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44535?type=journalists
"美, 인도에 독약 제공"…인도 영유권 놓고 中 반발
박정규 특파원 = 중국과 인도가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지역에 대해 미국 정부가 인도 측을 옹호하는 입장을 나타내자 중국이 정부뿐 아니라 관영매체 등을 통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n.news.naver.com
중국과 인도가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지역에 대해 미국 정부가 인도 측을 옹호하는 입장을 나타내자 중국이 정부뿐 아니라 관영매체 등을 통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중국 관영 영문매체 글로벌타임스는 21일 '워싱턴이 뉴델리에 독을 탄 음료를 제조해줬다'라는 내용의 사설을 통해 "미국과는 전혀 상관없는 중국과 인도의 문제에 공공연히 개입하고 인도의 주장을 노골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미국을 비난했다.이는 지난 20일 중국과 인도가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지역과 관련해 베탄트 파텔 미국 국무부 수석부대변인이 "인도 영토로 인정하고 있다"고 언급한 데 대한 반응이다.인도 동북부 아루나찰프라데시주는 인도가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는 곳이지만 중국과 분쟁이 이어지고 있는 곳이다. 중국은 이곳을 중국식 명칭인 짱난(藏南·남티베트)으로 부르면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최근 이곳의 터널 개통식에 참석하자 지난 11일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짱난은 중국 영토"라며 "인도는 허가 없이 중국 짱난을 개발할 권리가 없다"고 반발하기도 했다.글로벌타임스는 사설에서 미국 정부의 입장에 대해 "극도로 사악하고 악의적인 것"이라며 "겉으로는 인도를 돕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인도를 부추기는 독약을 건네고 있다"고 비난했다.또 "선거가 다가오는 탓인지 최근 인도가 중국·인도 간 국경 문제를 자주 거론하기 시작했다"며 "인도가 중국과의 국경문제에 살짝 중독된 순간에 미국은 기회주의적으로 독을 탄 음료를 끌어들였다"고 꼬집었다.중국 정부도 강하게 반박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 측 입장과 관련해 "강한 불만과 결연한 반대를 표명한다"며 "중국과 인도의 국경은 획정된 적이 없고 짱난이 항상 중국 영토였다는 기본적인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이어 "중국과 인도의 국경 문제는 양국 간의 일로 미국 측과는 무관하다"면서 "미국은 지정학적 사익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다른 나라의 분쟁을 선동해왔다"고 비판했다.박정규 특파원(pjk76@newsis.com)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흔히 G2라 불리는 두 국가간의 마찰은 예전부터 지속되어왔지만, 대선을 앞둔 미국과 최근 양회를 마친 중국의 서로간의 마찰 및 견제와 관련된 기사들을 요새들어 자주 접하는 것 같습니다.
중국에 대한 반도체 규제를 언급한 미국, 그로인해 중국에서 이번 sk하이닉스에 투자 관련한 요구, 인도 문제 등과 같이 세계 다양한 방면에서 서로 자주 부딪치고, 엮이는 이 두 나라로 인해 세상이 많이 복잡해지고 있다는 느낌을 유독 많이 받습니다.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우리나라는 매번 이 두 나라로 인해 여러가지 피해아닌 피해를 입는 것 같아 안타깝게 느껴지면서도, 국력과 현명한 외교력의 필요성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는 순간인 것 같습니다.
첫댓글 중국언론 매체의 기사제목이 꽤나 자극적이구나...미국과 중국간의 충돌은 향후 더욱 심화될 전망으로 보인다.전세계 어느나라도 그런 양상을 달갑게 받아들이진 않는단다.
첫댓글 중국언론 매체의 기사제목이 꽤나 자극적이구나...
미국과 중국간의 충돌은 향후 더욱 심화될 전망으로 보인다.
전세계 어느나라도 그런 양상을 달갑게 받아들이진 않는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