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驛舍 電氣設備의 工事監理
'98.
(한국 전력기술인 협회)
목 차
|
|
역사 전기설비의 공사감리
전기실에 수전되는 고압 전원은 대체로 3상 6.6kV 3회선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3회선 은 1,2,3호계로 칭하고 각각 인입 선로에 DS 및 진공차단기를 설치하여 평상시 각 호계로 구분된 부하를 분담하며 사고시 1호계 또는 2호계가 1,2호계 전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1호계와 2호계 사이에 TIE 차단기를 설치하고, 이 TIE 차단기는 1,2호계 차단기와 인터록 회로 및 보호회로를 구성한다. 1호계와 2호계는 각각 저압으로 강압하여 역사의 조명, 전열, 동력, 통신 및 신호 설비에 전원을 공급하며, 3호계는 냉방 및 본선 인근, 중앙 환기 설비에 전원을 공급한다.
1호계와 2호계는 각 조명/동력용(각각 분리하는 경우도 있음) 및 신호설비가 있는 전기 실은 신호용 변압기를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변압기의 결선은 조명 및 동력용 변압기 의 경우 3상 4선식(6.6kV/380∼220V)으로 하고, 신호용 변압기는 3상 3선식(6.6kV/380V)으로 한다.
3호계 냉방부하의 보조 동력공급을 위하여 별도의 변압기를 3호계에 설치하며, 변압기 의 결선은 3상 4선식(6.6kV/380∼220V)으로 한다.
정거장 인접 터널 환기실용 전원공급은 정거장 전기실 3호계에 변압기를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며, 변압기의 결선은 3상 4선식(6.6kV/380∼220V)으로 한다.
터널 중앙 환기실의 전원 공급은 3호계 고압 배전선로에서 인입, 별도 수전 설비를 구성하여 전력을 공급토록 하며, 본선 인근환기의 경우 정격 출력이 약 90kW 초과되는 전동 기 또는 총 부하설비 200kW 이상인 경우에는 3호계 고압 배전 선로에서 직접 인입하여 운전되도록 한다.
상시 전력의 공급은 1호계 및 2호계의 저압 분기회로에 자동 절체 개폐기 (ATS)를 설치 하여 사고시 건전 계통으로 자동 절체되도록 하며, 연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상시 부하는 ①전기실 조명 ②배수펌프, 급수펌프, 오수펌프 전원 ③소화전 펌프, 스 프링클러 펌프 전원 ④배연 홴 및 기타 소방관련 전원 ⑤터널 조명 전원 ⑥비상 콘센트 전원 ⑦충전기 전원 ⑧방송, 통신 및 AFC 전원 ⑨장애자용 엘리베이터 및 휠체어 리프트 전원 ⑩전동셔터 전원 ⑪설비 중앙 감시반 및 조명 제어반 등이다. 최근에는 배수펌프 계 통과 통신기계실용 전원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1, 2호계에서 직접 부하까지 각각 간선을 구 성하여 2중계로 공급하는 추세이다.
가. 간선
① 고압 배전 계통 : 3상 3선식 (6.6kV)
② 조명용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③ 동력용 간선 : 3상 4선식 (380V)
④ 신호, 통신용 간선 : 3상 3선식 (380V)
⑤ 냉동기용 간선 : 3상 3선식 (6.6kV)
⑥ 터널 환기용 간선(중앙) : 3상 3선식 (6.6kV)
⑦ 터널 환기용 간선(인근) : 3상 3선식 (380V)
⑧ AFC용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⑨ 터널 조명 및 콘센트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⑩ 냉동기 보조동력용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⑪ 에스컬레이터 및 엘리베이터 간선 : 3상 4선식 (380V)
⑫ 비상 콘센트용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⑬ 전동 셔터, 방재용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⑭ 주방용, 에어콘,온풍기 간선 : 3상 4선식 (380/220V)
나. 분기 회로
① 전등 회로 : 단상 2선식 (220V)
② 일반용 콘센트 : 단상 2선식 (220V)
③ 비상등 및 조작전원 : DC 전원 (110V)
④ 터널 조명 : 단상 2선식 (220V)
⑤ 터널 콘센트 : 3상 4선식 (380/220V)(개소당 3상, 단상용 콘센트 각 1개)
⑥ 비상 콘센트 : 3상 4선식 (380/220V)(개소당 3상, 단상용 콘센트 각 1개)
⑦ 상주기능실 전열(에어콘) : 단상 2선식 (220V)
⑧ 기능실용 환풍기 : 단상 2선식 (220V)
⑨ 광고 및 안내등용 콘센트 : 단상 2선식 (220V)
⑩ 휠체어리프트 : 단상 2선식 (220V)
⑪ 전동 셔터 : 3상 4선식 (380/220V)
⑫ 유도등 : 단상 3선식 (220V)
다. 부하 구분
정거장의 부하는 일반부하, 상시부하 및 비상부하로 구분하여 계통을 구성한다. 일반부 하는 정전에 따른 특별한 배려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조명 및 일반 동력부하(일반조명, 일반동력, 광고용조명, 자동판매기, 에스컬레이터 등)를 말하며 상시부하는 어느 한쪽 계 통이 정전될 경우 다른 계통으로 부터 전력공급을 요하는 부하(전기실 조명, 터널조명, 방송통신, AFC, 배수펌프, 오수펌프, 급수펌프, 역사환기, 소방동력, 충전기, 장애자용 엘리베 이터 등)이고 비상부하는 모든 전력 계통이 정전되었을 경우에도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예비전원설비(BATTERY)로 부터 전력 공급을 요하는 부하 (비상 조명, 배전반 조작전 원 등)을 말한다.
라. 부하분담
역의 부하 설비는 다수의 승객이 이동하는 곳으로 정전 즉 비상시에도 최소한의 기 능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하철 일반전기계통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통 1, 2, 3호계로 구분하고 조명, 전열, 동력, 냉방 등을 각각 분리하여 전원의 공급점 을 2중화시켜 고신뢰도의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조명과 콘센트 등에 대한 부하구분 및 전원공급 방식을 요약하여 다음 (표 1-1,2,3,4)에 나타냈다.
(표 1-1) 전등 부하의 구분
용 도 |
부 하 구 분 |
전압종별〔V〕 |
비 고 | ||
1호계 |
2호계 |
비상전원 | |||
일반 조명 비상 조명 터널 조명 유 도 등 광 고 등 |
1/2 1 1 1/2 |
1/2 (1) (1) 1/2 |
전 부 |
220 110 380/220 220 220 |
• 비상시 축전지에서 전원공급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표 1-2) 콘센트 부하의 구분
용 도 |
부 하 구 분 |
전압종별〔V〕 |
비 고 | ||
1호계 |
2호계 |
비상전원 | |||
일 반 용 비 상 용 취 사 용 상 가 용 청 소 용 터 널 용 자 판 기용 상주기능실 |
1/2 1 1/2 1/2 1/2 1 1/2 1/2 |
1/2 (1) 1/2 1/2 1/2 (1) 1/2 1/2 |
|
220 380/220 380/220 380/220 220 380/220 220 380/220 |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별도수전 또는 분리계량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표 1-3) 기기 부하의 구분
용 도 |
부 하 구 분 |
전압종별〔V〕 |
비 고 | ||
1호계 |
2호계 |
비상전원 | |||
화재 수신반 중앙 감시반 조명 제어반 방 송 장 치 A F C 신 호 기 기 |
1 1 1 1 1 1 |
(1) (1) (1) (1) (1) (1) |
|
380/220 380/220 220 220 380/220 220 또는 380 |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전용 회로(회로 380V로 승압추세) |
(표 1-4) 동력 부하의 구분
용 도 |
부 하 구 분 |
전압종별〔V〕 |
비 고 | |||
1호계 |
2호계 |
3호계 | ||||
소화전 펌프 배수, 오수펌프 일반용 환기실 배연 환기기 에스컬레이터 충 전 기 냉동기보조전원 급수 펌프 스프링클러펌프 |
1 1 1/2 1 1/2 1 - 1 1 |
(1) (1) 1/2 (1) 1/2 (1) - (1) (1) |
1 |
380 380 380 380 380 380 380 380 380 |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1호계 고장시 2호계로 전환 | |
터 널 환 기 |
인 근 |
|
1 |
380 |
• 단위 전동기 용량 90kW 초과 및 총설비 용량 200kW 이상은 6.6kV 공급 | |
중 앙 |
|
|
1 |
6600 |
|
(Σ Ln x Kn) + Σ Pn
P = ────────────
η
P : 변압기 용량
Pn : 동력부하 수용율 감안
Ln : 조명부하 수용율 감안
η : 변압기 효율
Kn : 여유율 (1.2)
(표 1-5) 각 부하별 수용율 적용기준
구분 |
부 하 명 |
적용기준〔%〕 |
비 고 |
전등 . 전열 |
일 반 조 명 |
90 |
|
일 반 전 열 |
100 |
콘센트 1개당 : 150VA | |
광 고 용 |
100 |
| |
터 널 조 명 |
100 |
| |
터 널 전 열 |
3개소 적용 |
3상콘센트3000VA, 단상콘센트1500VA | |
비 상 조 명 |
0 |
| |
비상 콘센트 |
0 |
| |
냉난방 |
냉 동 기 |
100 |
하절기 부하 |
냉동기 보조 |
100 |
하절기 부하 | |
전기 온수기 |
0 |
동절기 부하 | |
공조 |
공조기, 급 배기팬 |
100 |
|
배 연 팬 |
100 |
급기 겸용의 경우(배연전용은 0%) | |
위생 |
오수펌프, 급 배수펌프 |
100-80-60 |
최대의 펌프:100%, 제2의 펌프:80% 나머지 펌프: 60% |
소방 |
소방 관련 펌프 |
0 |
|
운송 |
에스컬레이터 |
100 |
|
엘리베이터 |
100 -20 |
최대 EV : 100%, 나머지 : 20% | |
휠체어 리프트 |
20 |
| |
기타 |
전동셔터, 진공청소기 |
0 |
사용빈도가 적음 |
충 전 기 |
75 |
| |
AFC 전원 |
100 |
|
* NOTE ; 예비기는 0% 적용
* 수용율 적용 ; 전기설비 기술계산 H/B 및 국내 주요 지하철 현황 비교 참조
○ 3상 단락 용량의 계산(kVA 기준)
kVA x 100
Is = ────────── 〔A〕 Is : 3상 최대 단락 전류〔A〕
√3 x E x %Z
%Z : 고장 회로의 퍼센트 임피던스〔%〕, (%Z = %Zs+%Zt+%Zl)
%Zs : 전원측의 퍼센트 임피던스〔%〕
%Zt : 변압기의 퍼센트 임피던스〔%〕
%Zl : 선로의 퍼센트 임피던스〔%〕, E : 선간 전압〔kV〕
변압기 용량 규모에 따른 P.F의 적용 정격은 다음 (표 1-6)과 같다.
(표 1-6) 변압기 용량과 P·F 정격
변 압 기 용 량〔kVA〕 |
6.6 kV |
비 고 | |
전부하전류〔A〕 |
P.F정격〔A〕 | ||
400 500 600 750 1000 1250 1500 2000 |
34.9 43.7 52.5 65.6 87.5 109.3 131 175 |
75 100 125 125 200 250 250 400 |
|
* 내선 규정 705-5 참조
가. 조 건
- 사용 축전지 : 무보수 무수액 밀폐형 연축전지
- 방전 시간 : 30분
- 종지 전압 : 1.8V
- 최저 축전지 온도 : ±5℃
- 전압 : DC 110V
나. 축전지 용량 계산
1
C = ── [ K₁I₁+ K₂(I₂- I₁)+K₃(I₃-I₂)+…+Kn(In-In-1)]〔Ah〕
L
C : 축전지 용량〔Ah〕
L : 보수율(0.8)
K : 용량 환산 시간 계수 〔min〕
I : 방전 전류〔A〕
다. 충전기 용량 계산
Id = IL + Ic〔A〕
Id : 직류 정격 출력 전류
IL : 상시 최대 부하 전류
Ic : 축전지 충전 전류(연축전지 경우 Ic = C/10 )
라. 정류기 입력 용량과 1차 전류
(IL + Ic) x VD
PAC = ─────────── 〔kVA〕
cosθ x η x 10³
(IL + Ic) x VD
IAC = ────────── 〔A〕
√3x E x cosθ x η
PAC : 정류기 교류측 입력 용량〔kVA〕
IAC : 정류기 교류측 입력 전류〔A〕
cosθ : 정류기 역률
η : 정류기 효율
VD : 정류기 직류측 전압
IL : 정류기 직류측 부하 전류
Ic : 정류기 직류측 축전지 충전 전류
(표 1-7) 정류기의 역률과 효율
정 격 전 류 |
역 률 〔%〕 |
효 율 〔%〕 | ||
단 상 |
3 상 |
단 상 |
3 상 |
|
50A 이하 |
|
|
55 |
70 |
50A 초과 100A 이하 |
70 |
80 |
60 |
75 |
100A 초과 |
|
|
60 |
80 |
* 한전 표준 규격[ESB] P 157 |
지하철역의 구내에서는 조명, 전열, 동력, 환기, 신호, 기타의 전력이 필요하며 이들 전력을 부대용 전력이라 한다. 부대용 전력은 변전소에서 고압으로 각 전기실까지 배전 되고 있으나, 역사조명, 에스컬레이터, 배수펌프, 신호 및 방재설비 등의 부하로 사용하 는 전력은 거의가 380V/220V의 저압이므로, 사용장소 부근에서 고압에서 저압으로 강압 하여 배전하는 설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역사, 차량기지, 중앙 환기실, 종합사 령실 건물 등에 전기실을 설치한다. 전기실의 주요기기의 구성은 6.6kV배전 계통 구성 및 정거장 부하 설비에 따라 차이 가 있으나 대체로 단로기, 진공차단기(VCB), 고압모선, 몰드변압기, 기중차단기(ACB), 충전기 및 배전반 등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전기실 설비는 특수한 장소를 제외하고 거 의 후레임 조립형(open type)이였으나, 현재는 보수에 이점이 있는 큐비클 타입이 주류 를 이룬다.
이들 전기실 주요기기에 대한 형식 및 규격 등 주요 시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수배전반
변압기의 2차측 전력은 저압 모선으로 배전반에 보내진다. 배전반은 이 저압전력을 각각 의 용도별로 나누어 보내는 장치이다. 초기의 배전반은 대리석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경량 이고 튼튼한 강판을 사용한다. 이 판위에 각종 개폐기, 전압계, 전류계 및 표시등 들이 각기 목적에 따라 장치되어 있다. 개폐기는 이전에는 knife switch와 통형 fuse를 사용하여 회로의 과 전류보호를 하였으나 접촉면이나 fuse 보수관리등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현재는 보수에 이 점이 있는 배전용 차단기 (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s)를 사용하고 있다. 이점으로서는 투입절체 동작이 빠르고 확실하며, 과부하 차단을 한눈에 알 수 있고 보수점검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역사에서 사람이 접촉할 수 있는 기기(자동 판매기, 동전 교환기, 광고용 조명, 공중전화 전원 등)나 물기가 있는 장소에는 누전차단기(ELB : Earth Leakage Breaker)를 사용 하고 있다.
