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가를 지은 도산 안창호 선생
오동춘<흥사단 애국가작사자규명위원장>
가 존경하는 짚신겨레의 스승이다 열여섯 살 때 청일전쟁<1894-1895>이 일어 나서 인본과 청국이 우리 나라 평양에서 싸우는 것을 보고 왜 이 두 나라가 우리 한국에서 싸을까? 우리 나라가 힘이 없기 때문이라 생각했다 도산 안창호 선생은 우리 애국가를 지은 순국애국자이다 남북 칠천만 겨레도산은 나라가 힘이 없기 때문이라 생각했다 힘 있는 나라를 세워야겠다고 다짐 했다 도산은 가난한 농부의 셋째 아들로 1978년 11월 9일 평양 강서에서 태어나 어러서 부모님을 여의고 할아버지 밑에서 엄한 유교교육을 받으며 서당 한문을 배웠다 15세까지 농촌 생활하고 16세에 서울로 와서 언더우드 선교사가 세운 구세학당<밀러학당>에 입학했다
기독교 신자가 되어 신학문을 익히며 밀러 선교사에게 노래짓는 법을 배웠다 학교릏 졸업하고 할아버지가 정해 준 신부 이혜련과 제중원<현세브란스>에서 결혼하고 1902년 미국으로 유학을 가며 하와이 근처에 배가 갈 때
배 갑판에서 산봉우리를 보고 조국독립을 바라는 희망으로 스스로 아호를
도산<島山>.이라 지었다 24세때 일이다
1902년 10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도산은 미국사람집에서 노동을 하며 생활했다 그러나 한국교포들이 너무도 무지하여 교포교육을 하며 교육학을 전공하려던 유학의 꿈은 포기했다 스스로 노동현장에 뛰어 들어 과수농장에 귤 하나를 따도 나라사랑하는 마음으로 따라고 교포들에 가르쳤다
미국인 일본인보다 더 교양이 있고 잘 사는 한국인을 만들기 위해 도산은
청소지도를 하며 교포들의 단결과 안전생활 그리고 교포들의 권익보호를 위하여 1904년 공립협회를 조직하고 그 회장이 되었다 이어 대한인국민회도
만들어 교포지도에 힘을 쏟았다
도산이 미국에 5년 있는 동안에 나라는 1904년 외무대신 서리 윤치호와
일본공사 하야시와의 사이에 제1차 한일협약이 체결되어 나라에 고문정치가
생기고 보호국으로 가는 지름길을 터 놓았다 이듬해 을사늑약이 일제와 체결되어 나라는 외교권을 뺏기고 사실상 나라의 주권도 상실 상태였다 이런 나라의 위기를 본 도산은 1907년 2월 20일 나라를 건지는 애국비밀단체
신민회 조직차 인천항을 통해 귀국햇다
도산은 먼저 경의선 철로변 일제에 의한 민간피해를 살펴보고 선천 민심도
살필겸 1907년 3월 경칩무렵<3월 7일> 선천 예배당에 들렀다 그 때 예배중에 “백두산과 두만강이 마르고 닳도록‘ 영국 민요 올드 랠 사인곡의 참미가 노랠 듣고 애국가 창작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 그 길로 평양에 올라가 이틀씩 금식 기도해가며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배경으로 기승전결법 구성으로 4절까지 <애국찬미가>를 지어 선천예배당에 보냈다 교회는 물론 선천일대의 애창곡이 되었다 이것이 도산이 지은 애국가 원형이 된다 1907년 3월 20일자 대한매일신보에 미국에서 온 안창호씨가 서서 만리현 의무균명학교 학생들과 3월 18일부터 매주 월요일마다 도산이 지은 애국가를 합창한다는 기사가 나 있다 도산은 1908년 자신이 교육으로 나라 건지기 위해 세운 대성중학교 학생들에게 애국가를 열심히 가르치고 우렁차게 함께 부르기도 했다 그리고 꿈 푸른 청소년들에게 도산은 교장으로서 “죽더라도 거짓이 없어라”“농담으로라도 거짓말을 말아라 꿈에라도 성실을 잃었거든 통회하라”는 말씀으로 진실하고 정직한 삶에 대한 교육을 했던 것이다
도산은 상해 임시정부 내무총장으로 있을 때도 매 조회때마다 다른 애국지사들과 함께 애국가를 우렁차게 불렀다 상해에서 큰아들 안필립에게 애국가를 잘 부르라고 편지도 했다 그리고 1913년 5월 13일 8도대표를 모아 애국단체 흥사단을 조직하고 행사때마다 애국가를 4절까지 다 불렀다 2013년 5월 13일로 흥사단 창립 100주년을 맞는 흥사단은 “민족을 위한 100년 세계를 향한 100년”으로 표제를 정하고 그 행사 준비에 최선을 다하는 우리 흥사단은 창립 100년을 맞은 현재까지 애국가를 경건하게 부르고 있다
1955년 주한 미대사관 요청으로 문교부는 애국가 작사자 안창호,작곡자 안익태로 통보해 주려다가 이 사실을 언론에 흘렸다 애국가 지었다는 사람이 많이 나와 정부는 문교부 국사편찬위원회 밑에 액국가 작사자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두 달간 조사했다 그 결과는 안창호,윤치호,최병헌,김인식,민영환 등 다섯 사람을 애국가 작사설 후보로 내세우고 모두 결정적 증거가 없으므로 애국가 작사자는 작자미상으로 결론 내려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간 일제 내선일체에 적극 협력한 윤치호 친일인사가 애국가 작사자로 결
정적 근거도 없이 선전해 왔다 흥사단 100주년 기념행사를 앞두고 흥사단에서 애국가작사자를 조사 연구해 보니 독립운동가 윤형갑<1904-1961>청취증언 및 선천예배당 김정수<1894-1976>권사의 목격증언의 채록CD에 의하면 도산이 애국가를 창작한 동기와 상해에서 도산이 애국가 원작자는 도산 자신으로 밝힌 도산 말씀의 증언 공개로 애국가 작사자가 도산 안창호임이 밝혀졌다 도산은 애국가는 한동안 원작자도 밝히지 말고 자유롭게 민중이 가사를 바꿔가며 민요로 정착될때까지 가만 놔 두라는 도산의 말씀을 윤형갑이 직접 상해에서 들었다 애국가에 대한 이런 사실을 누구에게도 말하지 말라는 함구령을 내렸다 윤형갑 독립운동가나 김정수 권사는 1957년 여름 윤정경<1936년생> 종손에게 말하여 애국가에 대한 증언이 채록되어 있다
또 도산의 비서실장을 상해에서 3년<1929-1932>지낸 105세의 구익균옹이 상해에서 도산이 애국가를 지었다는 말씀을 직접하셨다고 동아일보<2011.10.25>기자에게 밝혔다 이와 같은 결정적인 새 증거에 의하여 애국가는 도산이 지은 것이다 “밥을 먹어도 독립운동 잠을 자도 독립운동 나는 죽을때 까지독립운동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일제 검사 질문에 대답한 도산은 60 한평생 독립운동만 하다가 1938년 3월 10일 경성제대 부속병원<현서울대병원>에서 순국했다 순국애국자 도산 안창호 선생이 지은 애국가를 정부는 속히 공식 발표하여 역사를 바로 세우고 민족정기를 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