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주)현대관리시스템
 
 
 
카페 게시글
위생,청소업 스크랩 위생관리용역시방서
처음처럼 추천 0 조회 30 14.02.18 17:00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위생관리업무 청소업무 시방서

 

귀사의 건물 청소 용역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소정 개소의 일상 및 정기 청소 수행을 임무로 하고 양호한 환경 위생의 유지와 건재의 보존에 성심껏 노력하여 유리 청소 작업을 포함하는 높은 곳에 대한 작업 등에 있어서는 안전 규칙을 준수하여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며, 청소의 작업 기준을 설정하여 소정의 청소 업무를 수행한다.

 

1) 기본방침

가. 귀사의 건축물의 모든 재질의 특성을 충분히 검토하여 최적의 청소자재를 사용한다.

나. 청소 작업원을 엄선하여 사용하며 일상의 훈련에도 유의하여 청소업무를 수행한다.

다. 청소 작업을 위하여 착용한 열쇠는 신중하게 취급하여 청소 업무를 수행한다.

라. 수도와 전기의 사용은 필요한 최소한으로 하고 특히 조명은 작업종료와 동시에 즉시 소등한다.

 

2) 작업범위

가. 공용부분 (실내)

지하 3층부터 지상 14층까지의 승강기, 홀, 로비, 복도, 계단, 탕비실, 화장실등의 바닥, 벽면, 천장, 문틀 및 문과 재떨이, 쓰레기통 등의 배치된 비품과 주차장, 옥상 및 건물외곽을

청소 작업 대상으로 한다.

나. 전용면적(실내)

7층까지의 각 영업장의 홀바닥을 청소하고 휴지통을 비우는걸 청소 작업 대상으로 한다.

다. 외장부문

건물 외벽 및 유리를 청소 작업 대상으로 하며 외주로 인한 경비 발생시 실비로 정산토록

한다.

 

3) 작업시간

가. 일상 작업

귀사의 휴일을 제외하고 공용 부문은 오전 7시부터 10시에 실내부문은 오전 0시부터 오 전 4시 사이에 실시한다.

*개점시간(오전 7시 ~ 오후 12시)

- 1~7층 : 엘리베이터홀, 복도, 계단, 탕비실, 화장실등의 바닥, 재떨이, 쓰레기통등의 배치된

비품과 주차장, 옥상을 주청소 대상으로 한다.

- 8~14층 : 엘리베이터홀 및 복도와 화장실 바닥, 쓰레기통등의 배치된 비품를 주청소 대상

으로 한다.

나. 정기 작업

바닥면 정기 청소 등은 원칙적으로 오전 7시부터 오전 10시 사이에 수행하거나 시간내에 할

수 없는 개소의 작업에 대해서는 오전 0시부터 오전 4시 사이에 실시한다. 외장 부문의 청소 는 집무에 지장이 없도록 평일 또는 휴일의 개점시간 이전에 수행한다.

4)작업 개요

가. 일상작업(공용/전용부문)

(1) 현관홀

(가) 비 또는 화학처리된 마포로서 바닥 먼지를 제거한다.

(나) 더러움이 많을 때는 물 마포질을 한다.

(다) 재떨이 및 쓰레기통의 내용물을 처리한다.

(라) 출입문을 닫는다.

(마) 금속 부분은 마른 걸레질을 한다.

(바) 매트를 청소한다.

(사) 벽면의 손자라는 범위를 청소한다,

 

(2) 타비

(가) 비 또는 화학처리된 마포로서 바닥 먼지를 제거한다.

(나) 더러움이 많을 때는 물 마포질을 한다.

(다) 재떨이 및 쓰레기통의 내용물을 처리한다.

(라) 융단 바닥은 진공 청소기로 청소한다.

(마) 문틀 및 문을 청소한다.

(바) 금속 부분은 마른 걸레질을 한다.

(사) 벽면의 손자라는 범위를 청소한다.

 

(3) 엘리베이타 및 에스컬레이터

(가) 바닥의 쓸기 청소를 한다.

(나) 바닥의 물 청소를 하며, 더러움이 심할때는 중성세제로서 닦는다.

(다) 매트의 청소를 한다.

(라) 금속 부분은 마른 걸레질을 하며, 바닥 홈을 청소한다.

(마) 벽과 천장을 청소한다.

(사) 에스컬레이터의 난간을 물걸레 청소 한다.

 

(4) 계단 및 복도

(가) 바닥의 쓸기 청소를 한다. 융단 바닥은 진공청소기로 청소한다.

(나) 더러움이 심할때는 물걸레질을 한다.

(다) 난간의 물걸레 청소를 한다.

(라) 문틀 및 문의 청소를 한다.

(마) 금속 부분은 마른 걸레 청소를 한다.

 

(5) 각 층 화장실

(가) 바닥의 쓸기 청소를 한다.

(나) 바닥을 물걸레질 한다. 더러움이 심할때는 중성세제로서 닦는다.

(다) 쓰레기통의 내용물을 처리한다.

(라) 문과 칸막이의 청소를 한다.

(마) 위생 도기류는 중성세제로서 청소한다.

제거할 수 없는 때는 약 산성 세제를 사용한다.

(바) 세면대를 청소하고 거울을 닦는다.

(사) 화장지 및 물비누를 보충한다.

(아) 화장실 오물을 반출처리 한다.

 

(6) 각 층 탕비실

(가) 바닥의 쓸기 청소를 한다.

(나) 바닥의 물걸레질을 한다. 더러움이 심하면 중성세제로서 닦는다.

(다) 차 찌꺼기를 비우고 용기를 청소한다.

(라) 씽크대와 그 주변을 청소한다.

(마) 문틀 및 문을 청소한다.