① 폐쇄된 수직 자립형 외함에 구성기기의 내장설치 및 회로를 구성한다.
② 회로 및 모선구성, 내장기기의 배치, 절연거리 확보 등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외함 의 크기를 최소화하며, 높이 및 깊이를 통일시켜 전압 및 기능별(7.2㎸ Switchgear, 변압기, LT Panel)로 열반 구성한다.
③ 모선실의 구획 및 충전부에 대한 격리, 보호구조로 하여 감전 위험성을 줄인다.
④ VCB는 2단적으로 내장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전기실 소요 면적을 줄인다.
⑤ 변압기용 외함은 변압기가 자연 통풍 냉각 및 온도 상승시에는 배기 fan이 자동으로 동작되어 냉각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⑥ 저압 배전반 (LT Panel) 전면 도어에 ACB의 동작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표시 lamp 를 설치한다.
⑦ 원격제어 감시대상 기기의 회로구성 및 외부 배선을 위한 별도의 단자대를 설치한다.
나. 단로기 단로기(DS : Disconnecting Switches)는 고압 또는 특별고압 회로에 사용되는 칼형 개 폐기로서, 기기, 회로의 점검수리, 변압기의 결선변경 또는 모선의 구분, 접속변경 등 때문에 시설되어 정격전압에 있어서 단순히 충전되어 있는 전로 즉, 무부하 상태만의 조작을 원칙으로 하고 통상 부하전류를 개폐하는 것은 절대로 하여서는 안된다. 단로기로서 개폐할 수 있는 것은 짧은 배전선의 충전전류 정도이다.
특히, 수전단측(6.6kV 배전계통 구성용)에 설치되는 단로기는 계통분리 및 연결 등 무 부하 상태에서 운용되며 주요 시방은 3극, 단투형식으로 수동레버 또는 전동방식에 의한 조작 과 개폐상태를 알 수 있는 표시램프가 있다.
다. 고압 차단기
기기 또는 선로가 고장이 나면 그 전로에는 이상전류가 흘러 기기 또는 선로를 손상함 과 동시에 감전사고나 전기화재의 원인이 되므로, 고장난 전로를 빨리 전원에서 차단하여 기 기를 보호함과 동시에 사고의 파급을 방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진공차단기(VCB : Vacuum Circuit Breaker)는 진공 개폐기와 같이 고정 및 가동 전극을 진공 용기안에 봉입(10-6 ∼ 10-7 mmHg정도)한 진공밸브를 사용, 진공의 절연성과 arc가 진공중에서 확산하는 것에 의해 소호한다. 그러므로, 전기조작으로 개폐되는 것은 물론이거니 와 사고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용량도 갖고 있다.
진공차단기는 차단성능이 뛰어나고 소형 경량, 저소음으로 화재, 폭발의 위험이 없고, 보수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 것 등이 특징이다. 사용장소는 차고나 건물등 전력회사에서 고압 으로 직접 수전하고 있는 전기실 등이다. 대부분 지하의 전기실에 설치되므로 환경 특성에 적 합하고,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진공차단기(VCB)의 개폐조작 상태와 트립상태의 감시 및 원격조작 이 가능하도록 한다.
라. 변압기
변압기는 수전전압을 각종 기기의 운전에 맞는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한다. 배전 용으로 사용되는 변압기는 종래 단상 유입변압기를 사용하였으나, 동력등 부하설비 용량의 증 대로 인해 3상 변압기를 사용하고 있다. 근래 지하의 방재 대책의 일환으로 변압기에 대하여 절연유를 쓰지 않는다. 즉, oil less 변압기라는 건식 변압기와 몰드변압기가 급속히 개발되어 특히, 화재 위험성이 적은 불연성 전원 변압기로서 지하철 등에 사용되게 되었다. 저압 전원 부하 공급용 변압기는 지하의 전기실에 설치되므로 화재 위험이나 환경오염의 방지 측면에서 유리하고, 전기적 특성, 안전성 및 유지 보수 측면에서도 우수한 몰드변압기가 선정되고 있다. 몰드 변압기의 설계에 적용하는 표준용량은 다음 (표 2-1)과 같다.
(표 2-1) 설계 표준용량
구 분 |
설 계 표 준 용 량 〔kVA〕 |
비 고 |
단상 변압기〔kVA〕 |
5, 7.5, 10, 15, 20, 30, 50, 75, 100, 150, 200, 300, 500, 750, 1000 |
|
3상 변압기〔kVA〕 |
10, 30, 50, 75, 100, 150, 200, 250, 300, 350, 400, 500, 600, 750, 1000, 1250, 1500, 2000 |
|
마. 파워 퓨즈
동일 모선에 2개 이상의 변압기 또는 간선이 분기되어 회로가 구성될 경우(신호용 변 압기 등) Power Fuse를 설치하여 사고시 파급을 줄이도록 한다.
바. 저압차단기
변압기 2차측 (Main) 및 저압 배전반의 각 간선회로(Feeder) 보호용 차단기는 대전류 간선 계통(800A 초과)에는 기중차단기(ACB)를, 소전류 간선계통 및 분기회로(800A 이하)에 는 배선용 차단기(MCCB)를 선정하고 있으며,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ACB
○ 차단 방식 : 기중차단
○ 극 수 : 3상 4선식일 경우 4극 적용
○ 작동 방식 : Motor Drive
○ 구 조 : 인출형, 단로부 보호용 안전 Shutter
○ 조작 전압 : DC 110V
○ 현장조작 및 감시 : 개폐 상태표시 (lamp)
Trip 상태표시 (lamp) 및 경보
○ 원격 감시 : Trip 상태 감시
○ 보호 기능 : OCR
② MCCB
○ 작동 방식 : 수동
○ 접 속 : 전면 접속
○ 보조 접점(필요시) : ON/OFF, Trip 상태
○ 현장 감시 : 개폐상태 표시 (lamp)
Trip 상태표시 (lamp) 및 경보
○ 원격 감시 : Trip 상태 감시
사. 누전 경보기
저압 배전반의 각 분기회로(간선 등)의 누전 상황 발생을 감시하기 위하여 누전 경보기 를 설치하고, 각 분기회로별 누전상태에 대한 누전 경보기 자체표시 및 누전경보기 동작에 의한 누전발생 여부를 역무실 조명 제어반에서 원격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아. 충전기
상시 제어전원 공급 및 축전지 충전용으로 충전기를 설치하고 있으며, 부동 및 균등 충 전 방식과 3상 전파정류 방식에 의해 DC 110V의 출력을 내도록 한다.
자. 축전지
기존의 연축전지의 단점인 가스발생, 과도한 자기방전, 주기적인 보액 보충 및 유지관리 의 문제점을 개선한 무보수밀폐형 연축전지와 방전특성 및 수명이 긴 알카리 축전지등이 선 정되고 있다. 근래의 정거장에서 채택되고 있는 것은 투자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무보수 밀 폐형 연축전지(중율형)가 대부분이나 앞으로는 알카리 축전지의 사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① 방전 시간 : 30분 이상
② 정격 전압 : 2V × 55 cell, 또는 1.2V × 92 cell
③ RTU 설비 용량, 비상등, 큐비클 조작 전원 등을 고려하여 용량을 선정하고 이상시 경보 발생 기능을 부가한다.
차. 접지단자반
접지단자반에는 일반적으로 제1종 접지단자, 제2종 접지단자, 제3종 접지단자, 특별 제3 종 접지단자(RTU용) 및 접지저항 측정을 겸한 예비 접지단자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감전 방지나 낙뢰 또는 서어지에 의한 전기 기기의 파손 방지등을 위해 각각의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반이다. 이 단자들은 지중에 매설된 접지극으로 대지와 낮은 저항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카. 전력 케이블
① 고압 차단기반 - 변압기반
6.6kV CV 고압 케이블(가교 폴리에칠렌 절연비닐시스케이블)을 사용하며, 변압기 용량을 기준하여 산출된 정격 전류에 전류 저감율을 고려하여 산출된 전류값을 6.6kV급 가교 폴리에칠 렌 절연비닐시스케이블의 허용전류 기준표(내선 규정 130-5)에 의하여 선정한다.
② 변압기반 - 저압 배전반 - MCC반(또는 조명 분전반)
600V CV 케이블을 사용하며 변압기의 용량을 기준으로 산출된 정격전류에 전류 저감율 을 고려하여 산출된 값을 허용전류 기준표(내선규정 130-1의 표 1-5, 1-6)에 의하여 선정한 다. 여기서 허용전류 기준표에 의한 규격이 250㎟를 초과할 때는 산출된 전류치의 50%를 허 용
전류 기준표에 적용시켜 동일 규격의 케이블을 2개 사용한다.
③ 상시 전원 인터록 결선
600V CV 케이블을 사용하며 상시부하 용량을 기준으로 산출된 정격전류에 전류 저감율 을 고려하여 산출된 값을 허용전류 기준표에 의하여 선정한다.
④ 저압 배전반 - 충전지반
600V CV 케이블을 사용하며, 충전기 용량을 기준으로 산출된 정격전류를 허용전류 기준 표에 의하여 선정한다.
⑤ 충전지반 - 축전지반
600V CV 케이블을 사용하며, 비상부하 전류를 산출하여 허용전류 기준표에 의하여 선정 한다.
⑥ 제어 전원용 배전반 - 고압 차단기반
600V CV 케이블을 사용하며, 고압 차단기반의 제어 및 큐비클내 소요전력을 기준으로 산출된 전류를 허용전류 기준표에 의하여 선정한다.
가. 고압(6.6kV) 계통보호
다음과 같은 이상 상태별로 보호계전기를 사용하여 계통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① 과부하 및 단락 : 과전류 보호계전기(50/51)
② 부족 및 무전압 : 부족전압 보호계전기(27)
③ 지 락 : 지락과전압 보호계전기(64), 지락방향 보호계전기(67)
나. 저압(380V) 계통보호
과부하 및 단락 보호용으로 ACB 또는 MCCB를 사용하였으며, 각 분기 회로의 누전감시 용으로 누전 경보기를 설치한다.
다. 변압기 보호
몰드변압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과부하 또는 이상상태 감시, 보호용으로 경보 접점부 디지 x털 온도계를 설치한다.
라. 충전 및 축전지 보호
① 과부하, 단락 : MCCB
② 축전지 과방전 : 부족전압 보호계전기
마. 감시 및 제어
고압(6.6kV) 계통의 차단기는 전력설비 중앙집중 제어감시 시스템에 수용하고, 변압기 온 도(허용범위 초과시) 및 저압 주차단기 trip, 누전 경보기의 동작 등은 각 정거장 역무실의 조 명설비 집중제어 감시반에 수용하여 감시하도록 한다.
① 고압(6.6kV) 계통의 원격제어 감시
전력(변전)설비 중앙 집중 제어 감시설비(SCADA)로 부터 원격제어 및 감시가 되도록 한다.
② 변압기의 원격감시
디지탈 온도계에 의해 변압기 허용온도 상한치 (경보접점)를 설정한다.
③ 저압(380V) 계통의 원격감시
○ 차단기(ACB) : trip
○ 누 전 경 보 기 : operated
④ 각 설비 및 기기는 전기실에서 직접 제어 및 표시와 현장/원격(LOCAL/REMOTE)등 제 어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원격 제어감시를 위한 회로구성 및 배선 연결용 단자 대를 별도 설치한다.
접지설비는 크게 나누어 공동 접지방식과 개별 접지방식이 있는데 공동 접지방식(mesh 등)의 경우는 접지 저항치를 2Ω 이하로 낮추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대체로, 정거장의 위치가 도심교차로 등에 위치하여 공동 접지방식을 채택하기에는 불리하므로 개별 접지방식을 채택한다.
가. 접지설비의 구분
(1) 제1종 접지
○ 고압기기 외함 및 철구 가대 접지
(2) 제2종 접지
○ 변압기 2차측(저압측) 중성점 또는 1단자
(3) 제3종 접지
○ 저압기기 외함
○ 저압기구 (콘센트 등), 케이블 트레이
(4) RTU 접지
RTU는 전기실과 변전소 기기중 원격 감시 및 제어 대상 기기를 전력 사령실에서 집중 감시제어하기 위한 현장 단말장치로서 이에 대한 접지는 접지극(봉)까지 전력계통 접지와 분 리하여 특별 제3종 접지로 공사하도록 한다.
나. 접지선의 인입
지하 정거장 및 본선 환기실의 접지설비는 접지극(봉)으로부터 지하 구조물내로의 접지 선을 인입함에 있어 구조물, 벽 등을 지하에서 직접 관통시 누수에 대한 문제가 있으므로 지 상으로 돌출되는 환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다. 접지선 연결
① 정거장내의 접지는 전기실(배전반) 접지모선으로 부터 분기하여 MCC 및 분전반 등의 접 지용 간선을 구성한다.
② 본선 중앙 환기실용 접지는 별도 구성해 주되 터널 배수 펌프실 등이 인접한 경우에는 접지 단자함으로 부터 분기하여 공용하는 것으로 한다.
라. 접지선 굵기
제1종 접지, 제2종 접지, 제3종 접지 및 특별 제3종 접지의 경우 접지선의 굵기는 다음
(표 2-2, 3, 4)와 같다.
(표 2-2) 제1종 접지
기 기 명 |
전 압 |
접지선의 굵기〔㎟〕 |
비 고 |
고압기기 외함 |
6.6㎸ |
60 |
접지모선 |
※ 전기설비 기술계산 H/B P1-489
(표 2-3) 제2종 접지
변압기 1상분 용량 |
접지선의 굵기 | |||
110V |
220V |
380V |
동 선 |
알루미늄 |
7.5 kVA까지 11 kVA까지 22 kVA까지 44 kVA까지 66 kVA까지 82.5 kVA까지 110 kVA까지 137.5kVA까지 |
11 kVA까지 22 kVA까지 44 kVA까지 82.5 kVA까지 137.5kVA까지 165 kVA까지 220 kVA까지 275 kVA까지 |
19 kVA까지 38 kVA까지 76 kVA까지 152 kVA까지 228 kVA까지 285 kVA까지 380 kVA까지 475 kVA까지 |
5.5㎟이상 8 ㎟이상 14 ㎟이상 22 ㎟이상 38 ㎟이상 60 ㎟이상 60 ㎟이상 100 ㎟이상 |
8㎟이상 14㎟이상 22㎟이상 38㎟이상 60㎟이상 80㎟이상 100㎟이상 125㎟이상 |
※ 변압기 1상분의 용량
① 삼상 변압기의 경우는 정격용량의 1/3의 용량
② 같은 용량의 단상변압기 3대로서 Δ결선 또는 Y결선하는 경우에는 단상변압기 1대 정격용량
※ 접지선 굵기는 최소 60 ㎟로 함.
