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5] 수분의 침입과 그 대책
수 분 침 입 경 로 |
대 책 |
1.신설 또는 보수중 배관에 잔류한 수분 |
공사완료후 충분히 진공시킬 것. |
2.기밀시험중 대기중의 수분이 공기와 함께
침입 |
잘 건조한 불연성가스를 사용한다. 공기를 사용할 때는 충분히 냉각하고 배수한 후 건조공기를 공급한다. |
3.냉매에 수분 함유 |
냉매충전시 드라이어를 통하여 충전한다. |
4.윤활유에 수분 함유 |
윤활유의 취급에 주의하고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
5.흡입가스압력이 진공이 될 때 공기와 수분
이 침입 |
누설부위를 수리하고 가능하면 진공영역에서 운전하지 않도록 한다. |
6.분해 및 점검시 침입하는 공기에 수분함유 |
개방한 계통을 복구할 때 에어퍼지를 확실히 하고 그 부분이 클때는 진공펌프를 이용한다. |
[표 6] 이물질의 침입과 그 대책
이 물 질 침 입 경 로 |
이물질 종류 |
대 책 |
1.신설 또는 보수중 배관에
잔류한 먼지 |
금속
모래
섬유 |
배관류는 필요시 산세척후 밀봉한다.
곡관가공후의 청소, 용접후 슬러지 제거
부품은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여 설치한다. |
2.주물부품의 청소 불충분 |
모래
금속 |
부품의 먼지 세정
장치완성후 시운전후 윤활유를 교환한다. |
3.도포한 녹방지, 그리스의
제거가 불충분 |
유지 |
설치전에 잘 세정하고 보존시 냉동유를 도포한다. |
4.수분의 제거가 불완전하여
녹이 발생 |
녹 |
수리시 불필요한 공기를 시스템에 유입하지 않는다.
에어퍼지를 충분히 한다.
진공건조를 충분히 한다. |
5.기계부품의 마모 |
금속 |
윤활유의 오염주의하고 필요에 따라 교환한다. |
6.윤활유의 탄화 |
고형화 |
고온에 견디는 윤활유를 선택한다.
토출가스온도가 이상고온이 되지 않도록 한다.
윤활유 오염에 주의한다. |
5. 결언
공조용 및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냉동기는 고효율화, 고성능화가 더욱 가속되고 있고 새로운 메카니즘을 가진 냉동기도 개발되고 있다. 한편 기존 냉동기 제조업체에서는 운전 및 보수유지가 편리하며 내구성이 높고 경량 및 저소음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에 많은 노력을 투자하고 있다.
냉동기를 이용하는 설비업계에서는 사용목적에 적합한 냉동기를 선정하고 보수유지의 측면을 고려하여 적합한 설비시공이 요구되며 사용자는 업체의 점검항목을 반드시 점검하여 냉동기가 충분한 기간동안 고효율로 사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보수 및 유지가 필요하다.
또한 냉동기의 운전, 정지의 조작순서는 설비상의 문제로서 취급설명서를 참고로 시동전후, 정지 전후의 점검과 판정기준 및 이상(고장)이 발생했을때의 조치법 등 올바른 내용을 관계자들이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