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
|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은 하우스, 노지재배 모두 시험 토양이 pH 6.7~7.3으로서 중성이었고 시험전 토양에 비해 시험 후에서 유기물, 유효인산, 가리, 칼슘, 마그네슘, C.E.C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
|
|
|
|
|
|
표 1. 공시토양의 시험전, 후 화학성 |
|
처 리 |
pH (1:5) |
EC (ds/m) |
O.M (g/kg) |
Av. P2O5 (mg/kg) |
C.E.C (cmol+/kg) |
Ex-cation(cmol+/kg) |
K |
Ca |
Mg |
하우스 재 배 |
시험전 시험후 |
6.9 7.3 |
0.13 0.34 |
12.2 20.9 |
443 617 |
11.32 13.23 |
0.55 1.39 |
6.83 8.02 |
3.46 3.93 |
노 지 재 배 |
시험전 시험후 |
6.7 7.1 |
0.08 0.28 |
9.4 15.2 |
163 336 |
10.99 12.96 |
0.31 1.27 |
6.35 7.85 |
2.92 3.54 | |
|
|
|
|
|
|
|
2. 파종기에 따른 수량 및 로즈마린산함량 변이 |
|
|
가. 하우스재배 |
|
|
파종기간에 배초향의 재생률은 추파구인 10월 10일~20일, 춘파구인 3월 10일~20일 파종에서 88~91%로 가장 높았으며 재배년수별 평균 경장은 10월 20일 추파와 3월 20일 춘파의 1년차에 비해 2년차에서 경장은 짧아졌다. 또한, 재배년수간 주당 평균엽수는 1년차(249~349개) 대비 2년차에서 67개가 감소하였고 파종기가 늦을수록, 재배년수가 경과할수록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
|
|
|
|
|
|
|
|
|
|
|
그림 1. 하우스재배 파종기별 생육, 수량 및 로즈마린산함량 변이 |
|
|
주) |
파종기(추파 : 10.10~11.10, 춘파 : 3.10~4.10, 10일간격 4시기), 재식거리: 30×20㎝, |
|
|
|
시비량 : N-P-K-퇴비=12-16-10-2,000㎏/10a, N·K 20% 2회추비(3월상, 6월상) |
|
|
|
수확기 : 1998. 1차(7월 20일), 2차(10월 10일), 1999. 1차(5월 15일), 2차(9월 15일) |
|
|
|
|
|
|
|
|
파종기간의 10a당 평균 경엽수량을 보면 10월 10일 파종과 3월 10일 파종(추파 : 3,170㎏, 춘파 : 1,740㎏)에 비해 추파구 10월 20일 파종과 춘파구 3월 20일 파종에서 각각 20%, 22% 증수되는 경향을 보였다. 1, 2년차별 10a당 경엽수량은 추파구 10월 20일에서 3,667~3,967㎏, 춘파구 3월 20일에서 2,085~2,173㎏으로 최대수량을 보였다. |
|
|
|
|
|
|
|
|
나. 노지재배 |
|
|
파종기별 재생률은 3월 20일 파종이 87%로 가장 높았고 만파할수록 개화기가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경장 및 주당 엽수는 3월 20일 파종에서 가장 생육이 양호하였다. 한편, 3월 20일 파종의 주당 생경엽중은 97~109g으로 가장 무거웠고 년차별 경엽수량은 3월 10일 파종(1년차 619㎏, 2년차 860㎏)에 비해 3월 20일 파종에서 각각 1년차 15%, 2년차 13% 증대되었다. |
|
|
|
|
|
|
|
|
|
|
|
그림 2. 노지재배 파종기별 생육, 수량 및 로즈마린산함량 변이 |
|
|
주) |
파종기(추파 : 10.10~11.10, 춘파 : 3.10~4.10, 10일간격 4시기), 재식거리 : 30×20㎝, |
|
|
|
시비량 : N-P-K-퇴비=12-16-10-2,000㎏/10a, N·K 20% 2회 추비(4월중, 7월중) |
|
|
|
수확시기 : 1998. 1차(9월 10일), 1999. 1차(6월 10일), 2차(9월 15일) |
|
|
|
|
|
|
|
3.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성 변이 |
|
|
가. 하우스재배 |
|
|
배초향의 재식밀도에 따른 재생률은 추파, 춘파구 공히 10×20㎝ 밀식에서 88~90%로 가장 높았고 추파, 춘파구의 경장은 10×20㎝(50주/㎡) 밀식에서 가장 길었으며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경장이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반면에 주당엽수는 춘파, 추파의 10×20㎝ 밀식에서 적었으나 소식에서 속하는 60×20㎝, 춘파, 추파구에서 주당엽수는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주당 생경엽중은 소식할수록 증가하였고 밀식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건경엽수량은 60×20㎝ 소식재배(추파 1,858㎏, 춘파 907㎏/10a)에 비하여 30×20㎝ 재배에서 각각 77~78%로 최대의 증수를 보였다. |
|
|
|
|
|
|
|
|
|
|
|
그림 3. 하우스재배 재식밀도별 생육, 수량변화 |
|
|
주) |
파종기 (추파 : 10월 20일, 춘파 : 3월 20일), 재식거리 : 조간 10, 30, 60㎝×주간 20㎝ |
|
|
|
시비량 : N-P-K-퇴비=12-16-10-2,000㎏/10a, N·K 추비: 20% 2회(3월상, 6월상) |
|
|
|
수확기 : 1998. 1차(7월 27일), 2차(10월 15일), 1999. 1차(5월 20일), 2차(9월 18일) |
|
|
|
|
|
|
|
|
나. 노지재배 |
|
|
재식밀도별 재생률은 10×20㎝, 20×20㎝ 밀식, 공히 88%로 가장 높았으며 개화기는 9월 15일로 재식밀도간에 차이가 없었고 경장은 밀식인 10×20㎝에서 가장 컸지만 소식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반면에 경태와 주당엽수는 10×20㎝, 밀식구에서 가늘고 적었으나 재식밀도가 낮은 60×20㎝에서 경태는 커지며 주당 엽수는 217개로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건경엽수량은 60×20㎝ 소식재배의 438㎏/10a에 비해 30×20㎝ 재배가 79%, 20×20㎝ 재배가 61% 증수되었다. |
|
|
|
|
|
|
|
|
|
|
|
그림 4. 노지재배 재식밀도별 생육 및 수량 |
|
|
주) |
파종기(추파 : 10월 20일, 춘파 : 3월 20일), 재식거리 : 조간 10, 20, 30, 40, 50, 60㎝×주간20㎝, |
|
|
|
시비량 : N-P-K-퇴비=12-16-10-2,000㎏/10a, N·K 추비 : 20% 2회(4월중, 7월중) |
|
|
|
수확기 : 1998. 1차(9월 22일), 1999. 1차(6월 13일), 2차(9월 20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