※ 내선규정 140-5
(표 2-4) 제3종 접지 및 특별 제3종 접지
접지하는 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 배관 등의 저압전로 전원측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 중 최소의 정격전류용량 |
접 지 선 의 굵 기 | |
동 |
알 루 미 늄 | |
20A 이하 30A 50A 100A 150A 200A 400A 600A 800A 1000A 1200A |
1.6mm이상 2㎟이상 1.6mm이상 2㎟이상 2.0mm이상 3.5㎟이상 2.6mm이상 5.5㎟이상 8㎟이상 14㎟이상 22㎟이상 38㎟이상 60㎟이상 60㎟이상 100㎟이상 |
2.6mm이상 2.6mm이상 2.6mm이상 3.2mm이상 14㎟이상 22㎟이상 38㎟이상 60㎟이상 80㎟이상 100㎟이상 125㎟이상 |
※ 설계 표준은 동으로 적용 ※ 내선규정 140-3 |
마. 접지선 굵기의 산정
① 접지선의 온도 상승
동선에 단시간 전류가 흘렀을 경우의 온도 상승은 보통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I
θ = 0.008( ---- )²t θ : 동선의 온도 상승 〔℃〕
A I : 전류 〔A〕
A : 동선의 단면적 〔㎟〕
t : 통전 시간 〔초〕
② 계산 조건
접지선의 굵기를 결정하기 위한 계산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접지선에 흐르는 고장전류의 값은, 전원측 과전류 차단기 정격전류의 20배로 한다
- 과전류 차단기는 정격전류 20배의 전류에서는 0.1초 이내에서 끊어지는 것으로 한다
- 고장전류가 흐르기 전의 접지선의 온도는 30℃로 한다
- 고장전류가 흘렀을 때의 접지선의 허용온도는 150℃로 한다
( 따라서 허용온도 상승은 120℃가 된다 )
③ 계산식
먼저 계산식에 상기의 조건을 넣으면 다음과 같다
20 In
120 = 0.008 X ( ─── )² x 0.1
A
즉, A = 0.052 In
(여기서 In :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
(1) 사용자재의 규격과 치수는 도면과 시방서에 따랐나?
(2) 외벽, 인입구의 방수처리는 적절한가?
(3) 기기의 반출입 경로는 좋은가?
(4) 전기실 기기 상부를 통과하는 급·배수관은 없는가?
(5) 기기 시험제품은 시험 성적서를 받은 후 사용하였는가? ('시험성적서' 별도 관리)
(6) 큐비클의 설치상태는 양호한가? (높이, 위치, 수직, 수평)
(7) 큐비클 설치시 앙카볼트를 박았는가?
(8) 큐비클의 접지는 하였는가?
(9) 큐비클 노출 충전부의 높이에서 감전의 위험은 없는가?
(10) 전기실 trench 앵글 시공시 접지종별 단위로 이격 시공하였는가?
(11) 전기실 인·출입 케이블의 open hole에 방화막을 시공하였는가?
(12) 케이블, 전선은 설계 지시대로 시공되었는지?
(13) 케이블의 굴곡반경은 기준 이상인가?
(14) 단자 접속부의 테이핑, 단말처리는 완전한가?
(15) 케이블 상별 색상은 구별되었는가?
(16) 케이블은 지지되었는가?
(17) 케이블의 조영재 및 관통부 처리는 완전한가?
(18) pit내에서 고압 및 저압 케이블의 격리는 되었는가?
(19) 케이블의 회로별 표찰은 부착하였는가?
(20) 큐비클내의 청소 및 전기실의 정리 정돈 상태는 양호한가?
(21) 배전반 내부 각종 볼트의 조임 상태 및 공구류가 남아있지는 않는가?
(22) 전기실 주회로에 대하여 절연저항 측정여부? (기록유지)
(23) 변압기의 1, 2차측 단자의 조임은 완전한가?
(24) 변압기의 2차측 접지(E2)는 되었는가?
(25) 변압기 base의 접지(E1)는 되었는가?
(26) 모선과 TR의 접속 개소에 스프링 와셔는 끼웠는가?
(27) 큐비클내의 연결 bus bar는 잘 체결되었으며, 설치 간격은 적정한가?
(28) 파워 퓨즈의 type과 용량은 적합한가?
(29) PT, CT, DS, SA 등의 설치 방법, 규격은 적정한가?
(30) 전기실내 위험표시판은 설치되었는가?
(31) 큐비클과 벽, 기타 기기와의 간격은 적절한가?
(32) TR온도, 진공 소음상태?
(33) 각종 차단기(VCB, ACB, MCCB 등) 동작상태?
(34) 저압반 ELD 현시상태?
(35) 접지종별 분리가 잘되었으며 접지선의 굵기는 적절한가?
(36) 축전지의 종류, 용량은 설계와 일치하는지?
(37) 축전지 함내의 층수, 배열방법은 적절한가?
(38) 정류기의 절연저항 시험, 전압전류 측정시험은 했는지?
(39) 전기실 race way는 규격품이며, 수평으로 설치되었는가?
(40) race way에 접지는 연결되었는가?
(41) 각종 계전기의 시험 및 조정은 하였는가?
(42) 고압반 (DS반, VCB반, TR반) 외함접지(E1)는 되었는지?
(43) 저압반 외함접지(E3)는 되었는지?
(44) 기기의 변형 손상은 없는가?
(45) 문짝의 개폐, 시건장치는 양호한가?
(46) 전선관 인출구는 로크너트와 부싱으로 접속되고 그 마감상태는 양호한가?
(47) name plate, 회로표시도, 안전수칙 등 필요한 표식판이 규정에 따라 적정하게 설치됐나?
(48) 부품의 정격용량을 재확인했으며, 그 부착은 적정한가?
(49) 습기로 인한 절연저하에 대한 대책은 강구되었는가?
(50) 전선의 지지방법, 지지간격은 적정하며 쳐짐은 없는가?
(51) 지지애자는 규격과 형상이 양호하며 깨끗한가?
(52) 부하의 평형은 적정한가?
(53) 단말처리, 도전성 테이프, 차폐 테이프의 처리는 완전한가?
(54) 각종 소요시험 및 측정이 적정하게 실시됐고 그 기록은 보관 유지하고 있는가?
가. 수·배전반
(1) 주 모선의 접속상태 양호 여부
(2) 외관 청소, 청결상태
(3) 이상음 및 냄새 유무
(4) 단자 이완, 휴즈용단 유무
(5) 제어 스위치 기능 양부
(6) 배선의 손상 및 쥐 등의 동물 서식 유무
(7) 애자등 절연물의 균열, 파손, 오손 여부
(8) 경보 및 표시등 현시 양부
(9) 지시계기 기능 양부
(10) 보호 계전기 동작 및 오차시험
(11) 보호 및 조작 연동시험
(12) 접지 저항 측정
나. 단로기
(1) 주 회로의 단자조임 양부
(2) 접속부의 헐거움, 부품의 부식, 과열 흔적 여부
(3) 지지애자 균열, 파손 및 오손 유무
(4) 절연 이격거리 적부
(5) 개폐기 접촉 양부
(6) 코로나음 발생 유무
(7) 연결부 동작상태 양부
(8) 조작롯드의 기능 양호 여부
다. 차단기
(1) 주 회로의 단자조임 양부
(2) 개폐 동작 및 도수계 이상 유무
(3) 애자 붓싱의 균열 오손 유무
(4) 표시등, 표시기 현시 양부
(5) 진공밸브의 양부
(6) 이상음, 냄새, 과열 흔적 유무
(7) 조작기능 양부
(8) 차단기반내 습기 및 곤충 침입, 오손, 변형 상태 양부
(9) 완충기 기능 양부
(10) 활동부분 손상, 녹 발생 구리스 도포 양부
(11) 인터록 리미트 스위치 동작의 양부
(12) 개폐, 코일, 보조 접촉자 동작 양부
(13) 절연 저항 측정
(14) 개폐 시간 측정
라. 몰드 변압기
(1) 주 회로 단자조임 양부
(2) 외관, 권선, 철심, 몰드의 이상 유무
(3) 접속단자의 이완 손상 유무
(4) 탭 절환기 기능 유무
(5) 이상음 발생 유무
(6) 몰드(권선 포함) 및 스페이셔의 절연변색 균열 여부
(7) 온도계의 동작 양부
(8) 절연 저항 측정
마. 정류기
(1) 주 회로의 단자조임 양부
(2) 애자등 절연물의 오손 유무
(3) 표시기의 현시 양부
(4) 부속기기 가동부의 청결 유무
(5) 휠타 이물질(먼지) 및 반내 습기, 곤충 침입, 변형 등 이상 유무
(6) 퓨즈 및 다이오드 기능 여부
(7) 정류기반내 습기 및 곤충 침입, 변형 등 이상 유무
(8) LLR, 타이머 기능의 이상 유무
(9) 연결부의 이완 여부
(10) PT, CT 등 기능 양부
(11) 개폐 코일, 보조 접촉자 동작 양부
(12) 절연 저항 측정
(13) 정류기 특성 시험
바. 계기용 변성기
(1) 주 회로의 단자조임 양부
(2) 애자등 절연물의 파손 유무
(3) 계기의 동작상태 양부
(4) 절연 저항 측정
사. 피뢰기(LA 또는 SA)
(1) 주 회로의 단자조임 양부
(2) 애자의 균열, 파손 및 오손 여부
(3) 연결 케이블 및 외관상태 양호 여부
(4) 절연 저항 측정
아. 축전지 및 충전장치
(1) 축전지의 단자접속 이완상태
(2) 축전지의 외부 불순물 부착 및 전조균열 파손 여부
(3) 축전지의 체결볼트 부식 여부
(4) 축전지의 단자 전압 측정
(5) 축전지의 균등 충전 적정 유무
(6) 축전지의 온도
(7) 충전장치의 교류 입력전압 측정
(8) 충전장치의 직류 출력전압 측정
(9) 충전장치의 퓨즈용량 및 용단 확인
(10) 충전장치의 자동전압 조정장치 기능 양부
(11) 충전장치의 정류소자 파손 유무
(12) 충전장치의 절연 저항 측정
자. 구축물·기타
(1) 철구 가대의 녹, 부식 및 철구의 경사, 변형 및 볼트 이완 여부
(2) 기초 침하 및 균열, 누수 여부
(3) 피트, 구조물내 침수, 배수상태 양부
(4) 피트, 구조물내 동물 서식 유무
(5) 낙하물 여부 확인
(6) 예비품, 공구 등의 정리 및 정비상태 양부
(1) 사용자재의 규격과 치수는 도면과 시방에 따른 것인가?
(2) 접지봉의 매설위치 및 매설깊이는 적정한가?
(3) 접지봉과 전선은 크램프로 완전하게 접속하였는가?
(4) 접지선의 굵기는 설계대로 시공되었는가?
(5) 접지종별 이격거리는 10m 이상인가?
(6) 접지저항 측정결과 규정치 이상인가?
(7) 노출되는 접지계통의 경우 적절한 보호가 됐는가?
(8) 본딩되는 곳은 연속 접지 저항값이 나오는가?
(9) 접지계통 접속이 접속재 제조자의 지시서에 따라 양호한 접속이 됐는가?
(10) 매립되는 접지계통이 실용적인 접지가 될 수 있게 적정하게 시공하였는가?
(11) 접지극은 페인트, 구리스 등이 묻지 않았으며 깊게 박았는가?
(12) 시공도면에 접지종별 시공위치, 시공 연월일 표기여부? (기록유지)
(13) 타분야(건축, 기계, 신호, 통신 등)에서 설치한 장비라 할지라도 전기를 사 용하는 각종 장비류의 접지시공
상태를 점검하고 미비 사항이 있을 경우 에는 기준에 적합하게 보완 시공되었는가? (결과는 기록유지)
- 확인 대상 : 전기를 사용하는 기계, 기구의 철대, 금속제 외함 및 금속제 프레임 등
(예시)
접지 시공상태 점검 대상 장비(설비)명 : AFC관련장비, 공중전화, 전기온수기, 휠 체어 리프트,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고압기동반에서 고압냉동기까지, 자동휠 터 제어반에서 전동기까지, 진공청소기 제어반에서 전동기까지, 직팽식공조기 제 어반에서 전동기까지, MCC반에서 댐퍼용 분전반 및 전동기까지, 역무실 분전반에 서 각종 제어반까지, 출입구 외등, 정거장 안내판, 기타장비 등으로 개별장비별 확 인 기록.
가. 지하철 조명의 분류
(1) 역사의 조명
환경 조명, 이용자·승객 안전 및 유도 시스템, 연출 조명 등으로 분류된다.
(2) 차량기지, 터널의 조명
운전업무, 보수 종사자를 위한 조명이다.
(3) 기타 : 전동차량내의 조명
환경 조명, 정보 서비스를 위한 조명이다.
나. 역사조명의 기능
지하철 역사조명의 역할이 증대되어 쾌적성과 편리성이 요구되는 역문화를 창조하는데 있다. 그리고 역조명에 의해 지하공간을 빛의 제공으로 밝음(明)과 미관을 구현하고 이용시 민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함은 물론 안락하고 청결한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있다.
다. 역사의 조명설비 역사는 시대가 발전되어감에 따라 규모, 내용 등이 변화되어가며 승객이 체류하거나 이 동하는 공간의 개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역사조명은 역사내에서 넓은 중앙홀과 대합실, 승 강장 및 이들의 연결통로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1) 역출입구, 대합실(concourse)의 조명
외광(外光)을 받고 있는 출입구 부분은 내부로 이동하면서 밝음의 차이에 순응(Adaptation) 하도록 시설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곳의 조명방식은 매입형광등 또는 다운라이트 등을 사용 하여 공간휘도를 낮춰야 하며, 대합실(또는 중앙홀) 부분은 승객이 매표창구, 자동발매기,
개집 표구 등 목표 장소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공간으로 고 천정(오픈스페이스 아치형)인 경우도 있으며 대부분 높은 조도가 요구되어 등
기구가 많이 소요되므로 보수가 용이한 방법을 검토한 다. 이 장소에서는 휴식, 만남의 장소로도 이용되므로 쾌적한 환경이 요구되며, 주위와 조화를 이루는 조명기구의 디자인과 연색성을 고려한 광원의 선택이 중요하다.
(2) 매표창구, 자동발매기의 조명
매표창구, 자동발매기에서는 단시간에 승차권과 현금이 정확히 수수되도록 적정한 조명 을 강구하여야 하며, 특히 이용자에게 광원에 의한 글래어(glare)가 없도록 배려하고 다운라이트 등으로 고감도 국부조명 방식이 효과적이다.
