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인 이론
1. 미시적 관점(낙인 이론) - 한번의 실수로 사람들로부터 나는 나쁜 사람으로 찍히고, 또 한번 호기심으로 도둑질을 했다는 이유로 소년원에 가게 되었다. 사람들이 무조건 나를 질적으로 나쁜 사람으로 보는 것만 같았다. 같이 놀려고 하는 사람들도 줄었고, 일을 얻기도 어려워졌다. 나는 점점 자신감을 잃게 되었고, 내가 이런 존재이구나 하는 것밖에 다른 생각은 떠오르지 않았다. 자신을 원망하면서 더더욱 비행에 찌들어 가거나, 사회악으로 변하게 되었다.
- 어느 범죄자의 수기 -
2. 거시적 관점 - 범죄를 증가시키는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사회 구성원 간, 계층 간 의사 소통의 단절이라고 볼 수 있다. 일부 상류층의 족벌혼에서 볼 수 있듯이 부와 학력 등으로 계층화된 우리 사회는 21세기 민주 국가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만큼 배타적인 모습을 드러낸다. 연쇄 살인범과 같이 극단적인 경우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범죄자들은 이러한 사회 구조 아래서 생겨난 상대적 박탈감 때문에 다른 계층의 사람들을 오로지 적으로만 바라보게 된다.
또 하나는 부의 정당성 확보 문제이다. 증오 범죄자들은 상류층의 부를 정당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부의 축적이 세습이나 기득권에 의해 이루어져 정당성이 없는 것인 한 사회 구성원 간의 갈등은 더 커진다. 이런 관점에서 연쇄 살인범 등의 극단적인 범죄자는 갑자기 나타난 이질적인 존재가 아닌 우리 사회의 일그러진 자화상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