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는 야외 활동을 삼가고, 부득이하게 나갈 일이 있다면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호흡기, 코털로도 걸러지지 않는 미세한 입자들은 호흡 시 기관지로 들어와 폐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래원인이 무엇인지, 단순 감기에서 비롯된 것인지 확인을 해봐야 한다.
특히 가래원인이 되는 기관지확장증을 주목하자.
기관지확장증은 본래의 기관지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확장된 상태의 질환이다. 폐는 탄력을 갖고 있어 숨을 들이 마시고 내뱉을 때의 통로 역할을 하는데, 손상이 되면 다량의 가래가 생기는 것은 물론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없게 된다. 특히 기관지 손상으로 인해 탄력이 떨어지면 외부 자극에도 과민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는데 제때 배출되지 못한 가래는 여러 가지 세균 감염에 취약한 환경을 만들게 되며, 면역력에도 타격을 입힐 수 있다.
가래가 발생하는 이유는 대개 목이 불편하다는 신호로, 기관지확장증 뿐 아니라 인후염, 기관지염, 목감기 등 여러 폐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 된다. 기관지확장증 환자에게서 가래의 양이 많거나 누런 경우, 끈끈한 경우 모두 염증이 매우 심하다는 신호인데, 만성기침, 식욕저하, 체중감소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초기에는 심하지 않았던 기침과 가래도 기관지에 축적되는 유해 물질이 많아질수록 심해진다.
기관지확장증 환자들은 매우 많은 가래를 경험하게 되며, 주로 아침에 심한 것이 특징이다. 비정상적으로 늘어난 기관지에 밤 사이 분비물이 고이게 되고, 아침 활동을 하면서 가래가 많이 나오게 되는데 대개 세균 감염을 동반하기 때문에 누런 색을 띠는 것이다. 기관지 분비물은 세균을 쉽게 번식하기 때문에 세균에 감염되면 치료가 잘 되지 않아 폐렴, 폐농양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기 쉽다. 또한 기관지 혈관도 많이 약해져 있기 때문에 약간의 감염에도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올 수 있다. 대개 경미한 객혈이지만, 간혹 대량 객혈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기관지확장증은 이미 기관지가 파괴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시 정상으로 회복할 수 없다. 또한 기관지 모양 자체가 변형된 상태로 기관지 모양도 되돌릴 수 없다. 때문에 기관지확장증 치료는 이차적인 세균감염이 되지 않도록 예방을 하고, 가래원인이 되는 외부 자극을 줄여야 한다. 폐렴, 기관지염, 감기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평소 면역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한다.
세균 감염이 있다면 적절한 항생제를 쓰고, 아침과 밤 사이에 고인 가래를 깨끗하게 뱉어내야 한다. 가래가 끈끈하게 잘 뱉어지지 않는다면 가래 배출을 돕기 위한 거담제를 사용하거나, 물리요법을 시행해 가래를 밖으로 유도한다. 체위거담법은 가정에서도 자극 없이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내과적 치료 이후에도 증상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반복적으로 감염성 질환이 있는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