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병은 매우 광범위해서 간단히 정의하기는 곤란하다.
그러나 그 핵심 원인은 고혈압과 당뇨라는 것이 분명하다.
고혈압이 심해지면 신장 사구체를 구성하는 모세혈관이
높은 압력을 견디지 못해서 점점 파괴되고,
당뇨병인 경우 고농도 포도당과 독성물질이
모세혈관을 굳게 만들어서 신장병으로 발전하기 때문이다.
한국인의 신장병 원인은 당뇨가 50%로 가장 많고,
고혈압은 15% 정도고 나머지 30% 정도는 신장 자체로 인해 발병한다고 한다.
신장병은 혈중 크리아티닌을 측정하여 알게 되므로
건강검진을 하면 그 결과가 당사자에게 통지된다.
여기서 크리아티닌이란 체내에서 에너지 보관을 위해 사용되는 크리아틴이
괴사된 염기성 노폐물로서 신장 사구체에서 여과된 후 소변으로 배출된다.
혈액 내에서 크리아티닌의 정상 수치는 0.5~1.5 mg/dL이다.
그러나 신장병 환자는 혈액 내 크리아티닌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진다.
네이버지식백과에서 제공하는 서울대학교 건강칼럼에 의하면
신장병 환자에게 제한해야 하는 영양소는 단백질, 염분, 칼륨, 인 등이 있다.
그러나 반대로 반드시 공급을 늘려야 하는 영양소는 칼슘이다.
하지만 병원에서 처방하는 탄산칼슘은 비타민 D를 함께 섭취해야만 하고
소화기 장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고, 비타민 D의 도움을 받아도
흡수율이 10% 미만이기 때문에 탄산칼슘은 장기 복용할 경우
다량의 칼슘이 혈중에 잔류하여 혈관 속을 떠돌면서 고혈압, 고지혈, 당뇨 및
석회화 등을 일으켜서 도리어 신장병을 악화시킨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이다.
<BR>
그러나 이규헌 박사께서 개발한 SAC칼슘은
하루 5mg을 100배의 물에 용해하여 섭취한 후
체내에서 즉시 이온화되어 비타민 D의 도움 없이도
흡수율이 99%에 이르기 때문에 체내 칼슘 항상성을 유지하여
핵,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등을 활성화하여 혈관을 정화함으로써
고혈압, 고지혈, 당뇨 등을 포함하여 신장 기능 정상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