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검사 예상문제
문1} 심리검사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개인의 특성을 진단한다.
2. 심리검사는 크게 인지적 검사와 정서적 검사로 구분된다.
3. 성격검사는 정답이 없는 문항들로 개인의 인지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4. 능력검사는 개인의 다양한 능력분야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성격검사(정서적 검사)는 정답이 없는 문항들로 개인의 정서적 특성, 사고방식, 신념, 흥미, 태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문2} 심리검사의 사용과 해석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균형과 공정성을 견지하여야 한다.
2. 심리검사로 인해 얻은 정보가 부적절한 방법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3. 검사실시 전에 피검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4. 개인의 심리적 특성은 고정된 특성이므로 변화되거나 신장될 수 없다.
※개인의 심리적 특성은 경험, 학습, 성숙에 의해 변화되고 신장된다.
문3} 다음 중 심리검사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2. 자기이해의 증진
3. 갈등의 해결
4. 예 측
※심리검사의 기능 : 예측, 분류, 자기이해의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등이 있다.
문4} 좋은 심리검사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적절한 규준의 제공
2. 표준화
3. 실시의용이성
4. 타당도
※실시의 용이성은 필수적인 조건으로 보기 어렵다.
문5} 검사의 표준화를 위해 명시되어야 할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검사제작과정
2. 검사재료
3. 시간제한
4. 점수의 환산
※표준화란 검사재료, 시간제한, 순서, 장소, 지시문읽기 등 검사시의모든 과정과 채점, 점수의 환산 등의 절차를 세부적으로
명시하여 실시와 채점과정이 동등하게 하는 것이다.
문6} 다음 중 산업장면에서 심리검사 활용의 목적은?
1. 비정상적 증상에 대해 감지 한다.
2. 특수한 지적 능력측정을 통해 창의성을 발견한다.
3. 한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이나 동료, 의뢰인, 대리인 등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한다.
4. 특정직무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나은 지원자를 선발한다.
문7} 심리검사의 분류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정서적 검사와 성격 검사
2. 속도 검사와 파워 검사
3. 개인 검사와 집단 검사
4. 지필 검사와 수행 검사
문8} 다음 중 성격 검사에 대해 옳지 않은 설명은?
1. 가장 일반적인 검사로는 자기보고식이다.
2. 특정분야에 대한 개인별 태도나 의견을 측정한다.
3.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특성을 측정한다.
4. 성격 측정의 방식으로는 자기보고식, 투사기법, 상형 검사식이 있다.
문9} 적성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잠재력을 발견, 개발하여 학업이나 진로를 결정하는데 정보를 제공한다.
2. 특정분야에 대한 흥미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3.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자기보고식 검사이다.
4. 용어의 사용, 강조, 문장의 순서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문10} 성취도 검사는 무엇을 특정하는 검사인가?
1. 일반적인 정신능력의 측정
2. 특정분야에 대한 흥미측정
3. 특정분야, 대상에 대한 태도나 의견측정
4. 지금까지 습득한 능력수준의 측정
문11} 다음 중 규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달규준은 검사점수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개인의 정상적인 발달경로에 비추어 얼마나 발달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2. 규준은 검사가 검색 또는 선발의 목적으로 사용될 때 수많은 지원자들 중에서 일차적인 선발과정으로 그 가치가 있기도 하다.
3. 어떤 개인이나 집단의 검사수준을 그 개인이나 집단이 속해 있는 모집단에 비추어 해석하는 기준을 제공해준다.
4. 연구의주요 목적이 개인들의 검사점수와 다른 변수 점수화의 관련성 등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둘 경우에는 반드시 규준이
필요하다.
문12} 다음 GATB 직업 적성검사시 검출되는 적성 중 형태 지각능력의 내용과 관계없는 것은?
1. 도형의 형태나 음영, 근소한 선의 길이나 넓이 차이를 지각하는 능력
2. 시각의 예민도
3. 평면과 물체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
4. 시각으로 비교, 판별하는 능력
문13} 일반 직업 적성검사(GAT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2. 베네트에 의해 개발되었다.
3. 11종의 지필검사와 4종의 동작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4. 9가지 적성분야별 점수를 산출한다.
※일반 직업 적성검사를 통해 개인에게 적합하다고 판정된 적성직업군이 제시된다.
문14} GATB 직업 적성검사시 보고 들은 것이나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는 능력을 내용으로 하는 적성유형은?
1. 형태지각
2. 공간적성
3. 언어능력
4. 사무지각능력
문15} 백분위규준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특정피검자의 점수를 특정학년의 피검자의 전형적인 점수에 준하여 의미를 해석한다.
2. 원점수에서 1점과의 차이는 백분위에서 전혀 다른 차이를 가져올 수도 있다.
3. 특정원점수가 부합하는 백분율표로 구성된다.
4. 개인의점수가 규준집단 내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서 어느 수준에 있는가를 가장 이해하기 쉽게 알려준다.
문16} 다음 중 여러 지능검사에서 사용되는 연령기준의 한 형태의 규준은?
1. 집단내 규준
2. 백분위 규준
3. 연령 및 학년 규준
4. 정신연령 규준
문17} 직업 흥미검사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0가지 기초지향 직업군을 구분한다.
2.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3. 8개 직업분야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의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4. 개인이 어떤 직업에 관심이 있고 어떤 직업에 자신감이 있는지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직업흥미검사는 6가지 기초지향 직업군을 구분하고, 8개 직업분야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정도를 측정한다.
문18} 다음 GATB 직업적성검사에 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하위검사들을 조합해서 모두 9개의 적성을 검출해내도록 되어 있다.
2. 여러 특수검사들을 포함하고 있다.