(3) 개집표구에서 승강장(platform)
개집표구를 통해서 승강장까지 통로 또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행중인 승객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행선지 안내 표지판(Sign Board)을 보행중에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조명기구에서 글래어가 생기지 않도록 배광을 위해 취부 위치를 고려하여야 한
다. 승강장에서는 고조도 및 균제도를 유지하여 안전성의 확보가 가장 중요하며 승강장의 폭은 좁고 긴 피조면이므로 가능한 한 형광등을 연속배열로 설치한다. 고가 구조의 역사는 야간 조명에 메탈할라이드등과 같은 HID램프의 사용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승강장 측의 밝 기는 전동차량내의 밝기(객실상면 75㎝ 지점에서 평균조도가 250㏓ 이상 확보)를 고려하여 차량 내부보다 약간 낮은 조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4) 역의 연출조명
특별히 주변의 배경과 개성을 고려한 이미지(Image)역 등은 건축 설계자와 충분히 협의 하여 건축화조명으로 연출하여 각각의 특색을 강조하도록 한다.
라. 차량기지와 터널내의 조명설비 차량기지에 있어서는 조명방식에 특이한 문제는 없으나 검사, 보수업무에 종사하는 기술자들에게 글래어등으로 인한 장애가 없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기지내 야드 조명은 안전확 보를 위해 메탈할라이드등과 같은 투광기 방식이 전력 절감과 연색성 향상 측면 및 지상 신호등 색과의 구별이 용이하므로 주로 선정되고 있다.
터널내의 조명설비는 전동차 승무원의 신호등 식별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취부위치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유지보수 측면에서 고효율 장수명의 광원과 내식성 조명기구가 좋 으며 일반적으로 형광등기구(방우형)로 설치하고 있다. 전원은 터널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인접역사에서 공유하며 역사 인근 100m까지는 10㏓, 기타 구간은 5㏓정도를 유지하도록 시 설하고 일정한 구간마다 유지보수용 콘센트를 설치한다.
가. 광원과 조명의 고찰
조명설비의 고찰은 일반적으로 밝으냐, 어두우냐를 말하는 것으로 그 부분에서 눈으로 들어오는 광속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써 그 밝기에 근원이 되는 것은 광원이다. 광원에는 태양이나 달과 같이 자연광원과 백열등, 형광등 및 HID등 등의 인공광원이 있다. 조명을 생 각할 때에는 밝기외에 주위의 환경이나 용도에 적합한 조명인지를 같이 생각하는 것이 중요 하다.
(1) 좋은 조명의 조건
충분하고 얼룩이 없는 밝기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눈부심이 없고 광색이 좋으며 발열이 적어야 한다. 그리고 환경에 적합한 디자인이고 경제적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역조명, 공장 조명, 사무실 조명 및 일반건물 조명등 각기 환경이나 용도에 적합하게 고려하여 설비되어야 한다.
나. 설계 일반 절차
지하철 역사조명은 건축 도면 입수후 다음의 순서에 의하며 조명 설계가 진행된다.
(1) 광원의 선택
연색성, 글래어(눈부심), 유지보수 및 경제성(효율)등을 감안하여 역사내 일반조명은 형광 등을, 고천정 등 특수장소에는 메탈할라이드등을 선택하고 기타의 경우 백열등을 선택한다.
(2) 조명기구의 방식 선택 건축천정 마감재와 관련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건축설계 경향이 간접조명방식인 건축화조 명으로 유도하고 있으나 효율 및 경제성을 감안하여 일반적으로 직접조명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3) 필요한 조도의 결정
역사내 각 장소별 기준조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KS, JIS, 일본영단 및 지하철공사 등의 기 준을 참조한다. (표 3-1 참조)
(4) 실지수(room index)의 결정
방의 크기와 형체에 의하여 계산되는 값으로 다음 식을 적용한다.
방의 폭 × 길이
·실지수 = -----------------------------
광원의 높이(방의 폭 + 길이)
(5) 조명율의 결정
건축 내장재(천정, 벽면, 바닥 등)의 재질이나 색상에 대한 반사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건축설계 공정상 현실적으로 내장 마감재는 변경 요인이 많아서 최종단계에 확정됨에 따 라 별도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표 3-4 참조)
(6) 감광보상율(또는 보수율)의 결정
발산 광량의 감소, 유리구 내면의 흑화, 기구 및 반사면의 먼지, 오염 및 화학적 변질 등 을 감안하여 여유를 취하는 정도로서 장소에 따라 임의적으로 상, 중, 하로 구분 적용한다.
(표 3-5 참조)
(7) 광원 크기의 계산(소요 등기구 산출)
AE
N = ---------
FUM
N : 등기구의 수(광원의 수) U : 조명율
A : 방의 면적〔㎡〕 F : 광원(등기구) 1개당의 광속〔lm〕
E : 평균 수평면 조도〔㏓〕 M : 보수율
(8) 기구 배열 및 기타
기구 배열, 배치 및 조도 분포 등을 검토하고 점멸방법과 스위치 위치 및 배선 설계에 관 한 사항은 건축물 구조를 고려하여 적용시킨다.
가. 역사의 등급과 조도기준
역사의 하루 이용객수에 의한 등급의 구분과 각 장소별 조도기준은 (표 3-1)과 같다
(표 3-1) 역사의 등급과 조도기준
구 분 장 소 |
조 도 기 준 〔lx〕 |
비 고 | ||
A급 역사 |
B급 역사 |
C급 역사 | ||
하루 이용객이 15만명 이상인 역사, 환승역사, 상가조성역사, 이미지역사 |
하루 이용객 1만이상∼15만명 미만인 역사, 지상 역사 |
하루 이용객 1만명 미만인 역사 |
·KS A3011의 근거를 준용하여 선정 ·바닥의 수평면조도 | |
승 강 장 |
250 |
200 |
150 |
|
중앙홀, 대합실 |
400 |
300 |
200 |
|
개집찰구, 매표구 |
700 |
500 |
300 |
국부조명 |
출구계단, 직원통로, 출구 |
200 |
200 |
200 |
|
세면장, 화장실 |
150 |
150 |
150 |
|
역 광 장 |
30 |
20 |
15 |
|
사무실, 역무실, 안내실 |
300 |
300 |
200 |
|
방송실, 회의실, 신호취급실 |
300 |
300 |
300 |
|
신호·통신기계실, 전기실 |
200 |
200 |
200 |
|
펌프실, 환기실 |
150 |
150 |
150 |
|
비 상 등 |
2 - 5 |
2 - 5 |
2 - 5 |
|
터 널 조 명 |
5 - 10 |
5 - 10 |
5 - 10 |
|
나. 조명설계 적용기준
조명설계에 있어 적용되는 각종 기준 즉, 광원의 광속의 경우 백열등과 형광등은 (표 3-2), 고압방전등은 (표 3-3)에 나타냈고, 조명율은 (표 3-4), 보수율은 (표 3-5), 그리고 반사율은 (표 3-6)에 나타냈다.
(표 3-2) 백열등 및 형광등의 광속 기준
형 식 |
구 분 |
광속기준〔㏐〕 |
비 고 |
IL 60W |
220V |
630 |
- 사용전압 220V 기준 - 2등용 형광등 기구의 광속은 1등용의 2배임 - 적용 FL 32W 래피드 : 온백색기준 FL 20W : 주광색기준 |
IL 100W |
220V |
1,250 | |
IL 200W |
220V |
2,920 | |
FL 20W/1 |
스타터형 (온백색) |
1,160 | |
FL 20W/1 |
스타터형 (주광색) |
1,010 | |
FLR 32W/1 |
래피드형 (주광색) |
2,900 | |
FLR 32W/1 |
래피드형 (백 색) |
3,100 | |
FUL 26W |
220V |
1,710 |
(표 3-3) 고압 방전등 광속기준
( KSC 7607, 7610 ) | |||||
형 식 |
구 분 |
광속기준〔㏐〕 |
형 식 |
구 분 |
광속기준〔㏐〕 |
MH 70W |
전용안정기 |
4,500 |
NA 50W |
전용안정기 |
3,000 |
MH 100W |
전용안정기 |
6,500 |
NA 100W |
전용안정기 |
9,000 |
MH 175W |
전용안정기 |
14,000 |
NA 150W |
전용안정기 |
14,000 |
MH 250W |
전용안정기 |
20,500 |
NA 200W |
전용안정기 |
20,000 |
MH 400W |
전용안정기 |
34,000 |
NA 250W |
전용안정기 |
25,000 |
MH 1000W |
전용안정기 |
88,000 |
NA 400W |
전용안정기 |
46,000 |
* 사용전압 220V 기준
* 투명 타원형 기준
(표 3-4) 조명율
구 분 |
조 명 율 |
비 고 | |||
대합실 |
승강장 | ||||
일반형 |
고조도형 |
일반형 |
고조도형 | ||
하면개방형 |
0.50 |
0.55 |
0.40 |
0.44 |
* 건축 내장재가 특수 처리 되는 경우에는 별도 검토 |
루바천정 |
0.29 |
0.32 |
0.22 |
0.24 | |
그릴마감 |
0.44 |
0.48 |
0.36 |
0.39 |
* 기능실의 조명율은 실지수 및 마감 재질의 반사율에 따라 조명율표의 조명율을 적용함
(표 3-5) 보수율 (maintenance factor)
장 소 |
등 기 구 |
보 수 율 |
대합실 및 통로, 매표실, 역무관리실, 휴게실, 침실, 탈의실, 용역대기실, 통신기계실, 식당, 화장실 |
형광등, 매입하면개방형 |
0.70 |
승 강 장 |
형광등, 매입하면개방형 |
0.65 |
신호기계실, 창고, 전기실, 물탱크실, 환기실 |
형광등, 파이프 펜단트형 |
0.70 |
샤 워 실 |
백열등, 직부형, 펜단트형 |
0.55 |
계 단 |
형광등, 직부형(투명아크릴 카바부) |
0.66 |
주 방 |
형광등, 매입형(투명아크릴 카바부) |
0.62 |
터널 환기실, 집수정 |
형광등, 파이프 펜단트형 |
0.62 |
(표 3-6) 반 사 율
마 감 재 |
반 사 율〔%〕 |
비 고 |
플러스터(백색), 타일(백색), 크롬(마), 알루미늄(전해연마), 수성페인트, 유성페인트(백색), 법랑(백색), 석고(백색), 백색벽지, 유리블럭, 스테인레스, 백색 메라민, 락카 |
70 |
|
노송나무(백색), 짙은젖색 무구유리, 알루미늄판(무광), 스테인레스, (백색커튼)대리석, 인조석, 유백색유리, 동판, 강철 |
50 |
|
슬레이트, 콘크리트, 함석, 삼목, 육송, 졸참나무, 베니어, 하드너, 화강석 |
30 |
|
빨간벽돌, 흙, 아스팔트, 투명유리, 페인트(흙색), 리뇨륨(색커트) |
10 |
|
가. 조명방식
조명회로는 AㅗB회로로 구분하며 1/2 격등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심야의 비영업 시간에 보 안등으로 최소한의 조명이 필요한 개소(대합실·승강장·출입구)에는 AㅗB회로와는 별도로 C회로를 구성하여 조도 20∼30 lx를 유지하여 절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출입구부는 주야, 격등 조명할 수 있도 록 회로를 별도로 구성한다.
승강장과 대합실 출입구의 조명회로는 현장 수동 조작과 역무실에서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 록하고, AㅗB 분기 회로별, 그룹별 또는 전체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표 3-7) 조명회로의 점등 방식
구 분 |
점등·점멸 방식 |
비 고 | |||
원격제어식 |
자동점멸기 |
텀블러스위치 | |||
일반조명 |
승 강 장 |
전 부 |
- |
- |
|
대 합 실 |
전 부 |
- |
- |
| |
통 로 |
전 부 |
- |
- |
| |
계단출입구 |
일 부 |
일 부 |
- |
| |
기타기능실 |
- |
- |
전 부 |
| |
기타 |
광고용간판 |
전 부 |
- |
- |
|
비 상 등 |
- |
- |
- |
비상시 자동절체 |
나. 조명기구 선정
형광등기구는 래피드 스타트식을 사용해 오고 있었으나 최근 전자식 안정기의 발달로 이의 채택이 시도되기도 한다. 형광등기구는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램프노출형을 원칙으로 하고 대합 실(통로 포함), 승강장, 역무실 등은 고조도 반사갓을 사용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를 기할 수 있도록 한다.
고천정 역사는 광원의 배광을 고려하여 메탈할라이드등을 사용하고 고천정 통로 부분은 유 지관리에 용이하도록 가능한 벽부형 형광등으로 건축미관을 고려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역무 종합관리실, 매표소 등 VDT(video display terminal)를 사용하는 장소는 눈부심과 glare 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라보릭 루바를 사용하며 장소별 사용 조명 등기구 형식은 다음 (표 3-8)과 같다.
(표 3-8) 장소별 조명기구의 형식
장 소 |
조 명 기 구 종 류 |
등 기 구 형식 |
대합실(통로 계단 포함) |
형광등 및 메탈할라이드등 |
매입하면개방형 (고조도 반사갓) |
승강장(통로 계단 포함) |
형광등 및 메탈할라이드등 |
매입하면개방형 (고조도 반사갓) |
역무 관리실 계통 |
형 광 등 |
파라보릭 루바형 (고조도 반사갓) |
기계실 및 전기실 |
형 광 등 |
파이프 펜던트형, 레이스 웨이형 |
식당 및 주방, 통신 및 신호기계실, 침실 |
형 광 등 |
매입하면개방형 |
화장실, 창고 |
형광등 및 백열등 |
매입하면개방형, 다운라이트형, 파이프 펜던트형 |
계단(출입구 포함) |
형광등, 백열등, 메탈할라이드등 |
매입하면개방형, 벽부형, 노출형 HID (휘도저감 간접 조명형) |
고천정 통로 구분 |
형광등 또는 나트륨등 |
벽부형 |
터 널 |
형광등 또는 메탈할라이드등 |
벽부형 (방습 및 방진구조) |
가. 비상 조명설비
AC 상시전원 정전시의 혼란을 방지하고 대피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축전지 전원(DC 110V)을 이용한다. 건축법, 소방법 등 관련 법규에 준하여 시설하며 조도 기준은 대합실, 승강장, 주통로, 전기실 등은 5㏓로 하고 기타 개소는 2㏓로 한다. 그리고 등기구는 백열등 60W 다운라이트 또는 파이프 펜던트형 등기구를 사용한다.
나. 광고등 및 안내등용 전원설비
유조명 광고판의 전원공급은 분전반에서 하며, 광고판 설치 예상장소의 벽(천정하부 30cm)에 노출형 콘센트를 설치해준다.
광고 안내등은 소형(FL 20W x 4)인 경우 1회로당 8 ∼ 9개 정도, 대형(FLR 32W x 6)인 경우 1회로당 4∼5개 정도로 전원을 공급하며, 광고등 및 안내등 회로는 역무 종합관리실에서 원격 제어하도록 한다.
