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 방탄소년단 - Butter
Smooth like butter
버터처럼 부드럽게
Like a criminal undercover
변장한 (본모습을 숨긴) 악당 처럼
Gon' pop like trouble
무슨 일이 생긴것 처럼 터트릴거야
Breakin' into your heart like that
네 마음으로 들어갈거야
into하면 이런 그림입니다. 박스가 니 마음...공이 BTS..뭐..그런거... 첫줄 가사, 두번째줄 가사의 단어를 합하면 마이클잭슨의 Smooth Criminal 가사가 보이네요. 이런거 바로 알아볼려면 그나라의 문화를 알면 좋을텐데 설명들어서 알면 충분합니다
Cool shade stunner
선글라스낀 멋진 나
Yeah I owe it all to my mother
엄마 덕분이지
Hot like summer
여름처럼 핫하지
Yeah I'm makin' you sweat like that
(날보면) 땀 흘리게 될걸
Break it down
일단 shade 의 원래 뜻은 그늘이에요 햇빛으로 부터 피할수 있는 개인 그늘 = 선글라스.
cool (멋진 ) shade (선글라스) stunner 멋진 나
이런거 보면 He is wearing cool sunglasses 이런 올바른 문장 백번 공부해봐야 팝송에선 보기 힘들죠.
두번째 문장도 Owe는 가지다 즉 have를 말하는데 나는/가졌어/ 그모든걸 / 엄마가 줘서 이렇게 해석하면 멋이 없으니까;;; 엄마덕분이지/ 엄마덕이지, 엄마가 이렇게 쩔게 낳아줬지 뭐 이렇게 갑시다
어머님이 누구니 박진영 노래가사에도 제시가 Ya, 머리부터 발끝까지 Got it from my mama 이런 가사를 쓴적이 있죠. 마찬가지로 엄마한테 받은거지 이런느낌.
Oh when I look in the mirror
내가 거울을 보면
I'll melt your heart into 2
네 심장을 두개로 녹이겠지
I got that superstar glow so
나는 슈퍼스타 아우라가 있으니까
Do the boogie like
자 춤추자!
Side step right left to my beat (heartbeat)
내 심장쪽으로 오른쪽 왼쪽
High like the moon rock with me baby
달처럼 높게 나와 함께 가보자
Know that I got that heat
알잖아 나 멋진거
Let me show you 'cause talk is cheap
말은 쉬우니까 보여줄게
이런거 보면 높다라는 표현을 우리와는 다르게 달로 쓴다는걸 또 알수 있죠 코인판에서 going to the moon 이 대세라면 high like the moon 이라는 표현에서 달처럼 높게! high 들뜬 기분을 느껴보자 라는 뜻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Side step right left to my beat (heartbeat)
내 심장쪽으로 오른쪽 왼쪽
Get it, let it roll
알겠니? 해보자
Smooth like butter
버터처럼 부드럽게
Pull you in like no other
널 끌어당겨
Don't need no Usher
Usher(어셔)는 필요없어
To remind me you got it bad
네가 빠졌다는걸 알려주기 위해서
지금 아미들이 원더걸스를 알까 싶긴 한데 설명을 위해 아는 가사가 이거밖에 없어서 가져왔습니다. ㅎㅎ2008년 발매된 원더걸스 노래 so hot 가사의 일부입니다.
이놈의 인기는 시그러들지 원
섹시한 내 눈은 고소영
아름다운 내 다리는 좀 하지 원
이부분을 외국인들이 들었을때 그냥 최고라는건가보다..하고 지나가는거랑 우리가 연예인 이름을 사용한거라는걸 알아들었을대는 느낌이 다르죠.
BTS butter의 이 부분도 어셔라는 가수의 노래제목을 이용한거라는걸 알면 좀더 이해하기가 좋겠네요 윗부분에 마이클잭슨 노래랑 뒷부분에 어셔 부분을 생각해보면 팝송팬들에게 강력하게 어필할수 있는 노래가사네요
Ain't no other
다른 사람과는 다르게
That can sweep you up like a robber
네 마음을 훔칠 강도처럼
Straight up, I got ya
한번에
Makin' you fall like that
널 빠지게 만들거야
Break it down
여기는 특별하게 어려운 부분은 없어서 넘어가겠습니다.
