父
(아버지 - 부)
4획 제부수
(사람이 알아야 할 것을 조목조목) 나누어(八) 어질게(乂)가르치는 아비니
아비 부
◎ 八(여덟팔,나눌팔),아비: ①아버지의 낮춘말 ②결혼하여 자식을 둔 아들을 이르는 말
◆ 뜻풀이 : 아버지 부/아비 부, 자 보
1. 아버지, 아비, 아빠 2. 친족의 어른 3. 늙으신네 4. 관장(官長)
5. 만물(萬物)을 화육(化育)하는 근본(根本) 6. 창시자(創始者)
a. 자(=甫, 남자에 대한 미칭) (보)
b. 나이 많은 남자(男子)에 대한 경칭(敬稱) (보)
c. 직업에 종사(從事)하는 사람의 총칭(總稱) (보)
d. 시작(始作), 개시(開始) (보)
◆ 회의문자 :
대법원 인명용으로는 부. 又(우☞손)와 丨(곤☞회초리)의 합자(合字). 丨(곤☞회초리. 여기서는 一家(일가)를 다스리는 지배권을 나타냄)로 자식(子息)을 훈계하는 엄한 아버지라는 뜻을 합(合)하여 '아버지'를 뜻함
◆ 반대 뜻을 가진 한자(상대자) :子아들-자/母어미-모
부(父)의 초창기 글꼴은 손으로 돌도끼를 쥔 모습이었다. 왼쪽의 수직선이 돌도끼의 간략한 모습이고, 오른쪽이 ‘오른손-우’(又)이다. 그 옛날 돌도끼를 휘두르는 자는 누구였고 무엇을 했을까? 아마도 힘이 넘치는 젊은 남자였을 것이고, 사냥을 하거나 농사를 짓거나 누군가와 싸웠을 것이다. 그럴 능력이 있는 남자만이 여자의 마음을 얻고 가정을 이루고 아기를 키울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 남자는 곧 아버지가 되지 않겠는가.
‘아버지’의 뜻은 이렇게 나왔을 것이다. 이런 아버지는 존경의 대상이기도 했다. 따라서 남자 어른에 대한 존칭으로도 ‘아버지’를 쓰기 시작했다.
전국의 아버지, 역사학의 아버지, 과학의 아버지, 음악의 아버지 등이 그렇다.
손에 쥔 돌도끼가 ‘아버지’의 뜻으로 전용되자 그 밑에 ‘도끼-근’(斤)을 추가하여 ‘도끼-부’(斧)를 만들었다.