다. 터널 조명설비
열차를 안전하게 운행시키기 위해서는 선로의 보수는 항상 완전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 에 유지보수요원의 면밀한 순회검사와 정밀한 보수작업이 필요하며, 모든 선로내 작업은 야간작 업이 된다. 열차의 운행 간격이 짧은 주간 작업에는 순회검사 뿐이지만 터널안에서의 조명설비는 낮에도 승객의 피난 유도상 또는 보안상 필요한 설비이다. 또 보수작업에는 국부조명이나 전동 공구용의 콘센트(3상 380V, 단상 220V)가 필요하게 된다.
(1) 기본조명
차량 운전자가 전방의 장애물을 확인하는 데에 필요한 기본적인 조명으로서 전체에 걸쳐 FLR 32W/1 또는 FL 40W/1 등기구로 설치하여 도상면의 수평면 조도를 5∼10lx 정도 유지하기 위하여 20m 간격으로 상하행선 측면에 지그재그 배열로 하고 있다.
(2) 역사 인근 조명
지상과 지하, 역사와 터널로 이어지는 부분은 조도의 변화가 심하므로 차량 운전자의 순응 현상을 감안하여 역사 시 종점부에서 터널부분 100m까지는 조도를 상향시키기 위해 10m 간격으 로 지그재그 배열(10∼20lx)로 설치한다.
(3) 터널 입 출구 조명
지상에서 지하로 이어지는 구간에서는 형광등의 경우 동절기 기온 저하로 인하여 점등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메탈할라이드등과 같은 HID램프로 설치하되 입출구부의 순응과 글래어를 감안하여 등을 배치한다.
(4) 유치 및 대피선 구간 조명
유치선 및 대피선 구간의 조명은 필요시 차량을 점검할 수 있도록 조도를 본선 타 부분보다 약 간 높게 (약 20lx 이상) 유지시키기 위해 증설하고 추가로 국부 조명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역사 가까운 측에 별도 스위치 및 작업용 콘센트를 추가하여 설치한다.
원형 터널 분기 배관은 PVC 전선관으로, BOX 터널은 PVC 전선관 또는 금속관으로 1.5m 이하 마다 파이프 크램프로 견고히 지지하고 조명기구는 별도 구조의 형광등 지지대로 견고히 부착한다.
(5) 지상부분 조명
열차의 안전 운행 및 궤도 보수 등을 고려하여 지상부분의 조도를 5-10lx 정도로 전차선 지지 물을 이용하여 투광기(메탈할라이드등)를 설치한다.
(6) 전원공급
당해 정거장과 인접 정거장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라. 차량기지 조명 (사무실, 공장, 기타) 사무실, 공장 등의 조명은 능률적으로 일을 하고, 피로가 적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는 차분하고 명쾌한 기분, 정신이 집중되는 느낌, 따뜻함, 서늘함, 그밖에 맑은 감각 등 여러가지 요구 가 생긴다. 이것들에 대하여는 작업의 종별, 실내의 천정, 벽, 기둥 등의 위치, 재질 및 색깔 등 제 조건을 고려하여 조명은 어떻게 하는가가 결정되지만 전기용량, 경제적인 제한도 조명시설을 종합적으로 구상하는 데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차량기지내 각 장소별 적용하는 조도기준의 값을 (표 3-9) 에 표시한다.
(표 3-9) 차량기지 조명 조도기준
장 소 |
소 요 조 도 〔㏓〕 |
비 고 |
사무실, 회의실, ATC 작업실, 식당, 주방 |
300∼200 |
|
일반작업실, 예비실, 소수선실, 신호통신기기실, 현관, 홀 |
200 |
수위실 포함 |
현장초소, 수선공장, 갱의실, 숙직실, 검사고, 피트안, 기취실, 창고, 화장실, 탈의실 |
150∼75 |
|
복도, 욕실, 세탁실, 건조실, 콤푸레사실, 급전실, 보일러실, 급탕실, 자동차차고, 유류고, 비상기계실 |
200∼100 |
|
구내 (검차구역, 공장) |
150 |
|
옥상·옥외 |
10∼5 |
야드조명 (옥상은 필요시) |
(1) 사무실 조명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① 충분히 높은 조도를 주어야 한다.
② 손그늘로 어둠이 생기지 않을 것.
③ 책상과 주위와의 조도차가 적을 것.
④ 광원을 직시하여도 눈부심을 느끼지 않을 것.
⑤ 조명기구는 건축물에 잘 조화되고 관구의 바꿈이나 청소가 용이할 것.
(2) 공장, 검사고 조명
공장에 있어서의 조명은 작업자의 재해 방지, 피로 감소, 환경의 쾌적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작 업능률의 질적, 양적 향상을 고려한다. 특히, 특수 조명으로는 검사고, 피트내 조명이나 또는 고천정 공장의 칵테일(혼합형) 조명등 여러가지 방식을 검토하여 선정한다.
(3) 차량기지 야드조명
차량기지는 광범위한 지역에 전차선로등의 시설물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어 조명시설에 많은 제약이 따르므로 타 시설물과의 간섭 및 운전자의 시각장애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분산 집중조명 방 식(high master, tower, pole 등)으로 5∼10㏓의 조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가. 제어 방법 비교
전기 설비중 조명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기 위하여 조명제어 장치의 설치를 검토한다. 각 기능실은 사람이 항시 근무하는 곳이므로 각 실마다 개별 스위치를 설치하여 점멸(ON-OFF)할 수 있도록 하며, 대중이 운집되어 있는 대합실 및 승강장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면 (표 3-10)과 같다.
(표 3-10) 조명제어 비교
구 분 |
분전반에서 MCCB 조작 |
역무실에서 ON-OFF 원방조작 |
설치방법 |
⼒ 분전반의 분기 회로용 MCCB를 설치 ⼒ 근무자에 의해 해당 MCCB를 순회 조작 |
⼒ 분전반의 분기회로용 MCCB 2차측에 relay 및 terminal unit를 설치 ⼒ 분전반과 중앙 제어 장치 사이에 제어선 설치 ⼒ 역무관리실에 중앙 제어 장치 설치 |
공 사 비 |
적 다 |
많 다 |
나. 제어방법 적용 추세
열차 비운행 심야 시간에 조명 점등 관리 인원의 절감 효과 및 불필요한 점등요인 제거로 인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는 원방(역무실) 조작 방식이 채택되고 있으며 이 설비의 구성, 기능 등에 대하여 기 설치 운영중인 한 모델의 예로 부터 살펴본다.
(1) 구 성
main control panel, 현장설비 그리고, 전용 data 전송회선으로 구성된다.
① main control panel (이하 MCP)
○ 상태 집중 감시용 LED panel
○ 제어용 switch board
○ program 입력 및 변경용 key S/W
○ data 처리용 microprocessor
○ 상태 확인 및 program 입력용 LCD monitor
○ 경보 장치
○ 현장과의 data 송수신 장치
○ 외함
② 현장 설비
○ data 송수신용 terminal unit (이하 T/U)
○ 조명설비 개폐용 REMOCON relay
○ control source 용 TR
③ data 전송회선 및 방식
○ 2심 전용 신호선 (CVV-S 2㎟ 2C)
○ 다중 전송방식
(2) 기 능
① 다중 전송방식에 의한 전송로를 통하여 다수의 제어 대상 조명기구를 group별, zone별 또는 전체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② 대상 조명기구 전체의 점. 소등 상태가 각각의 램프 표시부에 의해 MCP에서 한눈으로 집중제 어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주조작반의 LCD monitor에 의한 각각의 점·소등 및 동작 상태등이 menu에 의한 대화 형식 으로 간단히 ten-key에 의해 확인 수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④ 용도와 시간에 따라 조명 설비의 schedule 및 pattern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⑤ 1일 중 time schedule 및 일간, 주간, 연간 schedule을 자동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
⑥ local (분전반)에서도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⑦ 상용 단상 220V 전원에 의해 system운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⑧ 각 제어 기기(REMOCON relay)는 MCP와 T/U 간에 다중 전송방식에 의한 2심의 전용 신호선(CVV-S 2㎟ 2C)으로 제어기기의 수량에 관계없이 병렬로 연결하여 제어감시를 위 한 data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⑨ 전기실 몰드 변압기의 온도상승(1-point), ACB의 trip(1-point), ELD의 동작(1-point)으로 인한 무전압 접점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 표시와 경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3) 구조 및 설치
① main control panal (MCP)
벽면 취부 cabinet 형으로 감시 및 제어용 장치는 전면에 설치한다. 각 장치는 보수점검 및 확장 변경이 용이하도록 rack에 unit 단위로 조립하고 cabinet는 습기 및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진구조로 제작한다. MCP는 역무종합관리 설비와는 system구성이 독립되어 있으나 역무원이 종합감시 운용이 용이하도록 역무실 내에 별도로 배치하여 설치한다.
② 현장기기
조명제어 및 감시용은 분전반 내에 전력기기와 구분하여 설치하고, 전기실 감시용도 전기 실의 저압 배전반(ATS-1 panel)내에 전력기기와 구분하여 설치해 준다.
다. 감시 및 제어대상
① 조명 설비
외부 출입구, 대합실, 통로, 승강장, 개찰구 유도등, pole sign, 광고등 등이다.
② 전기실 설비
변압기 온도상승(온도계 경보 접점동작), 저압 차단기(ACB) trip, 누전경보기(ELD) 동작 등이다.
가. 조명설비의 에너지 절약 대책
건축화조명이 불가피하게 적용되는 장소 이외에는 일반적인 직접조명방식을 채택하여 조명율 향상(간접방식 대비 약 40% 증가)과 유지보수 용이로 작업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한 다. 등기구의 반사율을 향상시킨 고효율 반사갓을 채택하므로서 등기구 설치 소요수량을 절감 하도록 한다. 승강장, 대합실, 통로 등 낮에 한산할 때 부분적으로 절전회로를 설정하여 운용할 수 있는 조명점멸 원방제어방식의 채택 및 심야에 기저회로 분리로 사용량 절감을 도모하므로 서 심야 50% 점등시 대비 약 75% 정도의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또, 등기구로서 초절전형 32W의 형광등과 고효율 절전형 안정기를 채택하여 실사용량의 절감을 도모한다. 광고, 간판 조명회로에는 원격점멸 또는 타임스위치를 설비하여 점등시간 제어를 시행하는 절전대책 등이 있다.
나. 조명설비의 장래 전망
도심 개발 등으로 도시 교통 수요가 증가하여 지상교통 수단으로는 심각한 교통난을 해 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지하 도로 개설이나 새로운 지상 교통 시스템의 개발에도 여건상 많은 제한이 있어 신속하고 대량 수송 능력을 갖춘 대중교통 수단인 지하철을 지속적으로 건 설해 나가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비단 서울 뿐만이 아니라 지방 대도시도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미 지하철 건설에 착수하였거나 운영중에 있다. 이처럼 많은 교통 인구의 이용도가 점차 높아질 지하철도의 시설중 역사는 지하철의 얼굴로 그 도시의 문화 집산의 거점으로서 다양화, 다면화한 기능 개발이 예상되며, 이에 부응하기위하여 다양한 조명기구와 설계수법의 조화(combination)는 물론 조명기구의 형태도 주변환경과의 조화까지 감안한 토탈 디자인(total design)의 기반위에서 발전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콘센트의 설치높이는 바닥 마감면에서 콘센트 중심까지의 높이가 300㎜, 특수 기능실은 500㎜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콘센트 회로는 전등회로와 분리(터널은 제외)시키며 회로에 사용하는 전선은 최 소 IV 2.0mm와 접지용은 IV 1.6mm를 사용한다.
가. 회로의 용량
1개 회로의 정격이 15〔A〕를 넘지 않도록 시설한다.
(1) 일반 콘센트 : 150 (VA/개)
(2) 터널 콘센트 : 4,500 (VA/회로)
○ 3상 4선식 동력 380V 3,000VA
○ 단상 2선식 일반 220V 1,500VA
나. 콘센트의 설치기준
① 역무실, 매표소, 기타 사무실에는 10m2 마다, 전기실, 기계실, 기타에는 20m2마다 1개의 비율로 설치하고 최소 2개를 설치토록 한다.
② 대합실 및 승강장은 30m를 기준으로 설치한다. (계단 및 환승 통로 포함)
③ 접속할 부하용량이 명백할 경우에는 해당 부하의 정격전류를 계산하여 적정한 숫자로 설치한다.
④ 자판기용 콘센트는 전용회로로 설치한다.(냉, 난방기기 및 취사용 기기 포함)
⑤ 수구의 구분은 다음과 같이 한다.
- 일반 전열 : 2P 15A 300V (220V용) 2구, 접지극부
- fan용 전열 : 2P 15A 300V (220V용) 1구, 접지극부
비상 콘센트는 화재 발생시 조명 또는 동력을 사용하기 위한 방재설비의 일부로서 전원용 전 선은 600V HIV 또는 FR-8 전선을 사용한다.
① 비상 콘센트 : 13,500 (VA/회로) - 3개소 이상 10개 미만으로 구성
○ 3상 4선식 동력 380V 3,000VA ( * 3개소 적용)
○ 단상 2선식 일반 220V 1,500VA ( * 3개소 적용)
② 설치장소 : 대합실, 출구 부분 및 승강장에 설치하며 비상 콘센트 설비는 소방법에 의거 단 상 및 3상 콘센트 1개씩과 단상용, 3상용 MCCB 1개씩을 조합하여 구성한다.
③ 간선 계산은 하나의 전용 회로에 비상 콘센트가 3개 이상인 경우는 3개 용량을 합한 용량으로 선정한다.
가. 기동방법
(1) 정격출력 11kW 미만은 직입 기동방식으로 한다.
(2) 정격출력 11kW 이상은 Y-△ 기동방식 또는 저압 리액터방식(약 37.5kW 이상)으로 한다.
(3) 정격출력 90kW초과의 고압전동기는 고압기동장치로 운전되도록 한다.
(4) 본선 환기용전동기는 가역 운전되도록 하여 본선 화재시 배연이 가능토록 한다.