(바) 금속 부문은 마른 걸레질을 한다.

 

(7) 주차장

(가) 바닥의 쓸기 청소를 한다. 필요시에는 살수 한다.

(나) 기름 때는 중성세제로서 제거한다.

(다) 배수구 및 주변의 흙 모래를 제거한다.

 

나. 정기청소

공용부분 : 현과 홀, 타비, 계단, 복도

(1) 석재바닥

(가) 빗자루 쓸기 청소를 한다.

(나) 중성세제로써 세척한다.

(다) 린스한후 건조하면 재질에 따라 바닥 보호재를 도포한다.

(2) 탄성상재(바닥)

(가) 때와 먼지를 제거한다.

(나) 바닥면을 세척(일반세척 또는 바닥세척)후 건조하면 바닥 보호제를 도포한다.

 

(3) 나무바닥

(가) 때와 먼지를 제거한다.

(나) 나무 바닥용 보호제(옥슬)를 도포하여 마무리한다.

(4) 몰탈바닥

(가) 부라쉬 또는 바닥 연막기로써 세척한다.

(나) 더러움의 정도에 따라 중성세제를 사용한다.

(5) 다다미 바닥

(가) 먼지를 제거하고 중성세제로써 오점을 제거한다.

(나) 물걸레로 닦고, 마른 걸레로 마무리 청소를 한다.

 

(6) 창유리

(가) 우리 세척용 세제로써 때를 제거하고 마무리 작업을 한다.

(나) 초자용 수쿠이지를 사용한다.

 

(7) 금속부분

(가) 전용 크리너로서 때를 제거한다.

(나) 마른 걸레 등으로 마무리 작업을 한다.

 

(8) 천장 및 벽면

(가) 천장용 털기와 부라쉬 등으로써 먼지를 제거한다.

(나) 요벽의 때를 제거한다.

 

(9) 흡배기구

(가) 물걸레질을 하여 먼지를 제거한다.

(나) 중성세제로써 때를 제거하고 물걸레질로써 마무리한다.

 

(10) 조명기구

(가) 관구를 제거한다.

(나) 물걸레로써 먼지를 제거한다.

(다) 중성세제로써 때를 제거하고 물걸레로 마무리 한다.

 

(11) 부탄이드

(가) 물걸레로 먼지를 제거한다.

(나) 중성세제로써 ?를 제거하고 물걸레로 마무리 한다.

(다) 체인등의 점검을 한다.

(12) 외벽

(가) 금속 부분

물걸레로 먼지를 제거한다. 금속용세제(알미늄용 및 스테인레스요)로써 때를제거한 후

물걸레와 마른걸레로써 마무리한다.

(나) 금속 부분 이외의 것

금속부분 이외의 외벽(콩크리트계, 석재계, 타일계)은 부라쉬등으로써 물세척하여 먼지를제

거한다. 중성세제를 도포하여 정밀하게 물 세척을 한다. 제거되지 않는 때는 약산성 또는 약

알카리성 세제를 적절히 사용하여 작업하며, 요철이 심할 경우에는 고압 스프레이를 사용한 다.

 

5) 공기 환경 측정

공중위생법에 의한 공중 이용시설의 소유자(점유자 또는 관리자)의 책임분야에 속하는 사항으 로서 위생 관리 담당자의 역할을을’이 담당하였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그 업무를 사용한 다.

가. 공중 위생 법령에 명시된 위생관리 기준에 따른 적합성 여부를 점검하고 점검부에 기 록, 비치하고, 적정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갑’에게 이를 통지한다.

나. 측정주기는 매분기 1회 이상 한다.

다. 측정 지점 및 개소는 매층 1점 이상으로 한다.

라. 측정은 부유분진, 일산화탄소, 탄산가스, 온도, 상대습도, 기류, 조명으로 구분한다.

마. 측정기구는 보건복지부(위생관리용역협회 추천)의 인준된 기구를 사용한다.

 

6) 카펫트 청소 업무 사양서

가. 일상 작업(카펫트)

(1) 공용구역

(가) 현관 홀 및 타비

카펫트 바닥과 팻트의 흡진을 한다.(2회)

카펫트 바닥의 오점 및 반점을 제거한다.(수시)

재털이 및 쓰레기통의 내용물을 처리한다

출입문의 청소를 한다. (수시)

금속 부분의 청소를 한다. (수시)

스윗치 주변의 스풋트를 청소한다.(수시)

(나) 엘리베이터홀, 복도, 계단

바닥의 흡진을 한다. (1회)

재털이 및 쓰레기통의 내용물을 처리한다.(수시)

문 및 에레베다 문의 청소를 한다. (수시)

바닥의 오점 및 반점을 제거한다. (수시)

벽면의 먼지를 제거한다. (1회)

스윗치 주변의 스폿트를 청소한다. (수시)

난간의 청소를 한다. (수시)

금속 부분의 청소를 한다. (수시)

 

 

나. 정기작업(카펫트)

(1) 공용구역

(가) 현관홀, 타비, 엘리베이터홀

카펫트 바닥부분 세척 (월 1회)

카펫트 바닥전면 세척 (년 2회)

(나) 복도, 계단

카펫트 바닥부분 세척 (월 1회)

카펫트 바닥전면 세척 (년 1회)

(2) 비고사항

(가) 부분 세척은 카펫트의 더러움의 정도와 분포에 따라서 바팅패드 또는 엑스트렉션 및 파우다 등으로 수행한다.

(나) 전면 세척은 포리샤와 엑스트렉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공정으로 수행한다.

흡진

반점 및 오점제거

코나 부라슁(구석부라워 세척)

샴팅

엑스트랙션

반점 및 오점제거

정모(털고르기)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