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의 락업(Lockup) 설정 방법과 효과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락업은 은행 예금에 가입하는 것처럼 파이코인을 일정기간 지갑에 묶어두고 채굴 속도 향상이라는 이자를 지급받는 것입니다. 잘 활용하면 두둑한 보너스를 얻을 수 있지만 잘못하면 큰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아래 주의점을 확인하고 설정하세요
파이코인 락업이란?
파이코인 락업은 내가 가진 파이코인으로 예금을 든다고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은행에서 3년 예금, 2년 예금을 선택하고 예금 종류를 골라 돈을 맡기듯 락업 기간과 종류를 선택해 파이코인을 보관하게 됩니다.
설정한 락업의 종류와 기간에 따라서 지급되는 보너스(채굴 속도 향상)도 달라집니다.
구분설명
락업 종류 | 2가지 (Configure 락업, On-chain 락업) |
락업 기간 | 2주 ~ 3년 |
락업 수량 | 마이그레이션 받은 물량의 200%까지 |
락업 효과 | 채굴 속도 최대 10배 이상 |
파이코인 락업의 종류
파이코인 락업에도 종류가 있나요?
락업의 종류는 기본 설정 락업에 해당하는 컨피겨 락업(Configure Lockup)과 마이그레이션 이후 추가로 설정하는 온체인 락업(On-chain Lockup) 2가지로 구분됩니다.
1. 컨피겨 락업 (Configure Lockup)
파이코인의 메인넷 체크리스트를 진행하다 보면 4번 항목으로 ‘락업 구성 확정’이라는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파이코인 채굴자라면 이때 락업이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될텐데요.
여기서 설정하는 최초의 락업은 컨피겨 락업이라 부릅니다. 파이코인 채굴자라면 무조건 거치게되는 락업 설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온체인 락업 (On-chain Lockup)
메인넷 체크리스트를 모두 마치고 지갑으로 파이코인을 넘겨 받는 마이그레이션을 하고나면 추가로 락업 설정이 가능한데요. 이 락업을 온체인 락업이라고 부릅니다. 락업을 걸지 않은 수량이나 P2P 거래를 통해서 얻은 파이코인에 대해 락업을 거는 기능으로 지갑에 있는 ‘락업 생성’ 메뉴에서 진행합니다.
파이코인 락업 기간과 효과
파이코인 락업을 왜 걸어야 할까요?
락업을 설정하면 2가지 효과가 생기게 됩니다. 은행에 비유해 파이코인을 우리가 사용하는 돈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파이코인을 가진 사람이 락업을 걸면 이자에 해당하는 채굴 속도 향상이라는 보너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최대 수량 200%를 최대 기간 3년으로 락업하면 보통 10배 이상으로 채굴 속도가 빨라집니다. 두둑한 이자가 매순간 생기게 되는 거죠.
수량기간채굴 증가율
25% | 2주 | 325.12% |
25% | 6개월 | 344.31% |
25% | 1년 | 368.30% |
25% | 3년 | 416.28% |
50% | 2주 | 329.92% |
50% | 6개월 | 368.30% |
50% | 1년 | 416.28% |
50% | 3년 | 512.23% |
90% | 2주 | 337.60% |
90% | 6개월 | 406.68% |
90% | 1년 | 493.04% |
90% | 3년 | 665.76% |
100% | 2주 | 339.52% |
100% | 6개월 | 416.28% |
100% | 1년 | 512.23% |
100% | 3년 | 704.14% |
온체인 200% | 3년 | 1000% 이상 |
위 표의 채굴 증가율은 수량, 기간, 개인의 채굴 세션이 변수로 들어가는데요. 채굴 세션은 번개버튼 누른 횟수입니다. 개인마다 채굴 세션이 다르기 때문에 저 수치는 조금씩 다르니 참고만 하세요.
이렇게 퍼주면 파이코인 개발팀은 뭐가 좋은데요?
은행에 해당하는 파이코인 개발팀 입장에서는 락업으로 시중에 유통될 수 있는 물량을 통제하는 효과가 생깁니다.
실물 경제에서도 유동성이 풀리면 돈의 가치가 하락하는데요. 락업을 걸어 유통 가능한 물량을 조절해 파이코인의 가치하락을 방어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락업이 없다고 생각해 보세요. 공짜로 채굴했다고 너도나도 한번에 팔면 폭락할 수 있겠죠? 이렇게 락업을 걸어 시장에 나오는 시기를 분산 시키는 겁니다.
지금 가장 많은 파이코인을 가진 조직이 바로 파이코인 개발팀이니 가치상승을 그 누구보다 원할 겁니다.
