡)인 박시묵은 이황 학파에 속했던 유치명(柳致明)의 문인으로, 1872년 강학소절목(講學所節目)을 마련하고 교육기관으로 기틀을 세웠다. 이 집은 벼슬을 사양하고 낙향한 박숙이 사당을 짓고서 후학을 가르치던 곳이다. 고택 곁에는 박시묵의 아들인 박재충이 분가를 하면서 건립한 운남 고택(경북 문화재 제270호)과 손자인 박래현이 별서로 건립했다는 명중 고택이 함께 있다.
건물의 배열은 사당을 맨 안쪽에 두고 그 앞쪽에 두 개의 튼 입구자형으로 건물들을 결합시켜 9동 80칸에 이르는 큰 집이 되었다. 두 개의 넓은 안 마당과 사당 앞의 백류원(白榴園) 터, 안채 후원, 사랑채 후원 등 모두 넓은 공간에 위치한다. 이 집은 다양한 수장 공간과 내외를 분별하는 설비와 공간, 그리고 주인과 하인을 구별한 측간이 따로 있어 다양한 기능을 엿볼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주택이다.
가) 마을의 입지환경
1.조종산(朝宗山):태조산(태백산),중조산(어림산),소조산(억산) 2.내룡: - 형기적:주산에서 서남진한 용맥이 서진하면서 동창천을 만나 생기를 응집시킴 (來龍) - 이기적:주산에서 축간→갑묘로 뻗은 다음 고택으로 을진 양룡으로 입수하여 생기가 왕성함 3.혈(穴): - 형기적:강 가의 평지에 위치하여 혈증이 뚜럿하지 못함 - 이기적:목국의 곤파로써 양기가 양호하고, 내외당의 자연이 순행한다 4.사(砂): - 형기적:주산에서 뻗어내린 청룡과 백호는 혈장을 감싸지 못한 채 바깥의 산에 의해 외산용호(外山龍虎)가 되었다 - 이기적:주산(甲峰, 대지주), 조산(辛峰, 벼슬아치) 5.수(水): - 형기적:동창천의 물이 명당수인 동곡천과 마을 앞에서 합수하여 흘러감 - 이기적:건해수는 장생수로 자손번창과 부귀하고, 신술수는 관대수로 신동이 태어남 6.좌향(坐向):목국의 정양향인 신술향(辛戌向) 7.입지환경의 결론:신지 마을은 동창천에 형성된 평지에 위치하나, 내룡의 지기는 양룡으로 왕성하다. 내외당의 자연은 순행하며 장풍도 잘 갈무리되었다. 또한 장생수와 관대수가 들어오니, 자손이 번창하고 신동이 태어난다. 신·갑봉이니 대지주나 벼슬아치가 배출된다. 하지만 고택은 신술향을 놓아야하는데 건향을 놓아 과궁수이다.
1) 마을의 입지와 산세를 파악한다. 백두대간의 태백산에서 남진한 낙동정맥은 경주의 어림산에서 서진하는 기맥을 출맥시키고, 이 기맥은 서진과 남진을 거듭하며 가지산과 운문산으로 솟아났다. 운문산에서 뻗어간 용맥은 경상도의 남북을 경계지으며 서진한다.
구만산→육화봉→용암봉을 거치더니 밀양의 밀양천을 만나 긴 여정을 마친다. 신지 마을은 운문산을 지나 솟아난 억산의 한 용맥이 북진하다가 몸을 틀어 서진하던 중, 동창천을 만나며 전진을 멈춘 곳이다. 따라서 태조산은 태백산이고, 어림산이 중조산이고 억산이 소조산이다.
2) 마을의 입지를 패철로 판단한다. 바람과 물의 순환을 살피면, 운강 고택은 곤파(坤破)에 해당되어 목국(木局)이다. 주산에서 마을로 뻗어내린 용맥은 축간→갑묘로 방향을 틀어 을진 양룡(乙辰養龍)으로 입수하였다. 입수가 생기를 품었으니 지기가 왕성하다. 또 건해 장생수(乾亥長生水)와 계축 관대수(癸丑冠帶水)가 들어오니 자손이 번창하고 부귀를 누린다.
갑봉(甲峰)인 주산은 천원(天苑)에 해당되어 대지주가 태어나고, 조산인 신봉(辛峰)은 천을(天乙)에 해당되어 벼슬아치가 배출될 산이다. 이곳의 자연은 우선수이니, 정양향인 을좌신향(乙坐辛向)이 정법이다. 하지만 운강 고택은 손좌건향(巽坐乾向)을 놓아 과궁수가 되었다. 초년에는 인정과 재물이 풍부하지만 오래되면 곤궁해질 것이다.
3) 마을 입지의 풍수적 결론 신지 마을은 동창천 가를 따라 형성된 넓은 들판을 낀 풍요로운 고장이다. 운문사에서 가지친 용맥이 북진한 다음 몸을 서진시켜 낮은 구릉을 이루고 냇물이 둥글게 감싸안아 부귀가 기약된다.
또 외당의 자연은 우선수이고 내당 역시 계축방과 건해방에서 흘러온 물이 서로 합수한 다음 절방으로 소수하니, 득수와 소수에서 구빈을 얻었다. 주변의 산은 대지주와 벼슬아치를 배출할 산으로 부귀와 함께 벼슬을 누릴 땅이다. 다만 운강 고택의 좌향이 건해향을 놓아 과궁수인 점이 흠이다.
