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天干의 十星作用
1. 甲木의 十星
甲木은 위로 뻗어 올라가는 기상으로 매사에 先頭가 되기를 원하며 남에게 지기를 싫어한다. 內面으로는 강한 陽의 氣運을 갖고 있으나 外面으로는 陰氣가 아직 사라지지 않아 경직된 모습이다.
外部는 陰의 기운이 작용하여 모습이 겉모습이 단단하고 밖으로 나가려는 강한 의지가 작용하지만 乙木 만큼 陽의 기운이 활발하지 못하다. 陰이 외부로 작용하니 겉모습은 딱딱하고 경직되어 보이고 내부는 陽의 기운이 강하게 작용하여 어떤 계기가 주어지면 밖으로 표출하려는 의지가 강하다. 陽的인 기운이 주체적 역할을 하게 되며 陰을 벗어나려는 기본적인 성향을 내포하고 있다.
그 운동성향의 모습은 直線的이며 속 모습은 나선형의 운동으로 대상을 뚫고 나가는 힘이 강하게 작용한다.
甲木의 성정은 上向之氣에 있음으로 木의 세력이 강하면 상향에 대한 맹목적 성향으로 주변에 피해를 주게 된다. 金의 조절이 필요하나 辛金보다는 庚金이 있어야 더욱 효율적이며 강해야 의미가 있다. 土가 있으면 直立할 수 있으나 많으면 오히려 좌절을 맛보게 되며 土가 부실하면 근기가 오래가지 못다. 水가 많으면 뿌리가 상하고 水가 부족하면 열매를 지키지 못하며 火가 지나치면 잎과 가지가 마르고 火가 부족해지면 무성한 가지에 열매를 보기 어렵다.
1) 甲木 偏印 (丙火 日干)
甲木 입장에서 보면 丁火는 傷官이고 丙火는 食神이되는데 甲木은 食神 丙火를 더 좋아하고 丁火 傷官으로 연결되면 만족스럽지 못하다.
十星의 작용으로 보면 正印이 오히려 객관적이어서 비겁을 골고루 생하려는 성향이 강하여 일간에만 집중하지 않으나 偏印은 比劫이나 日干중에서 주관적으로 연결된 하나에 집중하니 偏印이 日干을 生하는 구조라면 正印보다 일간을 생하는 집중력이 뛰어나다.
甲木 偏印은 직선적 형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생각하는 것이 빠르고 크나 소화하는 부분에서는 결과가 늦다.
印星은 日干과 比劫을 生하는 것으로 日干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자세이며 印星이 잘 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수용하는 것이 잘 발달되어 있다.
甲木이 偏印으로 작용하면 병화 일간 입장에서 수용하는 태도가 직선적이며 직관적 성향이 발달된다. 을목에 비해 정신적이며 한번 정해진 목표나 의지가 외부 영향에 쉽게 흔들리지 않아 지속력이 강한 반면 외부 변화에 적응력은 떨어진다.
甲木은 木의 시발점으로 창조적, 원초적인데 丙火로 연결되면 변화가 심하지 않고 지속적이며 유행을 잘 타지 않는 偏印의 공부로 직관성, 예술성이 발달되고 丁火로 연결되면 이러한 성향보다 교육적이어서 가르치려고 하는 성향으로 연결이 된다.
2) 甲木 正印 (丁火 日干)
甲木이 正印으로 작용하면 丁火입장에서는 소화하기 어려운 正印으로 오래 걸리나 대신 지구력은 있어서 뭔가 꾸준히 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나 소화능력이 부족하여 자칫 지나친 正印으로 木多火熄 성향을 내포하게 된다.
타협이 잘 안 되어 고지식한 모습이다. 대기만성형의 印星으로 꾸준히 하면 언젠가는 터지게 되고 그릇이 커서 전체를 수용하고 받아들이려 한다.
甲木이 生木이고 빛 이거나 甲木이 死木이고 열로 작용하면 긍정적이나 木多火熄 성향은 기본적으로 내재하며 발현이 늦어 시간이 오래 걸린다.
洩 보다 生이 강하기 때문에 끌려 갈 수 있으나 이런 경우 丁火가 힘이 있다면 正印을 소화할 수 있다.
生木에 정화가 빛으로 연결되면 정신적 형태로 선생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生木을 끌어 보여 주는 것이라 중심축이 甲木이 되며 甲木을 丁火가 보여주는 것이라 공부의 목적이 甲木 正印을 드러내는 것에 있다.
正印이 긍정적이면 어른스럽고 윗사람 말 잘 듣고 무게가 있으며 깔끔하고 듬직하다. 正印을 소화 못하여 부정적이면 멍청하고 아둔하며 기존질서나 틀에 의지하는 성향으로 의타적 특징을 갖게 된다.
