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83
장초(章草)
장초는 필획이 예(隸)이고 결체는 초서에 근접한 것으로서
초서의 남상(濫觴)으로 볼 수 있다.
BC 1세기에 유행되었으며
예서를 빠르게 쓰기 위해서 쓰여 졌다.
章자는 사유(史游)가 지은 급취편(急就篇)의 서체에서
이름 지어진 것이라고 한다.
특징은 대체로 필세가 약동하며 연관(連貫)되어 있고
의취(意趣)를 내함한 수일(秀逸)한 풍격이다.
장초는 그 이후의 초서.행서의 발달에 직.간접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끼친 서체이며
서예 발전을 한 차원 높여준 계기가 되었다.
남상(濫觴) ; 술잔이 넘칠 정도의 작은 물(사물이나 일의 시초)
연관(連貫) ; 활을 쏠 때에 잇달아 과녁을 맞힘
의취(意趣) ; (=志趣) 의지(意志)와 취향(趣向)
수일(秀逸) ; 젊잖아 무게가 있고 우수함
p184
한 대(漢代)의 서가(書家)
사유(史游)
생졸은 미상이며 서한 원제(元帝 B.C 48-33) 때 사람이다.
당시 통용 문자에 운(韻)을 붙인 자서(字書)인
급취편(急就篇)을 지었다.
왕차중 (王次中)
생졸은 미상 상곡인(上谷人)이다.
양흔(羊欣)의 <<채고래능서인명(采古來能書人名)>>,
장회관의 <<서단>>에 팔분을
왕차중이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장지(張芝. ?-193)
백영(伯英)이며 원래 돈황인(敦煌人)인데
후에 홍농(弘農)으로 이사 하였다.
초서를 잘 써 초서의 독보(獨步)로 불리운다.
지금의 초서를 개창(開創)한 인물로 여긴다.
채옹(蔡邕 132-192)
자는 백개(伯喈)이고 건녕(建寧) 때
중랑(中郞)에 배(拜)하여 ‘중랑’이라 부른다.
홍도문(鴻都門)에서 공인(工人)이 백토(白土)를
벽을 바르는 것을 보고 착안하여
<비백서(飛白書)>를 창시하였다고 전한다.
배(拜) ; 벼슬을 받다
비백서(飛白書) ; 붓 자국에 흰 잔 줄이 나타나게 하는 것으로,
채옹이 미장이가 회칠 솔로 글자를 쓰는 것을 보고
깨우침을 얻어서, 응용하여 비백서를 창작하였다고 전해진다.
참고 도판
복(福)
수(壽)
p184
서법예술 인식의 맹아(萌芽)
글씨의 예술성과 실용성을 논함에 있어서
한 대 이전의 글씨는, 기사(記事)를 위한
실용성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그때까지 서예에 대한 기술(記述)이 거의 없는 것과
서적에 이름을 밝히지 않았다는 것이 큰 이유이다.
기록상에 보면 한 대에 와서
서법예술의 인식이 싹트기 시작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사례들이 나타난다.
<<한서(漢書)>>에 원제(元帝, BC 48-33)가
사서(史書)를 능히 하였고 비파 타고 퉁소 불고
작곡하고 노래하는 것들을 기술하고 있다.
사서는 곧 예서로써 이에 능했다는 것은
정황으로 보아 자오(自娛)하였다는 것을 가히 엿볼 수 있다.
또 원제와 성제(成帝) 때에 곡영(谷永)이란 사람이
능서(能書)하여 그에게 편지를 받으면
누구나 귀중하게 보존하였다는 기록도 접할 수 있다.
후한에 더욱 진보하여 영제(靈帝 168-189) 때에
사의관(師宜官)은 대.소자를 다 잘 썼는데
주막의 벽에 글씨를 써 붙이면
관상자(觀賞者)들이 와서 술과 바꾸었다 하며
그의 제자인 양곡(梁鵠)의
글씨는 이후 조조(曹操)가
늘 장중(帳中)에 걸어놓고 감상하였다고 한다.
이렇듯이 한 대에는 서법을 예술로 여기는 인식이 싹텄고
위진을 거쳐 특히 남조에 와서는
예도(藝道)나 품격으로 보는 유풍(流風)이 보편화되었다.
참고문헌 ; <<서예통론>> 선주선저 원광대학교출판국, 인터넷 사전, 도서 참고.
첫댓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내일 금요일 명지서법 서예이론 시간에 나갈 부분을 미리 올려보았습니다.
찾아주시어 고맙습니다.
새해 건강하시고, 좋은 작품활동 기대합니다.
네 건강하시고 좋은일만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오늘은 2020년 3월6일이다
예년 같았으면
명지서법 수요일 저녁 개강 강습회를 시작해야하는데
코로나 19로 인해
명지대학은 16일부터 인터넷 강의 시작하고
30일부터 정식 수업에 들어 간다고 했다
방학 강습회 날인 오늘 우리후배들에게
서예이론을 올린다
시간 나는대로 참고하길바란다
건강하게 다시보자
오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