나. 역률개선
역률개선용 콘덴서는 모선측에 집합 설치방식과 개별 부하측에 설치하는 방식이 있으나, MCC(기 동기반)의 각 부하측 단자에 개별로 설치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전원 모선측에 집합 설치하는 방 식보다 전력손실 및 간선 굵기 등을 줄여 경제적인 시설이 되도록 하며, 부설용량은 역률을 90% 이상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1) 콘덴서 용량 산출 계산식
여기서, QC : 콘덴서 용량 〔kVA〕
C : 콘덴서 용량 〔㎌〕
COS θ1 : 개선전 역률
COS θ2 : 개선후 역률
π : 3.14
f : 주파수 (60Hz)
E : 정격전압 〔V〕
P : 전동기 용량 〔kW〕
(2) μF 와 kVA과의 관계
○ 정격전압 220V의 경우 1 kVA당 정격 정전용량
○ 정격전압 380V의 경우 1 kVA당 정격 정전용량
각 전동기의 입력 부하를 정하는 데에는 역률 및 효율을 전동기 형식별로 파악(KSC4202, 4203)하 여 환산하는 방법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내선규정 305-1(부록3-3)의 규약전류를 기준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표 3-11) 전동기 용량별 분기회로의 굵기
전동기〔㎾〕 |
규약전류〔A〕 |
여유율(배수) |
적용허용전류〔A〕 |
CABLE의 굵기 및 최대긍장 |
비 고 | |
CV | ||||||
SIZE〔㎟〕 |
최대긍장〔m〕 | |||||
0.1 |
2.3 |
1.25 |
2.87 |
3.5 |
192 |
1φ 직기동 |
0.2 |
3.3 |
〃 |
4.12 |
〃 |
105 |
1Φ 직기동 |
0.4 |
5.1 |
〃 |
6.37 |
〃 |
68 |
1Φ 직기동 |
0.75 |
2.53 |
〃 |
3.16 |
〃 |
273 |
3Φ 직기동 |
1.5 |
4.21 |
〃 |
5.26 |
〃 |
164 |
3Φ 직기동 |
2.2 |
5.84 |
〃 |
7.3 |
〃 |
118 |
3Φ 직기동 |
3.7 |
9.16 |
〃 |
11.45 |
〃 |
75 |
3Φ 직기동 |
5.5 |
13.68 |
〃 |
17.10 |
〃 |
50 |
3Φ 직기동 |
7.5 |
17.89 |
〃 |
22.36 |
〃 |
38 |
3Φ 직기동 |
11 |
25.26 |
〃 |
31.5×0.6=18.9 |
〃 |
45 |
3Φ Y-△기동 |
15 |
34.21 |
〃 |
42.7×0.6=25.62 |
5.5 |
34 |
3Φ Y-△기동 |
19 |
41.58 |
〃 |
51.9×0.6=31.4 |
〃 |
43 |
3Φ Y-△기동 |
22 |
48.95 |
〃 |
61.2×0.6=36.72 |
8 |
53 |
3Φ Y-△기동 |
30 |
65.79 |
1.1 |
72.3×0.6=43.38 |
14 |
45 |
3Φ Y-△기동 |
37 |
84.29 |
〃 |
92.6×0.6=55.56 |
14 |
62 |
3Φ Y-△기동 |
45 |
100 |
〃 |
110×0.6=66 |
22 |
82 |
3Φ Y-△기동 |
55 |
121 |
〃 |
133.1×0.6=79.86 |
〃 |
68 |
3Φ Y-△기동 |
75 |
163 |
〃 |
179.3×0.6=107.58 |
38 |
87 |
3Φ Y-△기동 |
주기 : ① 여유율이란 50A 미만의 간선에서 1.25배, 50A 이상의 간선에서 1.1배의 규정을 말함.
② 사용전선의 굵기는 3.5mm2 을 최소규격으로 함.
③ 분기회로의 전압강하는 2%를 기준하여 분기회로 전선의 최대긍장을 산출하였으며 분기회로의 길이 가 최대긍장을 넘는 경우 상위 전선규격을 채택한다.
④ 주위 온도 : 40˚C 기준
⑤ 적용허용전류에서 0.6은 Y-△ 기동시, 기동기와 전동기간의 배선의 전류를 나타낸 것임.
가. MCC - 전동기간 케이블 전동기에 흐르는 분기회로 전선의 굵기는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선정한다.
① 1대의 전동기에서 전동기의 정격전류가 50A 이하인 경우는 그 정격전류의 1.25배 이상의 허 용전류가 있는 것을, 또 전동기의 정격전류가 50A를 초과하는 경우는 그 정격전류의 1.1배 이 상의 허용전류가 있는 것을 사용한다.
② 전동기의 전류치는 규약전류에 준하여 선정한다(내선규정 부록 3-3 전동기의 규약전류치 기준 적용).
③ 전선 굵기의 선정에 있어서 전압강하에 의한 전선의 산출 단면적과 허용전류에 의한 전선의 산출 단면적 중 큰 값을 적용한다.
나. 동력 간선의 구성
동력 간선 구성은 부하설비의 기능별 및 집합상태에 따라서 합리적인 방향으로 구성한다. 간선의 굵기는 관련규정 (내선규정 205-10)에 준하고 케이블 허용전류 및 전압강하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즉 전압강하에 의한 산정과 허용전류에 의한 전선 규격중 큰 것을 선정한다.
역사의 규모나 구조에 따라서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인 역사의 동력 부하 구분 및 공급 전압은 다음 (표 3-12)와 같다.
(표 3-12) 동력 부하 구분 및 공급 전압
MCC PNL 구 분 |
연 결 부 하 |
공 급 부 하 〔%〕 |
공급전압〔V〕 |
비 고 | |||
1호계 |
2호계 |
ATS |
3호계 | ||||
MCC - 1 |
기능실 냉방기, 배기홴, 급기홴 |
100 |
|
|
|
380 |
좌측 환기실 |
MCC - 2 |
기능실 냉방기, 배기홴, 급기홴 |
|
100 |
|
|
380 |
우측 환기실 |
MCC - 3 |
냉각탑, 냉각수 펌프, 냉수 펌프 |
|
|
|
100 |
380 |
환기실(좌 또는 우측) |
MCC - 4 |
스프링클러 주펌프 및 보조펌프 옥내소화전 주펌프 및 보조펌프 |
|
|
100 |
|
380 |
물탱크실 |
MCC - 5 |
생활용수 배수펌프 지하수 급·배수펌프 |
|
|
100 |
|
380 |
배수펌프실 |
MCC - 6 |
오수펌프 |
|
|
100 |
|
380 |
오수펌프실 |
MCC - 7 |
공조기 급기 및 리턴 홴 승강장 배기홴, 배연 배기홴, 유막용 급기홴 |
|
|
100 |
|
380 |
좌측 환기실 |
MCC - 8 |
공조기 급기 및 리턴홴 승강장 배기홴, 배연 배기홴, 유막용 급기홴 |
|
|
100 |
|
380 |
우측 환기실 |
MCC-TV |
인근 본선 환기 급·배기휀 |
|
|
|
100 |
380 |
터널 인근 환기실 |
MCC-CTV |
중앙 본선 환기 급기휀 |
|
|
|
100 |
380 |
터널 중앙 환기실 |
ESCAL |
에스컬레이터 |
50 |
50 |
|
|
380 |
|
ELEV |
엘리베이터 |
|
|
|
|
380 |
|
- |
전동셔터 |
50 |
50 |
|
|
380 |
|
- |
전기온수기 |
100 |
|
|
|
220 |
분전반에서 공급 |
- |
전기방열기 |
50 |
50 |
|
|
220 |
분전반에서 공급 |
- |
휠체어 리프트 |
|
|
100 |
|
220 |
|
- |
고압 냉동기 |
|
|
|
100 |
6,600 |
6.6kV |
- |
기능실 환풍기 |
50 |
50 |
|
|
220 |
분전반에서 공급 |
가. 외함 및 구조
(1) 자립형
전체적으로 폐쇄된 수직 자립형으로 한다. 대체적으로 1차측 전원의 단로 및 삽입 인출형 유니트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2차측(전동기)은 단자에 의한 케이블 연결방식으로 한다. 주회 로는 각 유니트에서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고 제어 및 감시용 케이블은 총괄 단자실에서 연결하 는 방식을 채택한다. 양면형 구조로 하여 전면에는 구성기기용 유니트를, 후면에는 콘덴서를 내장 설치하고 있다.
(2) 벽부형
소용량으로 소수의 분기회로로 구성되는 장소에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분전반 형태의 벽부형 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오수 펌프실 MCC는 습기 및 오염가스등 부식 우려가 높아 외함을 SUS 또는 폴리카보나이트 재질의 구조로 하며, 일반 기능실, 기계실 등에 벽면 매입형으로 설치하는 경우는 조명용 분전반 외함 구조와 동일하게 한다. 벽부형 MCC의 외함깊이는 전자접촉 기의 arc space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 준다.
나. 회로 구성
(1) 주회로
전동기의 용량별(기동 방식) 및 사용 목적별(가역)로 필요한 기동 및 운전용 전원공급 회로 를 구성한다. 다음 부하설비에 대하여는 기계설비에 기동 및 조작반이 있거나 별도의 2차전원 공급 설비가 있는 경우로서 배선보호용 MCCB만을 설치한다.
① 본선 환기실의 댐퍼
② 정거장 환기실의 패케이지 에어콘
③ 자동 제어설비 전원(DDC power)
④ 냉동기 예열기 (히터)
⑤ 자동 filter 및 진공펌프 (AF & VP)
⑥ 기타 기동장치 없이 전원만 필요로 하는 설비 등 분기회로에 단상부하가 있는 경우는 전기실로 부터 3상 4선식(380-220V)으로 수전받아 공급 한다. 단, 본선 터널 환기실과 같이 단상부하가 소용량(예 : Damper)인 경우, 전기실로 부터 원거리 일 때 소형 변압기(380V/220V)를 설치하여 급전하거나 터널조명 선로로 부터 급전받도록 한다.
(2) 조작회로
정거장 및 터널의 환기, 냉방, 펌프류 등은 집중제어 감시 system에 의하여 원격제어 감시되므로 이를 위한 MCC내의 회로구성 및 배선을 위한 단자대를 설치하며 MCC에서 직접 조작, 감시 및 조작위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 차단기
(1) Main (주회로)
Main MCCB는 각 분기회로, 전동기의 전부하 운전시 및 최대 용량의 전동기가 최후 기동시 의 Peak 부하시를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가장 큰 부하전동기에서 선정된 차단기의 용량에 나머 지 전부하의 규약전류의 합계에 가까운 직상위 규격으로 선정한다.
(2) Branch(분기회로)
기동방식과 기동전류, 전부하 전류(규약전류) 등을 고려하여 전부하 전류의 200∼300%를 기 준으로 근사치 규격을 선정한다.
라. 보호
(1) 보호협조
MCCB는 단락 또는 6배 이상의 과부하 전류를 순시차단 보호하고 과전류 보호계전기는 과부하 상태로 부터 보호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2) 보호계전기
주위 온도에 대한 영향, 전동기 운전상태별 보호계전 동작치의 정확도(정밀조정 가능) 등을 고려하여 전자식 전동기용 과전류 보호계전기(EOCR)를 채택하며 순시 및 역상, 과부하, 불평 형, 결상 보호 기능을 부가한다.
마. 전자 접촉기
(1) Y-△ 기동방식의 회로구성시 주 전자개폐기 및 보호계전기의 부착위치에 따라 여러 방식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주 전자개폐기는 Y-△ 기동 전자접촉기의 1차측 상부에 구성하고 보호 계전기(EOCR)의 부착위치는 선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주 전자개폐기 1차측으로 정하고 있다.
(2) 각 전동기의 기동방식 회로에 맞추어 전동기 출력별 제작사의 권장 규격을 사용하도록 한다.
바. 변류기
(1) 각 전동기별 변류기의 선정은 관련규정(내선규정 305-10 표3-3)을 적용한다.
(2) 전동기의 용량이 22kW를 초과할 경우는 별도의 CT를 설치한다.
사. MCC의 규격
개별 유니트의 크기를 예시하면 직입 및 Y-△기동방식의 경우로서 보통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정하여 설계한다.
(1) 비가역형
○ 직입기동 (0.2 - 7.5kW 이하) : 200mm
○ 직입기동 (7.5kW) : 300mm
○ Y-△ 기동 (11 - 15kW 이하) : 300mm
○ Y-△ 기동 (18.5 - 30kW 이하) : 400mm
○ Y-△ 기동 (37 - 75kW 이하) : 600mm
○ Y-△ 기동 (90kW 이하) : 1000mm
(2) 가역형
○ 직입기동 (0.2 - 5.5kW) : 300mm
○ 직입기동 (7.5kW) : 500mm
○ Y -△ 기동 (11 - 15kW 이하) : 500mm
○ Y -△ 기동 (18.5 - 30kW 이하) : 600mm
○ Y -△ 기동 (37 - 75kW 이하) : 800mm
○ Y -△ 기동 (90kW 이하) : 1200mm
(1) 사용자재의 규격 및 치수는 도면과 시방서에 따른 것인가?
(2) 전선관 및 후렉시블, 기타 부속자재류는 K.S 제품 또는 규격품인가?
(3) race way 는 규격품이며, 수평으로 설치되었고 접지는 연결되었는가?
(4) 형광등 기구는 K.S 규정에 의한 0.7㎜ 이상의 철판으로 제작되었는가?
(5) 형광등 기구의 소켓은 스프링 소켓으로 되었는가?
(6) 형광등은 래피드 스타트형(또는 전자식)인가?
(7) 형광등용 안정기는 고효율 래피드식(또는 전자식)인가? (전자식인 경우는 K·S 정품인지 확인)
(8) 승강장, 대합실 등기구 연접 설치시 전선보호용 전선관의 사용여부?
(9) 형광등 램프의 발광색상(온백색 또는 주광색)은 통일되었는가?
(10) 형광등 기구는 수직, 수평으로 설치되었으며 선형은 맞는가?
(11) 터널조명등 전선은 애자 바로 옆에서 분기 접속하였는가?
(12) 등기구 보강재는 천정 마감처리에 적절한 것이며, 배열상 문제가 없는지?
(13) 옥외등의 결선시 단말처리, 방수, 도장상태는 완벽한가?
(14) 조명기구의 부착시 제조자의 설치방법에 따른 기구 취부금구의 사용상태는 양호한가?
(15) 2중 천정의 경우, 조명기구 연결용 가요전선관이 적정부품을 사용하고 천정 취부박스에 적정 카바가 부착됐는가?
(16) 조명기구는 견고하게 설치하였는가?
(17) 조명기구의 수직, 수평상태는 양호한가?
(18) 조명기구와 취부면 사이의 틈새는 적정한가?
(19) 등기구 보강은 철저히 하였는가?
(20) 연결용 리드선은 허용전선을 사용하고 선의 접속은 적정접속재로 양호하게 이루어졌나?
(21) 접지를 요하는 조명기구의 접지 접속상태는 양호한가?
(22) 안정기는 배전전압에 적합하며 절연저항시험은 하였는가?
(23) 조도는 규정치이며 균일한가?
(24) 소음 및 기구의 진동은 없는가?
(25) 외부계단과 연결되는 통로의 형광등은 회로 분리가 되었는가?
(26) 주요장소별 조도측정 결과 설계조도와 비교여부? (기록유지)
(27) 조명등용 후렉시블이 환기닥트에 저촉되게 설치된 곳은 없는가?
(28) 출입구 외등접지는 단독으로 하였는가?
(29) 조명제어반 조작요령에 대해 역무원에게 전수교육 실시 여부? (기록유지)
(30) 조명제어반에 의한 전등회로 점·멸 확인 여부?