3. 미국에서 개발한 GATB를 토대로 국산화한 것이다.
4. 11개의 지필검사와 8개의 동작검사로 구성되었다.
문19} 다음 심리검사의 실시방법이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일반직업적성검사(GATB)
2. 성격유형검사(MBTI)
3. 미네소타 다면적인성검사(MMPI)
4. 캘리포니아 심리검사(CPI)
문20} 다음 중 인지적 검사에 해당하는 것은?
1. 적성검사
2. 흥미검사
3. 성격검사
4. 태도검사
※인지적 검사는 인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문21} 심리검사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평균을 50, 표준편차를 10으로 변환하여 나타낸 점수는?
1. 백분위 점수
2. Z점수
3. 원점수
4. T점수
※표준점수는 점수가 평균으로 떨어진 정도를 표준편차의 단위로 재어 나타낸 점수이다.
문22} 심리검사의 분류방식이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지필검사와 수행검사
2. 속도검사와 파워검사
3. 개인검사와 집단검사
4. 인지적 검사와 정서적 검사
문23} 성격검사에 대한 내용이 아닌 것은?
1. 광의로는 정서상태, 동기, 대인관계, 흥미, 태도 등의 특성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2. 협의로는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특성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3. 성격검사의 종류는 질문지법, 작업검사법, 투영법 등이 있다.
4. 성격검사의가장 일반적인 검사는 투사기법이다.
문24} 다음 중 비구조적 과제를 제시하고 응답을 분석하는 성격검사방법은?
1. 질문지법
2. 투영법
3. 성취도 검사
4. 상황검사
문25} 다음 능력검사 중 정답이 있는 것은?
1. 직무만족도검사
2. 캘리포니아 성격검사
3. 일반직업적성검사
4. 직업선호도검사
문26} 직업선호도검사 중 개인에게 적합한 직업선정이 목적인 검사는?
1. 생활사 검사
2. 흥미 검사
3. 탐색적 검사
4. 성격 검사
문27} 다음 중 하나의 검사를 반으로 나누는 방법이 여러개 존재하기 때문에 그 방법의 수만큼 많은 신뢰도계수가 나오므로
단일한 신뢰도계수를 산출할 수 없는 신뢰도는?
1. 검사 - 자검사신뢰도
2. 동등성 계수
3. 동형검사 신뢰도
4. 내적합치도 계수
※이 문제점을 계산하기 위해 Cronbach's, Kuder-Richardson공식, Hoyt 등의 방법이 개발되었다.
문28} 다음 검사 중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1. VRT
2. GATB
3. VPT
4. KEDI - WISC
문29} 다음 중 규준작성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규준의 제작은 크게 발달규준과 집단내 규준으로 구분한다.
2. 연령 및 학년규준의 단점은 심리적, 교육적인 측면에서 보면 연령 혹은 학년의 범위가 동일하지 않다는 점이다.
3. 정신연령규준은 특수교육에서 많이 사용한다.
4. 발달규준의 작성방법으로는 연령 및 학년규준, 정신연령규준, 백분위규준으로 나뉜다.
문30} 다음 직업흥미검사 중 일반 성향검사가 차지하는 문항수는?
1. 42문항
2. 48문항
3. 58문항
4. 60문항
문31} GATB 직업적성검사시 직관적인 인지능력의 정확도를 비교, 판별하는 능력을 내용으로 하는 적성유형은?
1. 언어능력
2. 산수능력
3. 지 능
4. 사무지각
문32} 직업흥미검사의 하위검사 중 자료(data), 사람(people), 사물(things)에 대한 기초지향성을 측정하는 것은?
1. A검사
2. B검사
3. C검사
4. D검사
문33} 한국판 웩슬러 성인지능검사에 대한 내용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 등 2개 하위검사로 구성된다.
2. 검사실시방법은 개인검사이다.
3. 검사실시시간은 3시간 정도이다.
4. 검사결과는 언어성 IQ, 동작성 IQ, 전체 IQ로 나타난다.
문34} 직업선호도검사 중 개인의 과거경험과 생활환경을 통한 직무성과 예측이 목적인 검사는?
1. 성격검사
2. 생활사검사
3. 직업흥미검사
4. 적성검사
문35} 학교에서의 심리검사 가운데 형성검사에 대한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학습에 대한 현상태와 요구 파악
2. 학습의 진전상태와 학습과정 파악
3. 학습결과 또는 학습효과 파악
4. 비정상적 증상에 대한 감지
문36} 적성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PMA
2. MMPI
3. GATB
4. DAT
문37} 학교에서의 심리검사 중 인성검사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정상적 증상에 대한 감지를 한다.
2. 학습결과 또는 학습효과를 파악한다.
3. 학생 자신들의 행동적, 정서적 이해를 도와준다.
4. 교사나 상담교사들이 학생을 이해하는데 활용한다.
문38} 심리검사 실시방식에 따른 분류 중 검사지를 읽고 연필로 답하도록 제작된 검사로 실시가 용이하여 집단검사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파워검사
2. 지필검사
3. 개인검사
4. 수행검사
문39} 다음 심리검사 실시방식에 따른 분류방식 중 속도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야에 대한 숙련도 측정
2. 난이도가 높다.
3. 시간제한이 있다.
4. 일반직업심리검사
※속도검사는 숙련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쉬운 문제로 구성되나, 문항수가 많고 시간이 제한되어 있어 시간내에 모두
풀기는 어렵다.
문40} 학교에서의 심리검사 중 지적능력 측정에 쓰이지 않는 것은?
1. 지능검사
2. 적성검사
3. 흥미검사
4. 학업성취도 검사
정답:34331/41214/43231/41411/44423/24344/42322/2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