정리하면
파이오니어는 채굴속도 향상이라는 보너스 얻음
파이코어팀은 파이코인 물량을 통제해 가치 하락을 방지
파이코인 락업 설정 방법과 TIP
락업을 설정하신다면 아래 3가지를 먼저 잘 생각해 보고 물량과 시기를 골라 보세요.
1. 내가 가진 파이코인을 언제까지 보유할 건지?
파이코인은 락업이 걸린 물량은 락업이 끝나는 날까지 해지하지 못합니다. 은행 예금은 이자 덜 받고 중도해지가 되지만 파이코인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보유 시점을 장기로 보느냐, 단기로 보느냐에 따라 락업이 달라져야 합니다.
단기 보유를 원한다면 2주 ~ 1년으로 선택하시고, 장기간 묵여둔다고 생각하시면 3년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2. 가족까지 채굴한 수량이 얼마나 되느냐?
가족의 채굴한 수량이 왜 중요하냐면 온체인 락업까지 걸기 위해서는 200%로 락업 설정을 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그 기준이 마이그레이션으로 넘겨받은 파이코인 개수입니다. 개인마다 다 다릅니다.
내가 100개의 파이코인을 마이그레이션으로 받았다면 200개의 사용할 수 있는 파이코인을 확보해야 10.8배 온체인 락업이 가능한거죠.
부족한 파이코인을 확보하기위해 보통은 P2P거래를 하거나 가족끼리 주고 받습니다.
그러니 주고 받을 수 있는 가족의 수량, 내가 넘겨 받는 수량을 고민해서 가장 효과가 좋은 조건으로 정해야 합니다. 가족 중 누군가는 10.8배 온체인 락업 보너스를 받는 것을 목표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레퍼럴이 많거나 노드를 돌리고 있는 가족이 있다면 그 사람의 수량을 기준으로 계산하시는 것도 좋은 선택일 것입니다.
내 것만 생각하지 마시고 가족 수량과 채굴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세요.
3. 파이코인을 어떻게 사용할 생각인가?
마지막으로 생각해 봐야하는 것이 파이코인을 어떻게 사용할 지 입니다. 상장만 되면 바로 현금화 할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2025년에는 상장 가능성이 있으니 기간을 길게 잡으면 안됩니다.
반면에 현금화 보다는 개인 가게에서 P2P로 느긋하게 사용하고 싶은 분이라면 기간 설정은 자유롭게 하시되 수량을 적당히 남기셔야 하겠습니다.
파이코인 락업 주의점
파이코인의 락업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3가지 주의점이 있습니다. 모르면 낭패가 생길 수 있으니 꼭 참고하셔야 합니다.
1. 락업을 설정하면 중도 해지가 불가능하다.
락업된 파이코인은 사용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개인의 투자 기간 등을 잘 고려햐셔야 합니다.
2. 락업이 끝나도 지갑으로 바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다.
락업을 걸면 활성중인 락업 리스트에 들어가는데요. 이 때 좌물쇠로 풀리는 날짜가 표시됩니다. 이 날짜가 되면 해지되고 자동으로 지갑에 들어오는 것이 아닙니다. 이동 가능한 락업으로 옮겨져 있습니다
락업이 풀리는 기간을 잊거나 이동 가능한 락업에서 지갑으로 옮기는 것을 모르면 사용을 못합니다.
3. 온체인락업은 내가 채굴한 코인 외에 P2P 등으로 추가 확보가 중요하다.
컨피겨 락업은 내가 채굴한 코인으로도 가능하지만 채굴 속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되는 온체인락업은 P2P로 파이코인을 추가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P2P 방법을 보시고 확보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세요.
P2P가 어렵다면 가족의 수량 조절이 필수입니다.
파이코인 락업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1. 파이코인 락업 설정 해지 어떻게 하나요?
파이코인 락업이 걸린 물량은 중도 해지가 안됩니다. 앱에 자물쇠로 표시된 날짜까지 기다렸다가 이동 가능한 락업에 들어가면 지갑으로 옮겨줘야 합니다.
2. 파이코인 락업 최대 얼마까지 채굴속도 빨라지나요?
컨피겨 기본 락업으로는 최대 7배까지 채굴속도가 빨라지고 온체인락업까지 사용하면 10.8배까지 채굴 속도가 향상됩니다.
3. 무조건 락업 설정은 해야 하나요?
컨피겨 락업 설정은 메인넷 체크리스트 진행 사항으로 필수 과정입니다. 다만 락업을 하나도 안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4. 락업 걸린 파이코인은 어디서 보나요?
파이코인의 지갑에 락업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들어가면 락업 수량과 시기가 보입니다.
5. 파이코인 락업 종료되면 자동으로 지갑에 들어오나요?
아닙니다. 지갑의 락업 메뉴에 들어가서 이동 가능한 락업에 들어가는데요. 이 락업을 직접 지갑으로 옮겨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