(31) A, B, C 회로 배열, 부하분배는 잘 되었는지?
(32) D.C등 점등시험 및 각 분전반 D.C전원 가압 여부? (기록확인)
(33) 등기구류의 배치간격, 설치위치의 적정 여부?
(34) 안정기함의 외함접지 시공 여부? (분전반에서 IV 3.5㎟를 시공)
(35) 건축 마감재와 등기구 type 적정 여부?
(36) 조명제어용 제어케이블 shield선의 접지를 주 조작반에서 시행하였는지?
(37) 터널 형광등기구 설치 간격 적정 여부?
(38) 터널 형광등기구는 방습형 소켓을 사용하였는지?
(39) 대합실, 승강장, 각종 기능실에 조도 취약지역은 없는가?
(1) 외부 출입구에 작업용 콘센트는 설치되었는가?
(2) 비상 콘센트는 도면 및 지시대로 설치되었는가?
(3) 대합실, 승강장에 안전카바형 콘센트 설치 여부?
(4) 대합실, 승강장 부분의 콘센트 설치간격(30m 이내)의 적정 여부?
(5) 방수턱이 있는 환기실 벽면 콘센트는 전선관이 쉽게 부식되지 않도록 조치하였으며, 사용하 기 쉬운 곳에 설치하였는가?
(6) 각각의 용도에 대한 콘센트의 설치높이는 적정한가?
(7) 터널용 콘센트 설치간격 적정 여부?
(8) 터널 콘센트 및 정거장 비상 콘센트에 대해 3Φ 상회전 check 여부?
(1) 케이블 전선은 규정대로 시공하였는가?
(2) 적정규격의 동관단자, 압착단자를 사용하였는가?
(3) MCC반은 수직, 수평 배치가 잘 되었는가?
(4) MCC내의 연결 bus bar는 잘 체결되었는가?
(5) MCC반 설치시 앙카볼트는 박았는가?
(6) 접지공사는 잘 되었는가?
(7) 부하용량에 맞는 MCCB, MC, CT, 콘덴서, EOCR를 부착하였는가?
(8) 모타 기동방식은 사용목적의 기능에 적합한가?
(9) 모타의 단말처리시 절연처리는 완벽하게 했는가?
(10) 모타결선 및 내부회로의 check는 하였는가?
(11) 시운전 전 EOCR, TIMER를 조정하였는가? (설비부하별 EOCR 조정결과〈과전류, 지연 시간, 동작시간, 접지전류, 단락전류, 운전전류 등〉기록유지)
《 참 고 》EOCR 조정방법
① MCC main용 EOCR의 단락전류(short)는 400∼2000% 범위에서 setting하며, 그외는 아래와 같이 분기용과 같음.
② 과전류(O-curr.)는 운전전류의 1.25배 또는 정격전류치에 setting.
③ 지연시간(D-time)은 기동시간을 감안하여 setting (10 sec, …)
④ 동작시간(O-time)은 정상운전중 이상이 발생하여 trip하기 까지의 시간을 setting. (통상 3∼5 sec)
⑤ 접지전류(ground)는 정상상태에서 표시창에 나타나는 표시치를 감안하여 setting. (통상 100∼1000㎃)
(12) 모선과 기타기기에서 이상음 발생은 없는가?
(13) MCC 설치위치는 적합한 장소인가? (환기, 침수 대비, 유지관리 고려)
(14) 각종 MCC에 위험 표시 부착 여부? (가압중 위험!)
분전반은 1호계, 2호계를 분리하여 분기회로를 수용(예비회로 포함)하며, DC회로 전원은 1호 계 분전반내에 수용하는 것으로 한다. 분전반의 깊이는 180mm로 하며, 전면은 스테인레스 재 질로서 높이 800mm이하는 1.5mmt, 높이 800mm초과시 2.0mmt의 두께로 하여 헤어라인 등의 마감을 해준다. 그리고 내함은 1.6mmt 철판으로 하고 있다.
분전반내 개폐기의 종류 및 규격은 다음과 같이 한다.
① AC main (1,2 호계) : MCCB 4P
② DC main : MCCB 2P
③ 분기회로 : MCCB 2P 50AF/20AT
④ DC 회로는 1호계 분전반내 수용
⑤ 승객이 직접 접촉하는 기기의 회로(발매기, 발권기, 개집표기, 자판기, 옥외출입구 조명, pole sign, 공중전화 등) : ELB 2P 50AF/20AT
⑥ 분기 회로의 부하전류 : 15A 이하 분전반은 각 층에 설치하며 바닥면적 800㎡ 정도마다 1개씩 배치하게 되는데 보통 대합 실은 3개, 승강장은 섬식일 때 3개, 상대식일 때 4개 정도가 된다. 설치위치는 부하중심에 가깝 게 간선의 입상배선 및 보수, 점검이 용이한 장소로 하고 습기, 먼지 또는 부식 등이 발생될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되 역사의 면적 및 구조에 따라서 증감할 수 있다. 분전반의 설치높 이는 바닥면으로 부터 상부 기준하여 1.8m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 2개 이상의 분전반이 같이 설치될 경우에는 상호간의 간격을 60mm 정도로 한다.
정거장 조명, 전열 및 동력 설비의 배관·배선방식은 내선규정 등 제반 규정에 준하여 보 수에 편리하고 장래의 증설, 변경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이중천정이 되지 않는 부분 및 측벽이 이중벽이 아닌 부분의 장소에서는 후강전선관 을 사용하여 노출 배관으로 하고, 이중천정이 있는 부분도 후강전선관을 사용하여 노출배 관으로 배선하며, 이중벽(block) 부분은 후강전선관을 블럭내에 매입 배관하여 배선한다.
hunch 및 slab 관통 부분은 후강전선관을 매입하여 배선하고, 정거장 환기실 배관은 천정 노출 배관으로 한다.
소방용 간선설비 및 비상 콘센트는 일반 간선설비에 사고발생시 파급범위가 소방 간 선에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단독 배관 배선한다.
후강전선관을 조영재에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는 pipe clamp 또는 행거(hanger) 등으로 견고하게 지지하고 그 간격을 전등분기 배관은 2m마다 지지하고, 간선 배관은 1.5m 이하 로 한다. 전선관의 굵기를 선정할 때는 전선의 인입이나 교환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내경 을 갖도록 한다. 즉, 동일 굵기의 절연전선은 전선의 피복 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 합계가 관내 단면적의 48%이하, 다른 굵기의 절연전선은 32%이하가 되도록 한다.
전기실내는 duct 방식으로 배선한다. 절연 전선을 동일 금속 덕트내에 넣을 경우 금 속덕트의 크기는 전선의 피복 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가 금속덕트 내단면적의 20% 이하가 되도록 선정한다. 제어 회로 등의 배선에 사용하는 전선만을 넣는 경우에는 50% 이하가 되도록 한다.
전선의 인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중에 굴곡개소가 없이 관의 길이가 30m를 초과하는 배선, 도중에 직각 굴곡개소가 3개를 지닌 관, 도중에 분기회로가 있는 배선은 풀박스를 설치하도록 하고, 이 풀박스 지지방법은 size가 250 × 250 이하인 경우 2개의 환봉, 250 × 250 초과의 경우에는 4개의 환봉으로 견고하게 지지한다.
승강장, 전기실 배전반 상부 및 매표소등 라인(line) 조명이 필요한 장소는 레이스웨 이(race way) 방식으로 한다.
터널의 배선은 노출렉크 상부의 애자 사용 방식으로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OW)을 사용하거나 케이블 트레이에 의한 배선을 사용한다.
(표 4-1) 터널 rack 지지간격
구 분 |
인 류 애 자 |
핀 애 자 |
비 고 |
곡선 반경 400m 이상 곡선 반경 300m 이상 곡선 반경 200m 이상 |
50 m 40 m 30 m |
10 m 7.5 m 5 m |
* 전선 상호간격 : 200 mm |
터널 환기실 전등 전열용 배관, 터널내 전등용 배관 및 터널 콘센트용 인하배관은 금속관 (또는 PE관) 노출 배관으로 하며, 전선은 IV 2.0㎟를 사용한다.
본선 환기실 및 집수정에 공급되는 간선은 신호용 ladder를 이용하고 ladder를 이용 할 수 없는 경우는 금속관 노출 배관한다. 간선 부분의 배관은 관상호 및 관과 box 사이 에 충분한 굵기의 연동선으로 본딩처리를 하거나 접지용 copper band로 접속해 준다.
가. 간선
간선의 부하용량은 분전반 및 MCC반의 부하에 맞는 것으로 하며, 또 장래의 증설 변경 을 예측해서 충분한 여유를 갖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부하의 종류 및 성질에 따라서는 그 설비 전력과 수요 전력과의 비율(수용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전등, 전열 및 동력 부하에 대한 수용율은 (표 1-5)에서 살펴본 바 있다.
나. 분기회로
전기설비의 안전한 사용과 고장시 그 파급 범위를 될 수 있는대로 적게하며 복구를 빨리 하기 위해 관계규정(전기설비기술기준 제 196조)을 참조하여 부하는 분기회로에서 나누어 사용토록 되어 있다. 전선의 굵기는 허용전류와 전압강하의 양자로서 결정되는 것이다. 허용전 류는 전선의 종별 또는 배선방법에 의해 차이가 있는 한편 주위온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전압강하는 백열등일 경우 밝기에 많은 영향을 주며, 또 형광등일 때는 음극강하(형광 램프의 coil 필라멘트는 정격전압에서 최고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원전압이 저하하면 음극전압이 강하하여 시동이 곤란해지며 전극에 부담이 가서 수명에 악영향을 주는 현상)가 커져 수명도 짧아지므로, 분기회로에 있어서는 2%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 사용전선의 종류
(1) 간 선
① 동력 간선 : 600V CV CABLE
② 조명 간선 : 600V CV CABLE
③ 냉동기용 전원 : 6.6kV CV CABLE
④ 접 지 선 : 전기실내 및 외부 인출선 GV, 옥내배선 IV
⑤ 본선 환기실 동력용 전원 : 600V CV CABLE
⑥ 배연홴, 소방용 설비 전원 : FR-8 전선
⑦ 비상용 조명 간선 : FR-8 전선
⑧ 터널 조명 및 터널 콘센트 간선
- 정거장내 : CV CABLE, IV(접지)
- 터널내 : OW CABLE, OW(접지)
(2) 분기회로
① 동력 회로 : 600V CV CABLE
② 전등 회로 : 600V IV 전선
③ 일반용 콘센트 : 600V IV 전선
④ 비 상 등 : 600V HIV 전선
⑤ 터널 조명 : 600V IV 전선
⑥ 터널 콘센트 : 600V IV 전선
⑦ 비상 콘센트 : FR-8 전선
⑧ 원격 제어 : CVV-S CABLE(조명제어용)
⑨ 접 지 선 : IV 전선
나. 굵기의 선정
전선 및 케이블의 굵기는 내선규정 등 제반규정에 준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전압강하와 허용 전류에 의하여 선정된 전선의 단면적중에 큰 값을 선택한다.
(1) 저압
35.6 × L × I
① 단상 2선식 e = -------------------
1000 × A
30.8 × L × I
② 3상 3선식 e = -------------------
1000 × A
17.8 × L × I
③ 단상 3선식, 3상 4선식 e' = ------------------
1000 × A
A : 전선의 단면적〔㎟〕, e : 각 선간의 전압강하〔V〕
e' : 외측선 또는 각상의 1선과 중성선간의 전압강하〔V〕
L : 전선의 긍장〔m〕, I : 전류〔A〕
(2) 고압
VD = √3 × I × L(R cosθ + X sinθ) 〔V/㎞〕
VD : 전압강하〔V〕, I : 전부하 전류〔A〕
L : 전선의 긍장〔㎞〕, R : 전선의 저항〔Ω/㎞〕
X : 리액턴스〔Ω/㎞〕, cosθ : 역률
(3) 전압강하율
전기실 배전반에서 각 부하까지의 계통에 걸쳐 이들의 전압강하의 설계상 허용 범위는 내선 규정 및 제반 규정 등을 고려하여 다음의 내용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① 분기 회로 : 2% 이하
② 60m 이하의 간선 : 3% 이하
③ 60m 를 초과하는 전선 : 긍장 120m 이하 - 3% 이하
긍장 200m 이하 - 4% 이하
긍장 200m 초과 - 5% 이하
④ 방재용 간선 : 3% 이하
⑤ 에스컬레이터 : 8% 이하
⑥ 고압계통 : 공급점에서 말단까지 10% 이내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배선용 차단기 (MCCB)이고, 특별한 경우에 사용되는 개방 형 knife switch, C.O.S.(cut out switch) 등이 있다. fuse는 한번 동작하면 재차 사용할 수 없 는 불편이 있으나, 배선용 차단기는 불량개소를 떼어 내므로써 몇번이고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어 범용되고 있다.
MCCB의 취부방법으로는 모선의 배치방법에 따라 틀리지만 주로 횡취부(좌우 2열)이다. 또, 그 벽체에 대하여 매입형, 반매입형, 노출형 등이 있으나, 대부분 매입형이다. 역시 강판제 의 내부 카바는 외함과 함께 제3종 접지공사를 한다.
지하역사일 때 구조물 측벽에 직부한 분전반 및 배관을 취부할 때 벽에서 누수가 되어 조 기에 부식의 발생을 예상할 수 있으므로 이 대책으로 분전반 및 배관과 구조벽 사이에 받침철 물을 넣어 벽에서 띄어서 시공하며, 만일 누수가 있을 때는 직접 누수액이 닿지 않도록 배려한다. 피할 수 없는 경우는 스테인레스 등의 내식성이 뛰어난 재료를 사용하고 방수형 구조로 검토한다.
(1) 전선관의 배열, 지지간격(간선 1.5m, 전등 2m)은 적정한가?
(2) 전선관의 규격은 도면 또는 지시대로 시공되었는가? (기록유지)
(3) 전선관 및 부속자재류는 K·S 제품인가?
(4) 배관 연결부의 커플링 조임상태는 적정한가?
(5) 부싱, 로크너트 미사용 개소는 없는지?
(6) 배관 절단부 리이머질 및 나사내기는 적정한가?
(7) 28㎜ 이상의 배관은 90°굴곡부에 노말밴드의 사용 유무 및 기타 배관의 굴곡부분의 변형 은 없는가?
(8) 배관 누락 여부를 확인하였는가?
(9) 바닥 배관시 바닥에 V-cutting 하지 않고, 교차시킨 곳은 없는가?
(10) 콘센트 box 등의 높이는 적정한가?
(11) pull box와 배관 연결의 접지본딩 적정 여부?
(12) 분전반에 예비 전선관을 시공하였는지 여부?
(13) pull box는 적정 크기이며, 필요없는 구멍은 없는가?
(14) 분전반, 비상 콘센트의 설치높이는 적정한가?
(15) 분전반, 취부시 벽 마감성을 고려하였는지?
