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치품은 탄력적, 필수품은 비탄력적
평소에는 비싸서 구입하지 않다가 파격세일을 하면 수요가 확 늘어나는 모피코트, 남성정장, 헬스기구, 고급 승용차 등 주로 백화점 바겐세일 전단지 앞쪽에 실리는 사치품들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커. "오늘만 싸게 줄 테니 기회 놓치지 마." 반면 필수품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비탄력적이야. 쌀, 배추, 콩나물 등 우리 밥상에 늘 올라오는 것들은 가격이 올라도 어쩔 수 없이 사 먹어야 하니까.
대체제가 있는 상품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탄력적이고 대체제가 없는 상품은 비탄력적이야.
짜장면 값이 50%가 올라 7천원이 넘으면 그냥 백반 사 먹으면돼. 조류독감이 유행하면 닭고기 대신 대체제인 돼지고기를 먹으면 되고, 그러므로 대체제가 있는 상품은 가격이 크게 오르면 수요가 팍 줄어들어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커.
반면 휘발유는 가격이 10% 올라도 자동차 운전자들은 어쩔 수 없이 휘발유를 넣을 수밖에 없어. 이처럼 대체제가 없는 상품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작아.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일상생활과 관련이 깊고 기업경영에서도 매우 중요한 경제학적 개념이야. 예를 들어 광필이가 강남지역의 주유소 사장이라면 고객층이 가격에 덜 민감하므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작아. 그래서 굳이 휘발유를 리터당 40, 50원 싸게 파는 가격경쟁을 하기 보다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이야.
반면 중산층이나 서민층이 많은 지역의 주유소 사장이라면 서비스 개발 보다는 다른 주유소 보다 40원이라도 싸게 팔아 가격경쟁을 하는 것이 유리하겠지.
마트에서 필수품은 어디에 배치할까?
답은 가장 안쪽이야. 가장 앞쪽에는 와인 등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큰 상품을 진열해. 1년 내내 세일하는 것도 있고.
여기를 지나면 라면을 5개씩 묶고 거기에 라면 하나를 더 얹어주는 제품들이 있어. 고객들이 탄력의 숲을 지나 비탄력적인 필수품 코너까지 이동하면서 최대한의 매출을올리는 거야.
그럼 계산대 옆에 진열해 두는 건 뭘까?
수요가 가장 탄력적인 기호품이지, 어느 마트를 가든 자일리톨껌은 계산대 근처에 있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