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도덕경』제13장
[원문]
“총욕약경 귀대환약신 하위총욕약경 총위하 득지약경 실지약경 시위총욕약경
寵辱若驚 貴大患若身 何謂寵辱若驚 寵爲下 得之若驚 失之若驚 是謂寵辱若驚”
“수모를 신기한 것처럼 좋아하고,
고난을 내 몸처럼 귀하게 여기십시오
수모를 신기한 것처럼 좋아한다 함은,
무엇을 두고 하는 말인가
낮아짐을 좋아한다는 뜻이다.
수모를 당해도 신기한 것, 수모를 당하지 않아도 신기한 것
이것을 일러 수모를 신기한 것처럼 좋아한다고 한다.”
[왕필주]
“寵必有辱 榮必有患 驚辱等 榮患同也 爲下得寵辱榮患若驚 則不足以亂天下也”
“총애는 반드시 능욕이 있고, 영화는 반드시 애환이 있다.
욕을 당해 놀라는 것과 같다. 영화와 환난은 동등하다.
신하가 되어 총애를 받거나, 모멸을 당할 때 또 영화롭거나 환난이 있을 때, 놀란 듯이 한다면 세상을 혼란스럽게 하지 않을 것이다.”
[원문]
“하위귀대환약신
何謂貴大患若身”
“고난을 내 몸처럼 귀하게 여긴다 함은, 무엇을 두고 하는 말인가”
[왕필주]
“大患 榮寵之屬也 生之厚 必入死之地 故謂之大患也 人迷之於榮寵 返之於身 故曰 大患若身也”
“대환은 영화와 총애에 속한다.
생이 후할 때, 반드시 죽음의 땅에 들어간다.
고로 대한이라고 말한다.
사람이 영화와 총애에 미혹하면, 그것이 몸에 돌아온다.
그래서, 대환은 몸과 같다고 말하는 것이다.”
[원문]
“오소이유대환자 위오유신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고난을 당하는 까닭은 내 몸이 있기 때문이다”
[왕필주]
“由有其身也”
“그 몸이 있는 것을 말미암기 때문이다.”
[원문]
“급오무신及吾無身”
“내가 자신을 의식함이 없게 된다면,”
[왕필주]
“歸之自然也”
“자연으로 돌아간다”
[원문]
“오유하환 고귀이신위천하 약가기천하
吾有何患 故貴以身爲天下 若可寄天下”
“무슨 고난이 있겠는가
내 몸 바쳐 세상을 귀히 여기는 사람
가히 세상을 맡을 수 있고”
[왕필주]
“無以易其身 故曰貴也 如此乃可以託天下也”
“무엇으로도 그 몸을 바꿀 수는 없다.
고로 귀하다고 말한다.
이와 같아야 천하를 위탁할 수 있다.”
[원문]
“애이신위천하 약가탁천하
愛以身爲天下 若可託天下”
“내 몸 바쳐 세상을 사랑하는 사람
가히 세상을 떠맡을 수 있을 것이다”
[왕필주]
“無物可以損其身 故曰愛也 如此乃可以寄天下也 不以寵辱榮患損易其身 然後乃可以天下付之也.”
“(저절로 그렇게 됨으로 돌아갔으니) 어떤 갓으로도 그 자신을 해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소중하게 여긴다고 했다.’ 이처럼 되어야 천라를 맡길 수 있다. 총애와 모멸, 영화와 혼난으로 자신을 손상시키거나 바꿎3l 않은 다음에 천하를 맡길 수 있다.”
*해설
13장도 11장, 12장에 이어서 사물의 존재방식이 유와 무로 이루어졌음을 강조한 것이다. 다만 11장에서는 구체적인 사물과 관련하여 12장에서는 인간의 감각이나 정신과 관련하여 사물의 존재방식을 언급했던 것과는 달리, 13장에서는 부귀와 관련하여 언급했다.
사물의 존재방식도 근본적으로 물아일체의 상태에서 어떤 것이 의식의 활동에 의해 분별됨으로써 나오는 것이다.
따라서, 천하를 이어받을 수 있는 큰 덕은 자신을 잊음으로써 물아일체의 상태에서 저절로 그렇게 됨과 합치하는데 있다.
곧 주객이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천하와 자신을 구분하지 않는 경지에 큰 덕이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