(16) pull box 위치가 보수점검에 지장이 없는가?
(17) 분전반은 적정하게 제작하였는가? (재질, size, 적정회로 구비여부)
(18) pull box의 설치간격 및 높이는 적절한가?
(19) 배관후 즉시 몰탈등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적정 플러그 또는 캡을 씌었는가?
(20) 노출된 box에 배관 연결후 box 근방 30㎝ 정도에서 행거를 설치하였는가?
(21) 분전반 내부에 회로별 명판 부착 및 도면꽂이 설치 여부?
(22) 분전반 key는 SUS 재질인가?
(23) 분전반 주변 코킹 마감 여부?
(24) 분전반 내 습기, 누수, 쥐 등의 침입 또는 서식 여부?
(25) 고압 냉동기 전원용 배관에 5m간격으로 위험표식 여부? (고압위험!)
(26) 분전반 명판 부착 여부?
(27) 전선관 절단부위, 달대볼트 등에 부식방지 페인팅 처리 여부?
(28) 광고등, 공중전화, 전기순간 온수기, hand dryer, AFC용 차단기에 ELB 사용 여부?
(29) 분전반의 MCCB는 정격 전압 460V급을 설치했는가?
(30) 분전반의 상별 부하는 균등하게 되었는가?
(31) A, B 분전반간 연결배관 시공 및 적정 간격으로 시공 여부?
(32) 분전반내 사용자재의 규격 및 치수는 도면과 시방에 따른 것인가?
(33) 분전반의 설치상태는 양호한가? (높이, 위치, 수직, 수평 등)
(34) 분전반에 절연저항 측정은 완료하였는가? (기록유지)
(35) 분전반내 MCCB, 전선의 발열, 손상, 변색 유무?
(36) 분전반내 MCCB, ELB 동작상태 양부?
(37) 분전반내 단자조임 상태 및 이완 여부?
(38) 분전반내 손상, 느슨함, 빠진 것, 이물질 등이 있지 않으며 청소상태는 양호한가?
(39) 분전반내 접지단자에 완전한 접지접속을 하였는가?
(40) 분전반내 전선관의 인출구는 로크너트와 부싱으로 접속되고 그 마감상태는 양호한가?
(41) 분전반에 전선은 가지런히 지지되고 정리됐나?
(42) 분전반내 전선의 접속은 접속재로 적정공구를 사용하여 양호하게 이루어졌나?
(43) 분전반내 개폐기의 정격전류, 전압, 차단용량등 정격 용량을 재확인하였는가?
(44) 여러 가닥이 동시에 천정부위에 취부되는 간선 배관일 경우 하중에 충분히 견디도록 달대 볼트 설치 간격은 적정하고 취부 상태는 견고한가?
(1) 케이블, 전선은 K·S 제품으로 정해진 규격으로 시공하였는지? (기록유지)
(2) 전기실 ∼ 부하간 MCCB 계통은 양호한가? (기록유지)
(3) 용도별 전선의 종류는 적합한가?
(4) 배관, 배선시 피복이 벗겨지지 않도록 유도하였는가?
(5) 케이블, 전선은 적정규격의 동관단자, 압착단자를 사용하였는지?
(6) 케이블, 전선의 상별 색상은 적정하게 하였는지?
(7) 소선을 감선하여 단말접속한 부분은 없는가?
(8) 배관, duct내에서 전선, 케이블 접속은 없는가?
(9) 각종 배선은 점검이 용이하도록 회선별로 정리하여 배선하였는가?
(10) 회로별로 적절한 장소에 간선 표찰을 부착하였는가?
(11) 회로별 양 끝단에 간선명 및 기기명칭은 부착하였는가?
(12) 분전반 MCCB의 2차측 배선은 정리되었는가?
(13) 회로별로 절연저항 측정결과 및 기록표 비치 여부? (기록유지)
(14) 비상 콘센트, 비상조명 및 배연설비용 전선은 소방용 전선을 사용하였는가?
(15) 입선하기 전에 전선관의 청소상태를 확인하였는가?
(16) 케이블 굴곡반경의 규정치 만족 여부를 확인하였는가?
(17) 전선은 규정공구를 사용해 피복 및 도체의 손상이 없도록 피복을 제거하고 결선되었는가?
(18) 전선의 지지 또는 묶음을 요하는 경우 cable tie로 요구되는 간격을 두고 행했는가?
(19) 풀박스, 죠인트박스내의 전선허용 가닥수를 지켰으며 가지런히 정리됐는가?
(20) 박스의 쓰지않는 구멍은 적정부품으로 막았는가?
(21) 전선의 접속용 콘넥타는 그 사용장소에 적합한 난연성의 것으로 적정한 사이즈로 행해졌나?
(22) 전선의 허용전류, 전압강하, 인장강도 등이 허용치를 만족하는가?
(23) 시공과 측정이 완료된 후 전선피복과 도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조치를 하였는가?
(24) 고압케이블, 저압케이블 또는 약전용 케이블간의 이격거리는 적정한가?
(25) 본선내 케이블랙의 설치 간격은 적정한가?
가. 장비 준비
수전 예비 점검전까지는 변전실과 전기실간 통화가 가능한 전화기는 반드시 설치되어 있어 야 한다.
① 검전기(고,저압용)
② D.S봉
③ 상회전 측정기
④ 각종 fuse
⑤ 무전기 2대 이상 (터널내 송수신 가능)
나. 큐비클내 점검
큐비클내 점검 착수전에는 절연저항, 접지저항 측정이 완료되어 있어야 한다.
① 큐비클내의 bus-bar등 시설물 위에 공구, 자재류가 걸려 있는지 점검한다.
② 케이블, bus-bar, 접지선 등이 적정하게 연결되었는지, VCB 2차측 고압케이블의 접지선 이 ZCT를 통과하여 접속하였는지 점검한다.
③ 각종 계기의 영점 조정은 되었는가?
④ 각종 계전기의 조정은 되었는가? (최저치 tap 4, time 1)
⑤ 조작용 DC전원은 연결되었는지 점검한다.
⑥ 모든 큐비클은 셋트앙카로 고정하였는지 확인한다.
⑦ 각종 볼트, 넛트류는 완전히 조이고 풀림상태 확인용 페인팅 표식여부 점검
(1) 변전소 ----> 변전소가 있는 정거장 ----> 상선 정거장 전기실
전기실 |
└------> 하선 정거장 전기실
(2) 1, 2호계 수전 ----> 3호계수전
가. 수전조작 시험순서
(1) 변전소 ----> 정거장 전기실 전원공급의 경우
① 전기실내의 DS반, VCB반, TR반, 저압반의 모든 단로기 및 차단기를 OFF시킨다.
② 큐비클뒤의 모든 사람을 면앞으로 이동시킨다.
③ 모든 준비가 완료되었을 때 변전소에 전화하여 준비 완료되었으니 1호계 전원투입토록 변전담당에게 요청한다.
④ 변전소로부터 전원투입을 확인받은 후 1호계의 DS 1차측에 전원이 들어와 있나 고압검 전기로 확인한다.
⑤ 1호계에 이상이 없을 시는 변전소 1호계를 OFF시키고 2호계를 투입토록 하여 ④와 같 이 이상유무를 시험, 확인한 후 이상이 없을 시는 변전소에 1, 2호계 모두 투입 요청한다.
(2) DS반과 VCB반 간의 시험확인
① 1호계 DS를 투입하여 고압검전기로 각 VCB의 1차측에 전원이 들어와 있나 확인하고, 1호계 DS를 OFF시킨다.
② 2호계 DS를 투입하여 ①과 같이 실시한다.
(3) 배전반의 VCB등 동작시험 (기록유지)
① 1호계 계전기 시험
- DS투입 ----> VCB투입 ----> DS 개방하여 교류 부족전압계전기(27:UVR) 동작에 의한 VCB OFF(차단) 되는지 동작시험한다.
- DS투입 ----> VCB투입 ----> 지락과전압계전기(64:OVGR), 지락방향계전기(67:SGR) 동작에 의한 VCB OFF(차단) 되는지 동작 시험한다.
- DS투입 ----> VCB투입 ----> 지락선택계전기(OCGR), 과전류계전기(OCR) 동작에 의한 VCB OFF(차단) 되는지 동작 시험을 한다.
② 2호계 계전기 시험
- 1호계와 동일하게 2호계 시험
③ INTERLOCK 동작시험
- 제어회로 절환개폐기(43R)를 REMOTE 위치에 놓고 1호계 VCB ON, OFF 동작에 의해 INTERLOCK VCB가 동작되는지 시험한다.
- 1호계 VCB 및 2호계 VCB ON 상태에서 INTERLOCK VCB 투입 여부를 확인한다.
- 1호계 VCB 및 LINK VCB ON 상태에서 2호계 64Ry 및 67Ry를 동작하여 LINK VCB 차단여부를 확인한다.
- 2호계 VCB 및 LINK VCB ON 상태에서 1호계 64Ry 및 67Ry를 동작하여 LINK VCB 차단여부를 확인한다.
(4) 원제시험
① 제어회로 절환개폐기(43R)를 REMOTE 위치에 놓고, 1, 2호계 VCB 동작 시험한다.
② 변압기 온도상승에 의한 VCB 차단 시험한다. (경보 75℃, 차단 110℃로 조정)
③ 43R을 REMOTE로 놓고, 1, 2호계 VCB ON 상태에서 원제에 의한 LINK VCB를 투입 여부를 확인한다.
(5) 고압반의 1, 2호계 전압, RST 상회전 시험
① PT 전압을 확인한다. - 110V시 정상
② R.S.T.상순이 맞는지 시험한다. - 상회전 측정기로 확인
(6) VCB반과 변압기반간의 시험확인
① 1호계의 DS, VCB를 투입한 후 1호계 TR 이외의 TR 1차측에 전원이 들어와 있나 고압 검전기로 확인한 후 1호계 VCB를 OFF시킨다.
② 2호계의 DS, VCB를 투입한 후 2호계 TR 이외의 TR 1차측에 전원이 들어와 있나 고압 검전기로 확인한 후 2호계 VCB를 OFF시킨다.
③ 2호계 TR 시험
- 1호계 시험순서와 같이 실시한다.
(7) 변압기의 시험확인
① 저압반의 MCCB, ACB, ATS등이 OFF되었는지 확인한다.
② 1호계 TR시험
- 1호계 TR의 PF 투입 ----> VCB 투입
- TR 2차측의 상별 전압측정, TR의 소음, 진동을 확인한다.
- 전기실 조명등을 소등하여 변압기, 케이블 등에 불꽃이 있는지 확인한다.
- 시험 확인 후 VCB, 1호계 TR의 PF를 차단한다.
- 다음 신호 TR을 위의 순서로 시험한다.
③ 2호계 TR시험
- 1호계 시험 순서와 같이 실시한다.
(8) 변압기반과 저압반간의 시험확인
① 1호계의 DS, TR의 PF를 투입한 후 VCB를 투입한다.
② 1호계의 ACB 1차측 상간전압, 상별 전압 및 R.S.T상순이 맞는지 확인한다.
③ 2호계는 위 ①, ②와 같이 실시한다.
(9) 저압반의 ACB, ATS의 동작시험 확인 (기록유지)
① 1, 2호계 ACB 투입 ----> OFF ----> 투입 등을 반복하여 동작상태를 확인한다.
② ATS에 연결된 ACB 또는 MCCB를 ON, OFF하여 ATS의 UVR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③ 1호계 및 2호계에 연결된 MCCB ON/OFF 상태에서 1호계 ATS 차단하여 ATS가 2호 계로 절체되는지 확인한다.
④ 1, 2호계 연결된 ACB 또는 MCCB가 ON 상태에서 ATS 2차측 50/51 계전기 및 UVR 동작시 ATS가 절체되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10) 충전기반 조정 및 비상등 점등시험
① 충전기반의 setting 및 전압 조정, 비상조명등용 MG S/W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② 1, 2호계 VCB를 모두 차단시 비상등 자동 점등 여부를 확인한다.
③ 1, 2호계 ACB를 모두 차단시 비상등 자동 점등 여부를 확인한다.
가. 준비사항
(1) 장비준비 - ① 검전기(고, 저압용) ② D.S봉 ③ 상회전 측정기 ④ 각종 fuse ⑤ 무전기 2대(터널내 송수신 가능)
(2) 큐비클내 점검
절연저항, 접지저항 측정이 완료되어야 하며 전기실 수전시와 같이 점검한다.
나. 수전순서
① B역 수전시
B역 변전담당 ----> B역 전기실로 3호계 공급
② A역 수전시
B역 변전담당 ----> B역 전기실로 3호계 공급 ----> B역 전기담당 ----> ㉮중앙환기실로 전기공급 ----> ㉮중앙환기실 담당 ----> A역 전기실로 3호계 공급
③ C역도 위와같은 순서로 한다.
다. 수전조작시험
(1) 정거장 전기실 수전시 (변전실 ----> 정거장)
① 전기실내의 DS반, VCB반, TR반, 저압반의 모든 차단기를 OFF한다.
② 큐비클내의 이상유무 확인
③ 큐비클 점검자 및 모든 사람을 면앞으로 이동시킨다.
④ 이하 1, 2호계 수전시와 같은 요령으로 한다.
(2) 정거장 전기실에서 중앙환기실 수전시
① 중앙환기실내의 DS반, VCB반, TR반, MCC반의 모든 차단기를 OFF한다.
② 큐비클 점검자 및 모든 사람을 면앞으로 이동시킨다.
③ 무전기로 수전 요청
④ 수전후 점검은 전기실 수전시와 같이 한다.
(3) 중앙환기실에서 정거장 전기실 수전시
① 위 "(1)"항과 같이 실시한다.
수전후 일정 기간동안 이상음, 특정 부위 과열, 스파크등 전기적, 기계적으로 이상 현상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필히 확인, 관찰
하여야 한다.
(1) 전기실 수전시에는 앞에서 언급한 전기실 수전시 준비 및 시험절차에 따 라 실시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2) 수전을 위하여 사전준비 철저 및 안전확보를 최우선으로 한다.
(3) 수전 당일에는 공사 관계자 전원이 필히 참석, 입회하여야 한다.
- 현장대리인, 감리원(책임감리원, 담당감리원), 수배전반 제작사, 변압기 제작사, 충전기 제작사, 기타 관련자
수전완료 후 수전결과를 보고하기 위하여 다음 사항을 파악하여야 한다.
(1) 장비류 준비상태
(2) 수전전 큐비클 내부상태
(3) 상방향 적정여부
(4) 각종 계전기 동작시험 및 적정 셋팅 여부
(5) 각종 차단기 동작시험
(6) 1, 2호계 인터록 동작시험
(7) 원격제어 시험
(8) 변압기 가압후 상태
(9) 저압반 ACB, ATS 동작상태
(10) 충전기 및 밧데리 상태
(11) 비상등 점등시험
(12) 수전시 나타난 문제점 및 미비사항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