死木에 丁火가 열로 연결되면 木을 끌어 들여 木을 태워서 丁火자신이 드러나고자 하니 열로 작용하는 丁火는 무게중심이 印星 甲木보다 丁火 자신에게 있게 된다.
丁火가 빛일 경우 正印을 보이려고 하여 보수적, 정도적, 과거적 성향이고 학구적이다.
丁火가 熱일 경우 혁신적이어 새로운 것으로 전향하려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기능이나 기술에 대한 능력이 잠재한다.
3) 甲木 偏官 (戊土 日干)
甲木이 偏官으로 작용하면 정신적 형태를 취하는 편관이다. 관은 자리, 지위, 권력 등을 말하는 것이나 이것이 정신적이면 정신적 지도자나 리더로 작용한다. 직업으로는 실무부서에서 실권을 행사하는 것보다는 뒤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직이라든지 정신적 지주의 역할을 하는 곳에 어울린다. 검사보다는 판사 같은 역할이다.
戊土에 소속된 甲木이니 정신적의미의 偏官으로 작용하며 종교성이나 사상적의미를 갖는 직업군에 어울린다.
甲木이 死木으로 작용하면 정신적 성향이 더욱 강화되어 일반적인 직업과는 거리가 있게 되며 生木으로서 힘이 있어 戊土를 직접 疎土하는 역할을 한다면 보다 실질적부서에서 실권을 행사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갑목이 사목이면 단체를 상징하는 깃발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며 갑목이 생목이라면 단체를 대표하는 실질적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偏官인 甲木의 역할이 死木이면 권한이 크고 지위가 높지만 실체적이지 못하여 일반인은 우러러 보지만 실무 쪽에서는 능력이 떨어진다. 戊土 日干의 여자라면 바라만 보는 남편으로 같이 살기 불편하고 실속 없는 상징적 남편이다.
乙木이 正官이면 실제적이 되나 지위, 권한, 파워는 부족하고 남편이라면 사회적으로 돋보이지 않으나 나에게 필요하며 살갑게 다가오는 사람이다.
火가 발현 안 되면 고립되는 것으로 이순신동상과 같은 상징성이 되고 火가 있어야 현실적으로 끌어 쓸 수 있는 구조가 된다. 甲木은 戊土를 만나면 남산의 저 소나무처럼 사목으로 木의 의미로 남기를 원한다.
4) 甲木 正官 (己土 日干)
甲木이 己土를 가까이 만다면 生木化 되어 死木일 때 갖게 되는 甲木의 상징성은 퇴색하게 된다. 甲木이 正官으로 작용하면 生木으로 작용하는 것이 긍정적이며 실질적이며 현실적인 직업군을 갖게 된다.
乙木이 偏官일때 甲木 보다 더 실제적으로 실권을 장악한다. 甲木이 생목으로 현실화되어 있다고 해도 乙木에 비해 직접적이지 않기 때문에 직접적이지 않으며 단체나 會社의 長으로 역할을 하는 반면 乙木은 현실적이며 실무적이어서 바로 쓸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에 基本的으로 다른 모습이다.
5) 甲木 偏財 (庚金 日干)
死木으로 작용할 때 실질적 능력이 드러나고 生木이면 나름대로 가치가 있으나 死木일 때보다 격이 떨어진다.
甲木이 偏財로 작용하면 甲木의 정신적 특징과 연결되어 무형의 재가 되어 현실적이지 못하고 전체적인 틀, 거시적인 것으로 연결되어 甲木의 체성적 의미와 偏財의 속성적 의미가 잘 부합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갑목 偏財의 속성이 무형적 가치로 나타나 통찰력, 공간 인지능력으로 나타나며 거시적이라 공간 점유능력 또한 강하다. 生木이면 실질적이고 현장적 의미가 더해지며 水와 丙火의 작용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경우 건축 토목 등의 공간 구성의 현장 업무에 어울리나 死木이면 좀 더 정신적 부분으로 발달되어 건축, 토목 등의 설계나 디자인을 하는 것으로 공간구성의 역할이 정신적이며 예술성이 커지게 된다. 甲木이 死木 偏財일 때는 熱性인 丁火의 작용이 중요하다. 庚金일주가 死木인 甲木과 열성인 丁火를 만날 때만 진정한 劈甲引丁이 이루어진다.
6) 甲木 正財 (辛金 日干)
甲木이 正財로 작용하면 甲木이 갖고 있는 체성과 어울리지 않아 辛金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운 正財로 다루기 힘든 財가 된다.
辛金입장에서 보면 소유하기 어려운 것으로 그냥 은행에서 일하는 것으로 財안에서 財의 일을 하는 것과 같다. 이 財는 소화되지 않아 불편하고 조절이나 통제되지 않으면 일을 끝까지 마무리하기 어려운 것으로 건강상의 문제로 나타나거나 일에 파묻혀 있는 모습의 正財이다.
