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라............한글인데 쉽지 않을까 하고 생각들 합니다
조금만 하면 되는 과목이지만 쉽게 성적이 오르지 않는 과목이기도 합니다
책조금 읽고 문제 조금 풀고 공부 했다라고 하고 시험보면 70-80점 왔다갔다 합니다
나름대로 공부를 했다고 해도 80-90점 사이입니다
중학교 국어는 단순한 과목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세요
1. 학교 수업시간에 충실하세요. 수업시간에 딴짓하고 나중에 공부해야지. 하는 학생은 일찌감찌 공부를 포기한 사람입니다
나에게 주어진 시간을 가장 잘 활용하는 사람이 공부를 잘하는 사람입니다. 나중에.....내일......이 아니라 지금 바로 이시간에
국어 공부를 하세요. 평소에 쌓인 실력은 공부를 안해도 기본 점수는 받을수 있습니다. 아무리 실력 안좋은 국어 선생님도
자기 국어수업은 어느누구보다 잘 가르칩니다. 그래서 수업시간에 충실해야 합니다.
2. 국어 교과서를 쭉~~읽고 책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 해줄 수 있는 상태까지 반복해서 읽으세요
자기가 공부하는 국어 과목에서 제목만 이야기해도 전체 줄거리를 떠올릴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책에 나오는 인물, 사건, 배경이 어떠하며 연관관계는 어떤지를 알아야 합니다.
이게 제일 우선인데 대부분의 학생들은 책 내용을 이해하지도 않고 문제부터 푸는 학생은 90점 이상 고득점을 받을
생각이 없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책 이야기를 내 이야기처럼 술술 할수 있을때 "아~~국어책을 잘 읽었다" 라고 생각하세요
3. 한줄씩 읽으면서 참고서에 나오는 각주나 설명을 꼼꼼히 살펴봅니다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붉은색 볼펜으로 동그라미를 하세요. 생소한 단어면 더더욱 다음에도 또 볼수 있게 꼭 꼭 표시를
해 놔야 합니다. 각 단어의 의미와 문맥에서의 뜻을 파악하고 같은 단어라도 문맥에 따라 의미가 틀려지기 때문에 쉽게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절대 모르는 단어는 검색해서 찾아보던지 주변 친구나 선생님, 부모님께 물어봐서 자기것으로 만드세요
4. 교과서 --> 참고서 --> 문제집 순서로 공부를 하세요.
교과서를 읽지않는 사람이 내용도 모르고 문제를 풀지 못하고.........학교 수업시간에 들었지만 다 기억하지 못하기에 참고서를 이용해서 모르는 단어나 문장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러고 난 다음에 문제집을 풀어야 합니다. 기본이 탄탄하고 국어 문제를 꾸준히 푼 학생은 결코 다른 사람이 따를수 없습니다.
5. 국어공부는 평소에 꾸준히 한다
시험기간에 국어공부할려면 시간이 너무 모자라서 다른 시험과목에도 큰 타격을 줍니다
그래서 국어는 평소에 꾸준히 책을 읽고 많은 독서를 하고 신문 사설을 읽고 문학작품을 마음의 양식이라 생각하고 하루에 한편의 단편소설을 읽어줘야합니다. 한국문학단편소설집을 사서 그렇게 꾸준히 읽어서 실력을 쌓아가야합니다.
첫댓글 앗 이건 우리 국어선생님께서 말씀하시던건데!!
미튜!!!
너무 너무 감사해요..지금 보게됐습니다...울아이한테 읽어보게 해야할것 같네요..
도움이 되는 그날까지 오늘도 달려 봅니다. 우리 아이들이 행복해질때까지 계속 갈께요.
정말 많은 도움이 되네요...
와우, 정말 좋은 글이네요~~
우리 애 읽어보라고 지금 출력했어요~~ 감솨~~
좋은 말씀 입니다.
이곳 저곳 볼수록 좋은 말씀들이 많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출력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꼭 필요했던거네요. ^^
감사합니다.^^
한자를 많이 아는 것도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서 좋은 것 같아요.
저도 우리아들한테 읽어보라해야겠어요.
25년전에 이글을 내가 읽었다면 지금 저는 대통령하고 있을텐데
출려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넵..감사합니다...국어공부 또한 기본에 충실해야 하는거네요...
꾸준히...평소에...교과서를 중심으로...
'벼락치기'로 안 되고 힘들다는 거 이번에 많이 깨달아서...정말 많이 공감하며...잘 읽었습니다..
공감!!! 제발 교과서 좀 읽으라며~~~
교과서 일ㄱ는것 한번도 못봤네요 울아들 우야면 좋을지
저부터 책읽기를 습관화 해야겠습니다 ㅠㅠ
국어 넘 싫어하는 울 작은딸 때문에 고민이에요.. 국어시간에 차라리 수학을 했으면 좋겠다고...여기 써주신 방법대로 절충해서 알려줘야 겠네여
교과서.. 역시 답은 지문안에~
국어는 정말 읽기를 잘하는 것이 중요하더라구요...글의 특성을 파악하면서! ^^
잘 보고 가요~
우리아들은 통 지문을 안읽고 문제만 풀려고 해서 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