나) 고택 내부의 배치와 가상
1.『양택삼요』에 의한 판단 1) 중문과 안방의 관계 - 동서사택:丁門辰主→離門巽主→東門東主→吉(天乙宅) - 음양론:離門巽主→陰門陰主→不配合→凶 - 오행론:離門巽主→火門木主→相生→吉 - 풍수적 길흉: 초년에는 대발하나 오래되면 재산은 있으니 후손이 적다 2) 중문과 부엌의 관계 - 음양론:丁門乙조→離門震조→陰門陽조→配合→吉 - 오행론:丁門乙조→離門震조→火門木조→相生→吉 - 풍수적 길흉: 재산이 늘어나고 인재가 배출된다 3) 솟을대문과 사랑채 관계 - 동서사택:壬門艮主→坎門艮主→東門西主→凶 - 음양론:坎門艮主→陽門陽主→不配合→凶 - 오행론:坎門艮主→水門土主→相剋→凶 - 풍수적 길흉: 오귀택으로 관재 구설과 도적으로 재산을 잃는다 2.가상(家相)의 판단 1) 대문 앞과 집안에 거목이 없어 길하다. 2) 부지가 방정하고 담장의 넢이가 알맞아 길하다 3) 수로나 냇물의 유입이 없고, 집안에 우물이 없어 길하다. 4) 중문과 안방의 문이 일직선 상에 없어 길하다. 5) 집의 좌향이 서북방이라 흉하다 3.양택과 가상의 결론 안방과 부엌은 중문과의 배치가 매우 길하여 재산이 늘고 인재가 배출될 것이나, 사랑채는 관재구설에 휩싸일 위험이 있다. 가상도 그다지 크게 흉함은 없다.
1) 대문(門)과 사랑채(主)의 배합을 살핀다. 측간과 문간방 사이의 대문을 통해 안으로 들어서면, 장방형의 마당이 나타난다. 왼쪽은 큰 사랑채이고 정면은 중사랑채이며, 오른쪽은 광채이다. 큰 사랑채는 남자가 기거하며 손님을 맞는 공간이고, 중사랑채는 내당 여인들이 친가에서 온 남자들을 상면하던 방이다.
특이한 것은 큰사랑채와 안곳간의 연접부에 협문을 낸 것이다. 이 문은 안채에서 사랑채 후원을 통해 대문에 이르는 통로로, 내외의 구별이 엄격하던 당시 부녀자들이 사랑채 앞을 피해 드나들도록 배려한 문이다. 바깥 마당의 중심에서 대문과 사랑채 방문을 판단하면, 임문간주(壬門艮主)이다. 팔괘 상으로 감문간주(坎門艮主)로 동문서주(東門西主)가 되어 흉하고, 양문양주(陽門陽主)로 불배합되고, 수문토주(水門土主)로 상극이라 흉하다. 오귀택(五鬼宅)의 집으로 관재 구설이 많고 도적으로 손재가 많다.
2) 중문(門)과 안방(主)의 배합을 살핀다. 광채의 오른쪽으로 난 중문을 들어서면 장방형의 안마당이 나온다. 一자형의 안채는 찬마루와 찬방이 부설되고, 대청에는 여름철을 위한 찬광이 따로 마련되었다. 안마당 끝에는 양통(兩通) 6칸의 곳간과 장과 술을 저장하던 4칸의 광채가 있고, 5칸의 안 행랑채는 방앗간과 측간이 있다. 집안에 모든 설비를 갖춘 격이다.
안마당의 중심에서 중문과 안방의 배치를 살피면, 정문진주(丁門辰主)이다. 팔괘 상으로 이문손주(離門巽主)로 동문동주(東門東主)가 되어 길하며, 음문음주(陰門陰主)로 불배합되어 흉하고, 화문목주(火門木主)로 상생이라 길하다. 천을(天乙)의 집으로 부귀가 쌍전하고, 초년에는 대발하나 오래되면 재산은 있으나 자손이 적다.
3) 중문(門)과 부엌(조)의 배합을 살핀다. 부엌은 안방의 왼쪽에 배치했다. 정문을조(丁門乙조)로 이문진조(離門震조)에 해당한다. 음문양조(陰門陽조)로 배합되어 길하고, 화문목조(火門木조)라 상생으로 길하다. 대부대귀하고 위인과 빼어난 선비가 배출된다.
4) 가상(家相)을 살핀다. 가옥은 평지에 위치하며 대문 앞이나 집 내부에 큰 나무가 없어 길하다. 우물과 냇물의 유입이 없어 길하고, 대문과 중문이 빗껴나 있고, 중문과 침실로 어긋나 있어 길하다. 하지만 북서향을 바라보아 일조의 양명한 기운은 쇠약하다.
다) 풍수적 고찰 운강 고택은 동창천의 넓은 들판에 위치하고, 주산에서 입수된 내룡이 양룡이라 지기까지 좋다. 자연도 내외당이 우선수라 장풍이 잘 되고, 장생수와 관대수가 도래하니 자손이 번창하고 신동이 태어날 터이다. 하지만 집의 좌향은 과궁수에 해당되어 재산을 지키기 어렵다.
또 사랑방의 방위적 배치가 오귀택에 해당되어 흉하다. 하지만 안방은 천을택이고 특히 부엌의 풍수적 배치가 좋아 전체적으로 길지라 볼 수 있다. 가상적 측면도 북서향을 놓아 일조량이 적은 것을 제외하고는 흉함이 없다. -대동풍수지리학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