갑목 正財가 生木이면 실무적 의미를 갖게 되어 실질적인 경제업무로 금융, 회계 관련 업무에 적합하나 死木이면 財에 대한 원론적 접근으로 수학, 정제원론, 통계 등에 어울린다.
7) 甲木 食神 (壬水 日干)
甲木이 食神으로 작용하면 끌어내는 힘이 잘 작동되며 생과 설의 작용이 균등하다. 이 食神은 행동적이기 보다는 정신적 형태로 강하게 나타난다.
甲木의 체성은 직선적, 직접적이며 결과가 늦다는 것을 생각하고 자체로 정신적 형태를 취하는 것을 대입하여야 하며 이런 食神이라면 자기 뜻을 굽히지 않고 정해지면 초지일관하여 끌고 가는 힘이 있다.
水에서 출발하여 창조적 개념이 강하고 새로운 일을 만들거나 선두에 서거나 하며 교육자적이며 정치적 성향도 강하게 나타난다. 생목일 때 그 성향이 긍정적이며 사목일 때는 도학이나 신비한 것 등에 관심을 갖는 등 비현실적성향이 강해진다.
8) 甲木 傷官 (癸水 日干)
甲木이 傷官으로 작용하면 현실적 코드로 전향되고 끌어내는 힘(洩)이 生하는 힘 보다 더 강하여 갑목 傷官이 주도한다. 지나친 傷官으로 앞서가게 되며 자신보다 남을 위하여 자기 것을 챙기지 못하지만 긍정적이면 사회봉사, 사회사업 등을 하고 부정적이면 자기 밥그릇 챙기기 어렵다.
갑목이 계수를 만나면 대체로 생목의 성향을 갖게 되며 사목인 갑목의 상징성 보다 생목의 갑목으로 실체성이 강조 되다.
빛으로 작용하는 화의 작용이 절실하며 화의 작용이 부실하다면 결과도출이 어려운 형태로 대체적으로 과정에서 끝난다.
9) 甲木 比肩 (甲木 日干)
甲木이 比肩으로 작용하면 호승심이 강하며 경쟁력, 투쟁력, 전투력이 강하여 때로는 이것으로 상해를 입을 수 있다.
財를 놓고는 경쟁을 하며 경쟁의 모습은 上向에 기준을 놓고 싸우는 것으로 이것은 속도와 관계가 있다. 누가 먼저 목표에 다다르는지의 싸움으로 트랙경기나 결승점 통과를 목적으로 하는 경기와 같다.
긍정적이면 라이벌 구조를 형성하여 목표달성에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나 부정적이면 열등구조를 갖는 것으로 패배의식에 빠지게 된다. 天干으로 甲木이 2개인 것 보다 3개 이상인 경우가 더 긍정적이다.
10)甲木 劫財 (乙木 日干)
甲木이 劫財면 乙木 日干으로 대체적으로 乙木이 등라계갑으로 이용하는 겁재가 된다. 문제는 을목이 다루는 재의 용량을 잘 파악해야한다. 용량을 넘어서면 오히려 갑목 기준으로 재의 소유가 형성 될 수 있다.
甲木이 겁재로 나타나면 본래 갖고 있는 고지식함이나 직선적인 체성이 까칠하고 신경질 적인 예민 형태로 드러나 다루기 힘든 겁재가 되기도 한다. 등라계갑한 을목은 외부로 보여지는 성향이 갑목과 같으나 내면은 을목의 적응력, 순발력이 뛰어나 자세한 관찰이 필요하다.
11) 甲木 정리
甲木이 어떠한 十星으로 발현 되든지 중요한 것은 甲木 본래의 체성을 확실히 파악하고 그것이 어떠한 用(十星)으로 발현 되었는지 관찰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
甲木이 어떠한 十星으로 들어나든 대체로 火를 보아야 순화되고 부드러워져 현실감을 가지며 중화된다.
死木이란 甲木이 죽은 것을 의미하는 직접적 의미도 있으나 진정한 의미는 甲木의 작용이 기준 또는 상징성을 띄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마을에 공동우물이 있는데 그 우물 안쪽에 있는 집을 샘안집이라 한다면 우물 자체는 水이거나 마을 사람들이 생기를 얻는 生木이라 할 수 있으나 그 집을 기준으로 본다면 우물은 그 집 위치를 말하는 것으로 샘안집의 샘은 死木의 성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은행나무집이라 한다면 그 은행나무는 은행이 많이 열리든 말든 그 집을 상징하는 것으로 死木이 된다. 하지만 그 은행나무의 수확 문제를 따진다면 당연히 生木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甲木이 무엇의 기준이나 상징성을 띈다면 실체적으로 살아있는 나무이거나 죽어 있는 나무가 되거나 상관없이 사목이 된다. 木의 生死를 구분하는 것은 命을 좀 더 확실하게 해석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문제이다.
첫댓글 좋은 자료 잘 익히겠습니다.
목의 생사목을 잘구분해라 명심하것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