No ice on my wrist
손목에 롤렉스(비싼시계)는 없지만
I'm that n-ice guy
나는 멋진 남자지
Got that right body and that right mind
바른몸에 바른정신
Rollin' up to party got the right vibe
좋은 느낌으로 파티에 도착하지
ice on my wrist 라는 표현은 손목위에 얼음이 아니라 손목위에 차가운 금속재질; 비싼 시계를 의미합니다. 보통 랩퍼들이 돈많은거 보여줄때 많이 쓰는 표현이죠. 이걸 먼저 쓴건지 두번째 가사를 먼저 쓴건진 모르겠지만 n-ice 라는 단어에 굳이 하이픈을 집어넣은건 no - ice guy 허세없는 사람 = nice guy 좋은 사람을 동시에 쓰려는 말장난입니다.
바른몸에 바른정신 이거 무슨 쓰고보니까 유교가사같은데 right vibe도 사실 그럴거면 올바른몸, 올바른정신, 올바른태도 정도로 해석해도 맞지 않을까 싶네요
Smooth like butter
버터처럼 부드럽게
Hate us love us
우리를 싫어할수도, 좋아할수도 있지
Fresh boy pull up and we lay low
새로운 애들이 도착하면, 우리는 가만히 있지
All the playas get movin' when the bass low
베이스소리가 울리면 사람들은 춤추기 시작하지
Got ARMY right behind us when we say so
우리뒤엔 아미가 있잖아
Let's go
자, 가자
이 부분은 문화적인것도 어법적인 부분도 아닌데 잉 스러운 부분이 좀 있습니다. bass low 부분은 베이스소리가 낮아진다 = 음악이 시작되면 부분이고 이거랑 라임을 맞추기 위해서 lay low 라는 부분을 쓴거같은데 주어가 we 인걸로 봐서 앞에 fresh boy는 다른 뉴페이스를 말하는것 같네요. 다른 멋진애들이 오면 잠자코 있다가, 아미 믿고 놀아보자 뭐 이런걸로 해석한다는 말도 있던데.. 그것도 괜찮네요
got back, got behind 이라는 말은 뒤를 봐주다, 내가 니편이다는 말로 자주 쓰는 말입니다
Smooth like (butter)
버터처럼 부드럽게
Cool shade (stunner)
선글라스낀 멋진 나잖아
And you know we don't stop
우리 멈추치 않을걸 넌 알지
Hot like (summer)
여름처럼 뜨겁게
Ain't no (bummer)
실망시키지 않게
You be like oh my god
넌 놀라게 되겠지
We gon' make you rock and you say (yeah)
우리가 너를 신나게 만들면 너는 소리지르고
We gon' make you bounce and you say (yeah)
우리가 너를 춤추게 만들면 너는 소리지르지
Hotter?
더 뜨겁게?
Sweeter!
더 달콤하게!
Cooler?
더 멋지게?
Butter!
Get it, let it roll
비교급 er을 사용해서 제목 butter와 라임을 맞춘걸로 보이는 마지막 부분은 별 뜻은 없지만 귀엽네요 노래가 신나서 글을 쓰는 동안에도 반복해서 들었는데 일단 뮤직비디오에 가사 의미를 많이 넣으려고 한거 같아요 cool shade stunner 부분에선 선글라스 낀 못브을 보여주고 No ice on my wrist 부분에서는 다들 츄리닝에 간편한 복장인걸로 봐서는 노린것 같네요
이런거 또 떡밥던져주면 팬들은 신나죠 빅히트 주가 분석할때만 자세히 봤는데 확실히 아이돌 산업의 핵심인 팬과의 상호작용에 무게를 많이 두고있는 것 같아 보입니다.
출처:https://blog.naver.com/hey5765/222364133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